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D 알메리아/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463170_t181_2022_0_003_000.png|width=100%]]}}} || ||<-2> '''{{{#fff UD 알메리아 No. 4}}}''' || ||<-2> '''{{{#ee1119 {{{+1 이드리수 바바}}} [br] Iddrisu Baba}}}''' || || '''{{{#fff 본명}}}''' ||이드리수 바바 무함마드 [br] Iddrisu Baba Mohammed || ||<|2> '''{{{#fff 출생}}}''' ||[[1996년]] [[1월 22일]] ([age(1996-01-22)]세) || ||[[가나]] [[아크라]]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가나)] || || '''{{{#fff 신체 조건}}}''' ||182cm, 73kg || || '''{{{#fff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 || '''{{{#fff 주발}}}''' ||오른발 || || '''{{{#fff 포지션}}}'''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 21번 [br] [[RCD 마요르카]] - 12번 || || '''{{{#fff 유스 클럽}}}''' ||[[CD 레가네스]] (~2014) [br]→ {{{-1 [[RCD 마요르카]] (2014~2015 / ^^임대^^)}}} || || '''{{{#fff 소속 클럽}}}''' ||[[CD 레가네스]] B (2015~2016) [br]→ {{{-1 [[RCD 마요르카]] B (2015~2016 / ^^임대^^)}}} [br] [[RCD 마요르카]] B (2016~2018) [br]→ {{{-1 바라칼도 CF (2017~2018 / ^^임대^^)}}} [br] '''[[RCD 마요르카]] (2018~2023)''' [br] [[UD 알메리아]] (2023~)|| || '''{{{#fff 국가대표}}}''' ||20경기[* 2023년 9월 27일 기준.]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 / 2019~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나의 축구선수. 현재 [[UD 알메리아]]에서 뛰고있다. == 클럽 경력 == 가나의 수도 [[아크라]]에서 태어났으며, 유년기에 스페인으로 건너가 [[CD 레가네스]]와 [[RCD 마요르카]]에서 유소년 선수 시절을 보냈다. 그는 마요르카 B팀 소속이던 2015년 8월 29일에 펜야 시우타델랴를 상대로 성인 무대에 데뷔했다. 시즌 막바지에는 플라트헤스 데 칼비아와의 [[테르세라 디비시온]] 경기에서 데뷔골을 신고했다. 그리고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 B|승격]]을 해냈으며, 그는 마요르카와 완전 계약을 채결했다. 2017-18 시즌에는 바라칼도로 한 시즌 임대를 떠났다. 시즌 종료 후 원소속팀으로 복귀한 뒤에는 1군으로 콜업되어 리그 28경기를 소화하며 [[라 리가]] 승격에 공헌했다. 라 리가 승격 후 2022년까지 재계약을 연장했으며, 현재까지 주력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 2023/24 시즌을 앞두고 [[UD 알메리아]]로 이적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9년 11월,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남아공]]과 [[상투메 프린시페 축구 국가대표팀|상투메 프린시페]]와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예선 2연전을 앞두고 성인 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됐다. 그리고 13일 남아공전에 중앙 미드필더로 선발로 나서면서 데뷔전을 치룰 수 있었다. 카메룬에서 열린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무대에 참가하여 조별라운드 2경기를 소화했다. 그는 두번째 경기인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가봉]]전에서 부상으로 교체되면서 [[코모로 축구 국가대표팀|코모로]]와의 3차전에 나서지 못했다. 그리고 가나는 약체 코로모를 상대로 2:3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면서 조 최하위로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가나가 [[카타르 월드컵 아프리카 예선|월드컵 최종예선]]에서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를 밀어내고 8년만에 본선에 진출하게 되면서 첫번째 월드컵 출전을 앞두고 있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주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로, 딥라잉 플레이메이커로서 넓은 시야와 정확한 킥력, 빠른 판단력을 바탕으로 후방에서 롱패스, 숏패스 가리지 않고 정확히 뿌려주면서 후방 빌드업의 중심으로 활약한다. 엄청나게 민첩하거나 빠르지는 않지만 브라질리언답게 발재간이 좋아서 온더볼 상황에서 간단한 기술로 볼을 키핑하는 데에 능해 전방 압박에도 볼을 전방으로 뽑아내는 데에 능하다. 피지컬도 튼실해 강한 압박에도 빠르게 적응했다. 바바가 자리 잡으면서 [[살바 세비야]]의 롱패스에만 의존하던 마요르카의 빌드업이 훨씬 체계적으로 변한 것만 봐도 그가 갖춘 플레이메이커로서의 재능을 볼 수 있다. 활동량도 많아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도 가능하다. 특히 오프 더 볼 상황에서 좋은 위치로 찾아가는 능력이 상당히 좋아 간간히 박스 침투로 득점도 기록한다. 강력한 킥력을 기반으로 한 중거리 슛도 위협적이다. 수비 시에는 풍부한 활동량과 적절한 위치 선점을 통해 공을 쉽게 컷팅하거나 뒷공간을 커버한다. [[바리칼도 CF]] 시절부터 현재까지 매 시즌 경기당 성공한 태클 횟수가 2회가 넘어갈 정도로 태클 실력도 좋다. 하지만 다소 거친 수비 스타일 때문에 경고를 꽤 많이 받는다. 단점을 꼽자면 스피드.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서 기동력이 중요해진 현대에서 느린 스피드는 큰 단점이다. 하지만 이를 지능적인 위치 선정으로 메꾸고 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UD 알메리아)] [[분류:1996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아크라 출신 인물]][[분류:가나의 축구선수]][[분류:바라칼도 CF/은퇴, 이적]][[분류:CD 레가네스/은퇴, 이적]][[분류:RCD 마요르카/은퇴, 이적]][[분류:UD 알메리아/현역]][[분류:가나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분류: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참가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