##리그베다 포크누락으로 인한 재작성 관련 틀 및 분류. 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목차] == 학술 용어 == 理論値. 어떠한 수학적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구해진 값을 말한다. 이론값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한 반대개념으로는 실험을 통한 측정값인 실험치(실험값)이 있다. == [[게임]] 용어 == [[게임]] 내에서 최대 [[스코어]]를 통칭하는 말. 주로 스코어의 최대치를 달성했을 때, '이론치를 달성했다'라는 말로 쓰인다. 주로 두 가지 경우에 쓰이는데, 게임 안의 스코어의 최대치가 정해진 경우(만점), 혹은 정해진 최대치는 없으나 인간이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최대치[* 이 경우 [[TAS]]를 통해 얻은 최대스코어를 만점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를 뜻하는 말로 쓰이며, 후자의 경우 이론치가 갱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론치를 달성할 수 있는 실력이 될려면 [[전일]]급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 게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당연하고, 스코어에 관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 등, 사실상 그 게임을 마스터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일종의 기록인 셈. === [[리듬 게임]]에서의 이론치 === 나오는 노트가 한정적인 리듬 게임의 특성상, 만점을 이론치로 잡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코어에 만점 개념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따로 달성률을 만들어 100% 이상을 달성한 경우를 이론치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이론치를 달성하는 경우라도 공식적으로는 일반적인 엑설런트와 동급으로 취급하지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일반적인 엑설런트보다 높게 쳐준다. 다음은 이론치가 만점과 구분되는 게임들이다. * [[maimai 시리즈]] - 브레이크 노트의 퍼펙트에 세부 판정을 두어 점수를 차등적으로 지급하는데(2600점, 2550점, 2500점)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정확히 쳐야한다. 만약 브레이크 노트에서도 전부 2600점을 받으면 100%를 넘는 점수를 받고, 공식적으로도 AP(올 퍼펙트)이상인 AP+를 준다. 랭크에서도 SSS가 아닌 SSS+로 표시된다. 이는 피날레까지만 해당되는 사항이고, 디럭스부터는 100.5%부터 SSS+, 이론치는 101%로 고정되었다. * [[CHUNITHM]] - AJ[* ALL JUSTICE]는 모든 노트를 JUSTICE 이상으로 치면 되지만 좀 더 높은 정확성이 필요한 JUSTICE CRETICAL라는 판정이 따로 존재한다. 모든 노트를 JUSTICE CRETICAL로 치면 AJC가 되지만 리절트에서 구별하지는 않는다. * [[온게키]] - 모든 판정을 CRITICAL BREAK로 처리하면 950000점 인데, 게임 중간중간에 출현하는 노란색 BELL을 캐릭터를 움직여서 저 BELL까지 모두 획득하면 ALL BREAK 효과 아래에 FULL BELL이 함께 표기되어 1010000점의 이론치로 인정된다. * [[Arcaea]] - 최고 판정은 PURE로 모든 노트를 PURE로 치면 PURE MEMORY로 엑설런트가 인정된다. 이론적으로 PM은 1천만점이지만 역시 '''PURE에도 세부 판정이 적용되어'''[* 따로 설정을 하면 PURE를 할때도 EARLY, LATE가 뜬다 ] 1천만점을 맞추는 경우가 현재까지는 없다. 1천만점 이상을 내는 조건은 PURE에서도 EARLY, LATE를 띄우지 않는 것으로, 순수하게 PURE만 나올경수 점수에 1점이 추가된다. 이쯤되면 알겠지만 이 게임의 이론치 조건은 1천만점+해당 곡의 노트수로, 노트 갯수에 따라 이론치가 다르다. 공식적으로는 이론치도 클리어 랭크는 PURE MEMORY로 간주되지만, 이론치 달성 후 결과창을 보면 점수 뒤에 파란 그림자가 생긴다. * [[유비트 시리즈]] - 조금 특이한 경우로, 이론치가 없어 1000000점이 최대 점수지만 따로 설정을 하여 하드모드를 걸 수 있다. 하드모드의 경우 PERFECT 판정이 기존의 절반으로 떨어지며, 점수 자체도 일반 모드하고 따로 분류된다. 다만 [[유비트 페스토]]부터는 달성치가 따로 있어서 일반적인 엑설런트는 100%이지만 하드모드의 경우 최대120%까지 올리는것이 가능하다. 다만 하드모드 자체가 상당히 어려워서[* 투덱이나 DDR의 P.GREAT나 MAVELOUS와 거의 같다] 대부분 하드모드를 걸때 엑설런트를 목적으로 두지 않고 유빌리티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 [[Cytus]] 시리즈 - 모든 노트를 PERFECT 판정으로 처리하면 밀리언 마스터가 뜨지만 퍼펙트중에서도 노말 PERFECT와 TP PERFECT 가 있다. 즉, 모든 노트를 TP PERFECT 로 처리하면 TP가 100이 되어 이론치로 인정된다. 이후 [[Cytus2]]에서는 마스터 모드가 추가 되어 퍼펙트 판정이 master, c.perpect ,노말 퍼펙 3개로 나뉘어졌다. 진정한 이론치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모든 노트를 master모드로 처리하는 max master를 달성하면 이론치로 인정된다. * [[A Dance of Fire and Ice]] - 체크포인트 없이[* 노트를 하나라도 놓치면 바로 죽는 게임인데 그 대신으로 체크포인트가 존재한다. 리듬게임으로써는 특이한 점.], '너무 빠름'을 띄우지 않고 모든 노트를 '빠름'~'느림'[* 영어판 원문은 'E-Perfect'~'L-Perfect'. 즉, 이 두 판정들도 일단은 퍼펙트 판정으로 취급된다.] 판정 사이에서 입력하면 정확도 100%가 되어 엑설런트 플레이가 된다. 그리고, 여기서 모든 노트를 '정확'으로 입력하여 정확도 100+(노트 수×0.01)%[* 예를 들어, 노트가 165개인 곡에서 이론치를 찍으면 100+1.65로 정확도 101.65%가 된다.]를 기록하게 되면 '완벽한 플레이!'가 되어 이론치가 되며, 이때 정확도를 표기하는 숫자가 노랗게 된다. * [[Muse Dash]] - 모든 노트를 PERFECT로 처리하면 정확도 100%가 뜨지만 이 게임은 [[Muse Dash/캐릭터|캐릭터와 펫]] 차이에 따라서도 점수차가 크게 갈린다. 또한 피버도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킬 수가 있어서 노트가 많은 구간에서 피버를 사용할 경우 더 많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점수를 이론치로 인정한다. 이론치 자체는 존재하지만 그게 몇 점인지 알아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정확도가 100%가 아님에도 이론치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PERFECT를 치느냐 GREAT을 치느냐에 따라서도 피버 타이밍이 달라지기 때문.] * [[기타프릭스]] - 일종의 [[창발적 플레이]]인 "딜레이드 웨일링"으로 인해 저스트 타이밍에 웨일링을 넣는 것보다 늦게 웨일링을 넣어서 만점 이상을 얻을 수 있다. 역시 몇 점인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이런 시스템이 없는 동 시리즈의 [[드럼매니아]]는 이론치가 만점이다. * [[사운드 볼텍스]] - [[6볼]]에서 발키리 기체 한정으로 상위 판정인 S.CRITICAL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 크리티컬로만 다 쳤을 때 만점인 PUC가 나오기는 하지만 그보다 상위 성과로 모든 노트와 노브를 S.CRITICAL로 처리하면 비공식 용어로 MAX라 부르고는 했다. 2023년 2월 9일부터는 금빛 번개가 치는 특수 이펙트와 함께 게임 내에서 이론치를 '''S-PUC'''라는 이름으로 구분하여 공식적으로 표시한다. === [[슈팅 게임]]에서의 이론치 === === 기타 게임에서의 이론치 === [[팩맨(1980)|팩맨]]에서 [[킬스크린]]이 뜨기까지 이론상 최대로 획득할 수 있는 점수는 3,333,360점으로, 1999년에 빌리 미첼(Billy Mitchell)이라는 사람이 최초로 달성에 성공했다. 두뇌 트레이닝 게임인 [[루모시티|루모시티]]는 게임 점수와는 별도로 스킬포인트와 비슷한 개념인 LPI가 존재하며, 각각 게임에도 LPI가 존재한다. 이론상 최대로 획득할 수 있는 LPI는 2000. 개별 게임으로는 이론치를 달성하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나 38가지나 되는 게임을 모두 이론치로 도배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include(틀:표절,version=1,source=리그베다 위키의 이론치 문서)] == 관련 문서 == * [[하이스코어]] * [[스코어러]] [[분류:게임 점수]][[분류:리듬 게임 용어]][[분류:포크 누락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