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동철}}}'''[br]'''李東喆'''}}}}}} || || '''창씨명''' ||마츠무라 토테츠(松村東喆)[br]마츠무라 시게이치(松村茂一) || || '''본관''' ||[[서림 이씨]][* 진사공파(進士公派) 24세 철(喆) 항렬.] || ||<|2> '''출생''' ||[[1901년]] [[3월 13일]][* 서천(서림)이씨대동세보 하권 301쪽에는 1903년 5월 20일생으로 등재돼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홍산군]] 대야면 신동리[br](現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식송마을 95번지) || || '''사망''' ||[[1964년]] [[5월 12일]] (향년 63세) || || '''묘소'''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식송마을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이호철(독립운동가)|이호철]]은 그의 4촌 동생이다. == 생애 == 1901년 3월 13일 충청남도 홍산군 대야면 신동리(現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식송마을 95번지)에서 아버지 이병희(李炳凞, 1868. 10. 10 ~ 1928. 2. 10)와 어머니 [[한산 이씨]](? ~ ?. 7. 3)[* 이승신(李承信)의 딸이다.] 사이에서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31년 10월 충청남도 부여군·[[서천군]]·[[논산시|논산군]]·[[홍성군]] 등을 중심으로 조직된 [[http://db.history.go.kr/id/su_010_1933_12_07_0210|공산주의연구협의회]](共産主義硏究協議會)[* [[http://db.history.go.kr/id/hdsr_013_0730|부여공산주의자협의회]](扶餘共産主義者協議會), [[http://db.history.go.kr/id/hdsr_013_0710|금강공산협의회]](錦江共産協議會), [[http://db.history.go.kr/id/tcmd_1935_10_15_0030|충남공산당협의회]](忠南共産黨協議會), [[http://db.history.go.kr/id/tcmd_1935_11_20_0030|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朝鮮共産主義者協議會), 금강문인회(錦江文人會)라고도 한다.]에 가입해 [[이호철(독립운동가)|이호철]](李戶喆)·이중철(李中喆)·[[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902|유기섭]](柳基燮)·[[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086|노명우]](盧命愚)·[[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638|노명우]](盧明愚)··[[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699|강병국]](姜秉國)·[[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696|강성모]](姜聖模)·[[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0036|강일구]](姜日求)·[[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817|조병철]](曺秉哲)·[[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059|조병순]](曺秉順)·[[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58489|강도형]](姜道馨)·[[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58496|강주구]](姜柱求)·[[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4976|장창선]](張昌善)·오기영(吳祺泳)·최재봉(崔在鳳)·전영철(田泳喆)·김임술(金壬戌)·허원룡(許元龍)·유인철(柳寅喆)·강병환(姜秉煥) 등과 함께 부여군 홍산면을 비롯한 부여군 각지의 마을에 공산주의연구협의회의 지부를 조직한 뒤 농민들을 위한 [[야학]] 및 [[노동조합]]을 개설하고 가난한 집안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계몽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각 마을의 야학을 연합해 수시로 연합 토론회 및 운동회를 개최해 [[공산주의]]를 선전하는 노래를 부르게 하는 등 계급의식을 고취했다. 그러나 1933년 8월에서 9월 초 사이에 일본 경찰에 [[http://db.history.go.kr/id/npda_1933_12_09_x0002_1080|체포되었고]], 1933년 12월 18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143&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5687&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곧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은거하다가 1964년 5월 12일 별세했다. 202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부여군 출신 인물]][[분류:서림 이씨]][[분류:1901년 출생]][[분류:1964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