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방공무원, rd1=이동학(소방공무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정치인, rd1=이동학(1982))] ||
'''이동학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O 신인상)]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56번}}}''' || || [[안명성]][br](1996~1998) || {{{+1 →}}} || '''{{{#fab93d 이동학[br](2000)}}}''' || {{{+1 →}}} || 윤성귀[br](2002~2004)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65번}}}''' || || 이근용[br](2001) || {{{+1 →}}} || '''{{{#fab93d 이동학[br](2002~2007)}}}''' || {{{+1 →}}} || 팀 해체 || ||<-5> '''{{{#fff [[우리 히어로즈|'''{{{#fff 우리}}}''']]{{{/}}}[[서울 히어로즈|'''{{{#fff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65번}}}''' || || 팀 창단 || {{{+1 →}}} || '''{{{#fff 이동학[br](2008)}}}''' || {{{+1 →}}} || [[박동원]][br](2009~2010) || ||<-5> '''{{{#fff [[서울 히어로즈|'''{{{#fff 서울}}}''']]{{{/}}}[[넥센 히어로즈|'''{{{#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54번}}}''' || || [[유선정]][br](2008) || {{{+1 →}}} || '''{{{#fff 이동학[br](2009~2010)}}}''' || {{{+1 →}}} || [[브랜든 나이트(야구)|나이트]][br](2011~2013. 4. 17.)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4번}}}''' || || 김기남[br](2010) || {{{+1 →}}} || '''{{{#fff 이동학[br](2011)}}}''' || {{{+1 →}}} || [[임기영]][br](2012~2014)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62번}}}''' || || 강성민[br](2011) || {{{+1 →}}} || '''{{{#fff 이동학[br](2012)}}}''' || {{{+1 →}}} || [[박상규(야구선수)|박상규]][br](2013~2014)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43번}}}''' || || [[윤정우]][br](2012) || {{{+1 →}}} || '''{{{#fff 이동학[br](2013~2014)}}}''' || {{{+1 →}}} || [[윤정우]][br](2015) || }}} || ||<-2>
[[파일:external/4fefda6fa9ccf9634975656908b7d0cd5ea9704c273a1a35e5246bae282398cb.jpg|width=100%]] || ||<-2> [[넥센 히어로즈]] 소속 당시. || ||<-2> '''{{{+2 이동학}}}[br]李東學 | Dong-hak Lee''' || || '''출생''' ||[[1981년]] [[5월 6일]] ([age(1981-05-06)]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회원초 - [[마산동중학교|마산동중]] -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 드래프트#s-3.2|2000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현대 유니콘스|현대]]) || ||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 (2000~2007)''' [br] [[우리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서울]]-[[넥센 히어로즈]] (2008~2010) [br] [[한화 이글스]] (2011~2012) [br] [[LG 트윈스]] (2013~2014) || || '''지도자''' ||[[상인천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7) [br] [[충암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1~)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1~200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KBO 리그|프로야구]] 선수. == 선수 경력 ==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를 졸업하고 2차 1순위 지명으로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했다. 1억 3,500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계약금을 받고 들어온 나름 기대주였지만 당시 투수왕국이라 불리던 [[현대 유니콘스]]에서 고졸 신인의 자리는 없었고, 결국 입단하자마자 군 문제 해결을 위해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 입대한다. 그리고 2003 시즌, 입단한 지 3년만에 제대로 프로에 모습을 드러낸 그는 [[KBO 신인상]] 타이틀을 거머쥐며 1군 무대에 연착륙한다.[* 현대는 그 다음 시즌 [[오주원|오재영]]까지 신인왕을 수상하면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시즌 연속으로 신인왕을 배출한다.] 하지만 이후 팔꿈치, 어깨 부상에 슬럼프까지 겹치며 점점 팬들에게 잊히는 선수가 된다. 첫 해 8승을 거둔 이후 7년 동안 2승을 추가하는 데 그치는 부진 끝에 결국 2010 시즌 후 팀에서 방출되었고, [[한화 이글스]]가 그를 영입한다. 입단과 함께 수술을 받고 재활에 매달렸으나 더 이상 가망이 없다고 판단했는지 한화는 2012 시즌 후 그를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했고, 이어 [[LG 트윈스]]가 [[육성선수|신고선수]]로 데려갔다. 그러나 더 이상 재기하지 못했고, 햄스트링 부상이 악화되어 2014년 7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0&aid=0000000948|2017년 상인천중학교 야구부 코치를 지냈으며]] 이후 공백기를 거쳐 2021년 [[충암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부임했다. [[박명환야구TV]]에서 [[조용훈]]이 밝힌 바에 따르면 싸움 실력이 좋으며 비시즌 기간에도 격투 연습을 한다고 한다. == 행운의 신인왕 == 2003 시즌 이동학이 거둔 8승 3패 [[평균자책점|ERA]] 5.35는 신인으로서 나쁜 성적이라고 볼 수 없지만, [[KBO 신인상|신인왕]]이라는 타이틀에 걸맞는 성적도 분명히 아니었다. 하지만 그 해는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역사상 '''최악의 신인 흉작 시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좋은 성적을 거둔 신인이 없었다. 그 해 1차 지명으로 입단한 고졸 신인 [[송은범]][* 45경기 등판, 76⅓이닝 소화. 6승 5패 4세이브 7홀드, 평균자책점 6.78], [[안영명]][* 34경기 등판, 44이닝 소화. 3승 0패 2세이브 1홀드, 평균자책점 3.89], [[노경은]][* 5경기 등판, 19⅔이닝 소화. 3승 1패 0세이브 0홀드, 평균자책점 4.12], [[박경수]][* 84경기 172타수 47안타 타율 0.273 1홈런 19타점.]는 고교 시절의 활약과 달리 프로 첫 해 기대에 못 미쳤다. 그나마 이 대형 유망주 중에서 그나마 준수한 성적을 거둔 선수는 [[안영명]] 밖에 없다.[* 하지만 안영명의 평균 자책점은 말이 좋아 3점대이지 선발, 계투 등으로 나오면서 거둔 성적이며 그 마저도 4점대에 가깝기 때문에 하위 선발투수로 시즌 내내 등판한 이동학보다 임팩트가 부족했다.] 이 외에 101경기 212타수 59안타 타율 0.278 4홈런 17타점을 기록한 같은 현대 소속의 [[이택근]]이 이동학의 유일한 대항마였을 정도였다.[* 그마저도 현재는 이택근한테 신인왕을 줬어야 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유는 이택근의 데뷔 당시 포지션은 [[포수]]였기 때문.] 이렇듯 큰 경쟁자가 없었던 탓에 이동학은 소속팀인 현대의 우승, 그리고 하위 선발로 등판하면서 제법 무난한 성적을 올렸기 때문에 이택근과 경쟁하며 비교적 쉽게 신인왕 타이틀을 따낼 수 있었지만,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볼품없고 인지도 없는 신인왕으로 불리게 된다. 심지어는 1988년도 신인왕이었던 [[이용철(야구)|이용철]](前 [[KBS N 스포츠]] 해설위원)보다도 더 볼품없는 신인왕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용철의 경우 당해 리그 방어율 5위에 오를 정도로 훌륭한 성적이었기에 볼품없는 신인이라고 보기 힘들다. 이용철은 신인왕 이후의 커리어가 좋지 않아서 저평가 받는게 크고, 옛날엔 [[투승타타|승수로 투수를 평가]]했기에 저평가를 받은 것. 스탯티즈 기준 WAR도 이용철 2.75, 이동학 0.57로 차이가 많이 나며, ERA+도 이용철은 136인데 반해 이동학은 80이다.] 이후 좋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면 그나마 덜했겠지만, 워낙 추락만 하는 모습을 보이니 더더욱 조롱거리가 되는 면이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ab93d 역대 기록}}} || || {{{#fab93d 연도}}} || {{{#fab93d 소속팀}}} || {{{#fab93d 경기수}}} || {{{#fab93d 이닝}}} || {{{#fab93d 승}}} || {{{#fab93d 패}}} || {{{#fab93d 세}}} || {{{#fab93d 홀}}} || {{{#fab93d 승률}}} || {{{#fab93d ERA}}} || {{{#fab93d 피안타}}} || {{{#fab93d 피홈런}}} || {{{#fab93d 4사구}}} || {{{#fab93d 탈삼진}}} || {{{#fab93d 실점}}} || {{{#fab93d 자책점}}} || {{{#fab93d WHIP}}} || || 2000 ||<|8> [[현대 유니콘스|현대]] ||<-15><|3> 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01 || || 2002 || || 2003 || 27 || 77⅓ || 8 || 3 || 0 || 0 || 0.727 || 5.35 || 91 || 8 || 37 || 41 || 55 || 46 || 1.603 || || 2004 || 3 || 5⅔ || 0 || 1 || 0 || 0 || 0.000 || 11.12 || 11 || 2 || 8 || 2 || 7 || 7 || 2.824 || || 2005 || 26 || 42⅓ || 0 || 2 || 0 || 0 || 0.000 || 4.04 || 54 || 5 || 27 || 23 || 25 || 19 || 1.843 || || 2006 || 7 || 8⅓ || 0 || 2 || 0 || 0 || 0.000 || 9.72 || 10 || 0 || 8 || 9 || 10 || 9 || 1.920 || || 2007 || 20 || 29⅓ || 1 || 2 || 0 || 0 || 0.333 || 6.44 || 29 || 6 || 23 || 15 || 24 || 21 || 1.70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8 || [[키움 히어로즈|우리]] || 2 || 6⅓ || 0 || 0 || 0 || 0 || 0.000 || 4.26 || 10 || 1 || 3 || 3 || 3 || 3 || 2.053 || || 2009 ||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 || 18 || 28⅓ || 1 || 3 || 0 || 0 || 0.250 || 6.99 || 37 || 2 || 23 || 20 || 23 || 22 || 2.012 || || 2010 || [[키움 히어로즈|넥센]] || 8 || 16⅓ || 0 || 1 || 0 || 0 || 0.000 || 7.16 || 25 || 1 || 9 || 9 || 17 || 13 || 2.02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1 ||<|2> [[한화 이글스|한화]] ||<-15><|2> 1군 기록 없음 || || 201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3 ||<|2> [[LG 트윈스|LG]] ||<-15><|2> 1군 기록 없음 || || 2014 || ||<-2> '''[[KBO 리그|KBO]] 통산''' [br] (8시즌) || 111 || 214 || 10 || 14 || 0 || 0 || 0.417 || 5.89 || 267 || 25 || 138 || 122 || 164 || 140 || 1.808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마산회원구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KBO 신인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