イドへ至る森へ至るイド [include(틀:사운드 호라이즌)] ||<-2><#808080> {{{#ffffff 이전 ↔ 이후 [[사운드 호라이즌/음반 목록|{{{#ffffff '''사운드 호라이즌 음반'''}}}]]}}} || ||<-2> 6th Story CD [[Moira]] ↔ 7th Story CD [[메르헨(음반)|Märchen]]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드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이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드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이드 한정판.jpg|width=100%]]}}} || ||<-2> {{{#ffffff Prologue Maxi 『이드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이드』}}} || ||<-2> 동화는, 언제나 무덤에서 시작하는 거야…[* 출처: 이 문구는 각종 홍보 포스터와 가두 전시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음반 케이스 내지에도 적혀 있다.] || [목차] == 개요 == [[사운드 호라이즌]]이 2010년 6월 16일에 발매한 [[싱글]]. 바로 직후에 낸 7집 앨범 [[메르헨(음반)|Märchen]]에 대한 프롤로그에 해당한다. [[독일]]을 무대로 [[흑사병]]과 [[마녀사냥]]을 소재로 한 잔혹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오리콘차트]] 주간 순위 2위를 기록했으며, 2010년 6월 월간 순위 8위를 기록했다. [[한국]]에서는 수입 발매되었으며, 또한 [[벅스]]나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등에서 디지털 음원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 상세 설명 == 제목의 뜻은 동음이의어로 두가지가 있는데, 일본어대로 읽으면 우물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우물이라는 뜻이고, 심리학 용어와 라틴어로 대입하면 본능에 도달하는 죽음에 도달하는 본능이라는 뜻이다. (이도=우물·본능[* 이 중의적 의미를 잘 쓴게 1번 트랙 가사에 나오는 '''[[타나토스|"죽이라"]]고 [[리비도|"범하라"]]고 이드는 노래한다''' 부분이다.] / 모리=숲·죽음) 제목을 계속 반복해서 쓸 수 있다. ‘이드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이드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이드에 도달하는 숲에 도달하는 이드….’ [[앨범 아트]]와 가사집에도 이 반복 문구를 테두리 장식으로 활용했다. 팬들은 짧게 '이드이드' 정도로 줄여서 부르는 일이 많다. 이야기 무대가 [[독일]]이기 때문인지 노랫말에 [[독일어]]가 많이 나온다. 그래서 전까지 [[영어]] 나레이션을 맡았던 ‘아이크 넬슨’ 대신에 독일인 ‘사샤 보클’이 참여해서 독일어 나레이션을 읊었다. 특이한 가수가 하나 참여했다. 바로 [[VOCALOID|보컬로이드]]로 유명한 [[하츠네 미쿠]]인데, 인형 ‘엘리제’로서 노래를 부른다. 보컬로이드의 이질적인 노래톤이 [[인형]]이라는 컨셉과 잘 어울리는 편이다. 대사를 읊기도 하는데, 이는 하츠네 미쿠의 베이스가 되었던 [[후지타 사키]]가 맡아서 연기했다. 하츠네 미쿠 외에도 보컬로이드 ‘Junger März_PROTOTYPE''ß''’가 쓰이기도 했다. [[크립톤 퓨처 미디어]]에서 진행하는 ‘project if...’ 시리즈의 [[프로토타입]] 보컬로이드로, 하츠네 미쿠와 달리 어린 남자아이 목소리이다. ‘메르츠 폰 루도빙’으로서 짧게 한 소절만 노래하는데, 꽤 자연스럽게 들리는 편이다. 악기 연주자 중에도 새로운 얼굴들이 눈에 띈다. 메탈 밴드 [[메가데스(밴드)|메가데스]]의 기타리스트로 유명한 [[마티 프리드먼]], 록 밴드 [[SIAM SHADE]]의 드러머 준지가 새로 참여했다. 키보드와 피아노를 맡은 [[사쿠라바 모토이]]는 [[Revo]]가 [[시모츠키 하루카]]와 공동으로 작업한 «[[안개 저편으로 연결되는 세계]]»에 참여했던 멤버이다. 2010년에 발간한 팜플렛 ‘Holiday Special 2010’에는 이 음반에서 등장하는 인물을 이용한 재밌는 이야기가 실려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둠에 싸인 숲 속에는 오래된 우물이 있는데, 여기서 한 청년과 소녀가 살고 있었다. 청년 ‘메르헨 폰 프리드호프’는 생일을 맞이한 [[Revo|임금님]]을 위해 케이크를 준비한다. 이를 소녀 ‘엘리제’에게 들려 보내는데, 어째서인지 절대로 같이 먹지 말라고 당부한다.[br][br]엘리제를 맞이한 임금님은 고맙다며 같이 케이크를 들자고 권하지만, 엘리제는 당부대로 사양한다. 그리고는 다시 돌아가려고 발길을 돌리는데, 얼떨결에 다시 돌아봤을 때 눈에 들어온 임금님은 쓰러진 모습이었다.[br][br]돌아온 엘리제에게 메르헨 폰 프리드호프가 어땠냐고 묻자, 엘리제는 임금님 얼굴이 안 보여서 알 수 없었다고 한다. 그래도 분명 기뻐했을 거라고 덧붙인다. 메르헨 폰 프리드호프는 동감하며, 이 선물은 자기 같은 고뇌 덩어리를 태어나게 한 임금님에 대한 앙갚음, 아니 보답이라고 밝힌다. 그리고 [[으앙 죽음|마지막으로 관에 누워있는 임금님 모습]]이 나오면서 이야기는 끝.|| == 트랙 리스트 == * 초회 한정판 || 번호 || 한국어 제목 || 일본어 제목 || 시간 || || 1 ||빛과 어둠의 동화||光と闇の童話|| 7:37 || || 2 ||이 좁은 새장 속에서||この狭い鳥籠の中で|| 6:06 || || 3 ||그녀가 마녀가 된 이유||彼女が魔女になった理由|| 6:48 || || + ||검은 죽음의 행진||黒き死の行進|| 2:15 || 초회 한정판에는 ‹빛과 어둠의 동화› [[뮤직비디오]]를 수록한 [[DVD]]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DVD에는 모든 곡을 5.1 채널 음원으로 수록하기도 했다. * 통상판 || 번호 || 한국어 제목 || 일본어 제목 || 시간 || || 1 ||빛과 어둠의 동화 ||光と闇の童話|| 7:37 || || 2 ||이 좁은 새장 속에서 ||この狭い鳥籠の中で || 6:06 || || 3 ||그녀가 마녀가 된 이유 ||彼女が魔女になった理由 || 6:48 || || + ||테레제, 혹은 엘리제를 위해서... ||テレーゼ、もしくはエリーゼの為に… || 3:13 || == 참여자 == * 사운드 프로듀서, 작사, 작곡, 편곡 | [[Revo]] * 노래 | [[Revo|메르헨 폰 프리드호프]], [[Joelle]], [[마스다 미키|MIKI]], [[하츠네 미쿠]], Junger März_PROTOTYPE''ß'' (from [[크립톤 퓨처 미디어]]) * 목소리 | [[오오츠카 아키오]], [[후카미 리카]], [[토비타 노부오]], [[사와시로 미유키]], [[타니이 아스카]], [[오오카와 토오루]], [[후지타 사키]], 사샤 * 컴퓨터 프로그래밍 | Revo * [[일렉트릭 기타]] | [[마티 프리드먼]] * [[어쿠스틱 기타]], [[아이리시 부주키]] | 타시로 코이치로 * [[베이스 기타]] | 하세가와 아츠시 * [[피아노]], [[건반 악기#s-4|키보드]] | [[사쿠라바 모토이]] * [[드럼]] | 준지 * 겐 잇테츠 스트링스 * 제1[[바이올린]] | 겐 잇테츠, 나가토 마키, 키도 키요, 타지리 준, 우시야마 레이나, 후지이 모토코, 후지타 야요이, 오치아이 타카오 * 제2바이올린 | 모리 타쿠야, 카지타니 유코, 쿠로키 카오루, 이요쿠 오사무, 오시카네 타카유키, 와타나베 슈 * [[비올라]] | 카네코 요시코, 미키 쇼코, 니시무라 치카코, 후지나와 요코 * [[첼로]] | 호리사와 마사미, 모리타 카오루, 이와나가 토모키, 무라나카 토시유키 * [[콘트라베이스]] | 타케시타 요시노부, 입폰 시게키 * 합창단 * [[소프라노]] | 쿠보 사토코, 타미아키 미치, 와카이 유리아 * [[콘트랄토]] | 타나카 주리, 요코타 마사코, 호리 사나에 * [[테너]] | 키요미 타카시, 카미야 마사토, 오카야마 테츠야 * [[베이스(음악)|베이스]] | 코바 요시노리, 오오츠카 마사토, 키타니 케이지 * [[트럼펫]] | 미야시로 에릭, 코바야시 마사히로, 나카야마 코우스케 * [[트롬본]] | 나카가와 에이지로, 프레드 시몬스, 사토 히로키 * [[호른]] | 도야마 아츠시, 무라모토 타케시, 오오모리 케이지, 하라카와 쇼타로 * [[튜바]] | 사토 키요시 * [[플루트]] | 타카쿠와 히데요 * [[오보에]] | 쇼지 사토시 * [[클라리넷]] | 야마네 키미오 * [[바순]] | 오사와 마사오 * [[하프]] | 아사카와 토모유키 * [[아코디언]] | 쿠와야마 테츠야 * 솔로 [[바이올린]] | 겐 잇테츠 * [[효과음]] | 에비스 히로카즈 * [[앨범 아트]] | 요코얀 == 주요 등장 인물 == * 메르츠 폰 루도빙 * 노래: Junger März_PROTOTYPE''ß'' * 대사: [[타니이 아스카]] * 엘리자베트 폰 베틴 * 노래·대사: [[Joelle]] * 테레제 폰 루도빙 * 노래·대사: [[마스다 미키|MIKI]] * 메르헨 폰 프리드호프 * 노래·대사: [[Revo|메르헨 폰 프리드호프]] * 엘리제 * 노래: [[하츠네 미쿠]] * 대사: [[후지타 사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세 곡은 모두 하나의 사건을 각각 인물의 시점에서 본 줄거리를 담고 있다. 줄거리 앞 숫자는 사건의 전개 순서를 나타낸다. === 빛과 어둠의 동화 === 메르츠 폰 루도빙 시점의 곡. 다만 노래하는 것은 메르헨 폰 프리드호프이다. ③ 시력을 찾은 메르츠는 눈이 파란 여자아이를 친구로써 만나게 된다. 이후 테레제가 자신이 마녀라고 떠드는 소문을 듣고 숲에서 나와 이사하려는 과정에서 메르츠는 엘리자베트에게 작별인사와 인형[* 7지평에서 밝혀진 바로는 이 인형이 바로 추후 엘리제가 되는 그 인형이다. 이 때의 인형은 하얀 드레스가 입혀져 있으며, 엘리자베트와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반드시 데리러 와 줘"라는 약속을 받고 돌아간다. ④ 엘리자베트와 작별후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두 괴한을 만나게 되고 아무 의심 없이 집으로 들이지만, 괴한들에 의해 우물 속에 빠져 죽는다. 어머니 테레제 폰 루도빙은 괴한들을 칼로 제압하지만 방심한 순간 괴한들에게 당하고 만다. ⑦ 그리고 메르헨 폰 프리드호프가 된 메르츠는 엘리제라는 인형[* 엘리자베트가 이별선물로 건넨 그 인형이다.]과 함께 세상에 복수할 것을 다짐한다. === 이 좁은 새장 속에서 === 엘리자베트 폰 베틴 시점의 곡. ② 원래 엘리자베트 폰 베틴은 태어나자마자 병을 앓다 죽었어야 할 아이였지만, 어머니의 극진한 노력으로 숲에 사는 현녀의 도움을 받아 극적으로 소생한다. 그리고 그 현녀의 아들 메르츠 폰 루도빙을 알게 된다. ③ 메르츠와 엘리자베트는 곧 친해진다. 하지만 현녀가 이사를 하게 되면서 둘은 헤어지고, 엘리자베트는 메르츠에게 자신을 닮은 모습의 인형을 선물한다. ⑥ 오랜 시간이 흐르고 엘리자베트는 숲의 현녀가 마녀로 몰려 화형당한 것을 알게되고 그 후 그(메르츠)가 죽었다는 것도 알게 된다. 그리고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는 가족의 결정으로 결혼을 앞두게 된다. 그러나 엘리자베트는 메르츠 이외에는 사랑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 === 그녀가 마녀가 된 이유 === 테레제 폰 루도빙 시점의 곡. 안네리제라는 여자가 방백가 후계자의 간택 문제로 남자에게 매달리고 남자가 차갑게 내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테레제 폰 루도빙은 그 심정에는 공감하지만,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을 한다. ① 테레제 폰 루도빙은 시력이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아들 메르츠 폰 루도빙을 낳는다. 그 후 속죄의 날들을 보내기 위해 숲 속으로 이사해 메르츠의 눈을 치료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을 하게 된다. ② 어느 날 한 제후의 아내가 딸을 안고 테레제 폰 루도빙을 찾아온다. 테레제 폰 루도빙은 딸을 치료하는 데에 성공한다. 그리고 그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메르츠의 시력도 낫게 된다. 하지만 이 이야기가 퍼지고 퍼져 세간에 숲에 [[마녀]]가 산다는 소문이 돌게 된다. ⑤ 얼마 후, 테레제 폰 루도빙은 [[화형]]에 처해진다. 테레제는 죽어가면서 세상을 저주할 진짜 마녀가 될 것을 다짐한다. == 관련 항목 == * 아티스트 * [[Revo]] * [[Joelle]] * [[마스다 미키|MIKI]] * [[오오츠카 아키오]] * [[후지타 사키]] * [[마티 프리드먼]] * 작품 * [[메르헨(음반)|Märchen]] * [[마녀사냥]] * [[흑사병]] [[분류:사운드 호라이즌/음반]][[분류:일본의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