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라크의 대외관계)] [include(틀:이스라엘의 대외관계)]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10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100%]] || || [[이라크|{{{#ffffff '''이라크'''}}}]] || [[이스라엘|{{{#fff '''이스라엘'''}}}]] || [목차] == 개요 == [[이라크]]와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이라크와 이스라엘은 '''[[중동전쟁]]''' 당시 전쟁을 치루었던 사이이며 걸프전쟁 때에도 간접적으로 대립 관계였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30년 영국은 이란에서 [[모술]]을 거쳐 [[하이파]]로 통하는 송유관을 건설한 바 있었다.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시절 유대인 무장조직이었던 이르군(Irgun)은 1941년 영국의 이라크 침공에 참하기도 했다. 이스라엘 독립 전쟁([[제1차 중동전쟁]]) 당시 [[이라크 왕국]]은 이스라엘을 합법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아랍 연합국 측으로 참전하였던 바 있으며, 이 외에도 이라크는 [[제3차 중동전쟁]]과 [[제4차 중동전쟁]] 당시 참전하였던 바 있다. 이스라엘은 사담 후세인 정권의 바트당 정권을 자국 안보의 주적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1981년 당시에는 이스라엘에서 이라크의 핵무장을 저지하기 위해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을 실시했던 바 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VKBA8VNI3|#]] === 21세기 === ==== 2000년대 ==== 2000년 10월 12일,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권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및 [[제2차 인티파다]] 시기 때 앞장서서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주장하기도 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021926?sid=101|#]] 2000년 10월 18일, 이라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중 하나인 인민해방전선을 지원하기도 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89835?sid=104|#]] 2000년 10월 21일과 22일, 이라크는 이스라엘과의 성전을 주장하기도 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027456?sid=104|#]] 22일, 이라크 정예부대는 요르단-이스라엘 국경 일대에 이동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33019?sid=104|#]] ==== 2010년대 ==== 2017년 12월, 미스 이라크에 참여한 이라크인인 [[사라 이단]]이 이스라엘 여성 모델과 같이 사진을 찍었다는 이유로 협박을 받기도 했다. [[https://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938|#]] ==== 2020년대 ==== 2023년 10월 18일, 19일에 이라크에서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 및 반이스라엘 시위가 일어났다. 동시에 반미 시위가 나타나기도 했다. [[https://v.daum.net/v/20231019141502887|#]], [[https://v.daum.net/v/20231019191045239|#]] == 문화 교류 == [[바빌론 유수]] 이후 이라크 일대는 고대 이래 유대교 학문의 중심지 역할을 맡아왔다. [[탈무드]]는 메소포타미아의 수라와 품베디타의 예시바에서 만들고 다듬어진 것이다. 그러나 몽골 제국의 바그다드 침공과 약탈 이후 이라크 일대의 도회지들이 황폐화되는 과정에서 이라크의 유대인 공동체는 심각할 정도로 약화되었다.[* 물론 완전히 사멸한 것은 아니다. 이라크 남부의 도회지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은 [[영국령 인도 제국]] 등으로 이주하여 부를 축적하기도 했는데, 이들 중 영국의 유대계 재벌로 성장한 서순 가문도 있다.] 이라크 북부 쿠르디스탄 일대를 중심으로 [[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공동체들이 일부 잔류하기도 했으나, 이들은 대개 제1차 중동전쟁 전후하여 대부분 고향을 버리고 이스라엘로 이주하게 되었다. == 대사관과 교통 교류 == 두 나라는 현재 갈등이 심각하고, 이라크는 팔레스타인만 인정하다보니 두 나라를 잇는 항공 노선과 대사관들은 현재 없는 편이다. == 기타 == 2000년 5월 28일, 성폭력 문제로 물러난 이츠하크 모라데차이 이스라엘 부총리는 이라크 출신의 유대인이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003679?sid=104|#]] == 관련 문서 == * [[이라크/역사]] * [[이스라엘/역사]] * [[이라크/정치]] * [[이스라엘/정치]] * [[이라크/경제]] * [[이스라엘/경제]] * [[이스라엘/외교]] * [[이라크/외교]] * [[이슬람]] ([[수니파]], [[시아파]]) / [[유대교]] * [[이라크인]] / [[이스라엘인]]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이라크의 대국관계]][[분류:이스라엘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