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양궁 선수, rd1=이다빈(양궁), other2=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rd2=이다빈(프로게이머))]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0 도쿄 올림픽/태권도)] ---- ||<-2>
'''{{{+1 이다빈}}}[br]李多嬪 | Lee Dab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다빈 항저우.jpg|width=100%]]}}} || ||<|2> '''출생''' ||[[1996년]] [[12월 7일]] ([age(1996-12-07)]세)|| ||[[울산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신정초등학교[br]옥동중학교[br][[효정고등학교]][br][[한국체육대학교]]|| || '''종목''' ||[[태권도]]|| || '''체급''' ||미들급(+67kg)|| || '''소속''' ||[[서울특별시청]]|| || '''신체''' ||178cm, 70kg|| || '''SNS''' ||[[https://instagram.com/lee.da._.b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이며, [[2020년 도쿄 올림픽]] +67kg급 은메달리스트다. == 선수 경력 == === [[2020 도쿄 올림픽]] === [[https://youtu.be/Rvcpc7idwj0|16강]]에서 트라오레를 상대로 17-13으로 꺾었고, [[https://youtu.be/3K7qZinazTk|8강]]에서는 페게로 로드리게스를 상대로 23-14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 da bin 4강.jpg|width=100%]]}}} || [[https://youtu.be/Sc1uqEcGOGc|준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인 [[영국]]의 비앙카 워크던을 만났다. 워크던이 10점 만점인 경고를 8점이나 받을 정도로 격한 플레이를 펼친 데다[* 주로 손을 이용해 끌어당기는 반칙을 많이 했는데 1회전엔 이다빈을 잡고 공격해 주심의 판단으로 펀치 공격의 점수가 무효가 되었고, 3회전에도 손으로 이다빈을 끌어당겨 몸통 공격을 해 감점을 받았으나 이때 같이 한 몸통 공격의 점수가 깎이지 않아 한국 코치진이 항의해 [[비디오 판독]]에 들어가 무효로 처리되었다. 즉 워크던 입장에선 반칙 점수 8점과 부수로 얻어낸 3점을 합쳐 총 11점을 반칙으로 손해 보게 된 셈이다. 이를 두고 [[SBS]] 중계에선 올림픽에 많이 출전해 본 선수라 이런 모습을 안 보이게 잘한다는 평을 남겼다.] 경기 종료 3초 전 2점 차로 뒤지는 등 상당히 고전하였으나 단 '''1초'''를 남기고 상대방의 머리를 정확히 가격한 3점짜리 발차기(HEAD)로 극적인 [[https://programs.sbs.co.kr/sports/tokyo2020/clip/69737/22000419790|역전승]]을 이뤄내며 25-24로 결승에 진출하였다. 이다빈의 일격에 큰 충격을 받은 듯 워크던이 한동안 일어나지 못하자 이다빈은 곧바로 세리머니를 멈추고 다가가 괜찮냐고 물어보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경기 후 워크던은 동메달 결정전 뒤 BBC와의 인터뷰에서 승리를 "조금 도둑맞은 것 같다", "이다빈이 발차기 전에 자신을 붙잡았는데 감점을 받지 않았다." 등의 인터뷰로 심판 판정 등에 억울함을 호소하는 발언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다빈 은메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다빈 엄지척.jpg|width=100%]]}}} || 결승전에서는 밀리차 만디치와 대결을 했다. 1라운드 초반부터 5실점을 내주며 시작했고, 2라운드에서 상대의 감점과 몸통 공격으로 3점을 따라잡으며 3-6을 만들었다. 이후 3라운드에서 41초를 남기고 주먹과 몸통 공격으로 동점을 만들었지만, 이후 4점을 내리 내주며 '''7'''-10으로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을 차지했다. 그럼에도 정작 본인은 아쉬워하는 기색 없이 홀가분하고 기쁜 표정으로 상대에게 엄지척을 해 보이며 진심으로 축하해주는 스포츠맨쉽까지 보여주었다. 경기 후 국민들이 준결승보다 덜 재밌었을 거 같아 아쉽다는 코멘트를 남겼다. === 2022 국가대표 선발전 === 국가대표 1차 선발전 -73kg급 결승에서 윤설화를 22대 6으로 꺾고 1위를 기록했다. 국가대표 2차 선발전에서는 -73kg급 결승에서 명미나를 27대 23으로 꺾고 우승했다. === 2022 세계 태권도 선수권 === 무난히 결승까지 진출하나 결승에서 세르비아의 다크호스 보자니치에게 잇달아 역습을 허용하면서 완패,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 2023 WT 세계 선수권 대회 === 16강에서 이탈리아의 마리스텔라 스미라글리아에게 라운드 점수 0-2로 패배했다. 도쿄 올림픽에서 패자의 품격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이날은 패배 이후 눈물을 보였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은메달 || [[2020 도쿄 올림픽|2020 도쿄]] || +67kg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9 맨체스터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2019 맨체스터]] || -73kg || || 은메달 || 2022 과달라하라 || -73kg || ||<-4>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2014 인천]] || -62kg || || 금메달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자카르타·팔렘방]] || +67kg || || 은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67kg || ||<-3> {{{#white 아시아선수권}}} || || 금메달 || 2016 마닐라 || -73kg || || 동메달 || 2018 호찌민 || -73kg || ||<-3> {{{#white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 2022 로마 || +67kg || || 금메달 || 2022 파리 || +67kg || || 금메달 || 2019 로마 || +67kg || || 금메달 || 2018 타오위안 || +67kg || || 은메달 || 2017 아비장 || +67kg || ||<-3> {{{#white 그랜드슬램 챔피언스}}} || || 금메달 || 2019 우시 || +67kg || ||<-3>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2017 타이베이 하계 유니버시아드|2017 타이베이]] || -73kg || || 동메달 ||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2015 광주]] || 단체전 || || 동메달 || [[2017 타이베이 하계 유니버시아드|2017 타이베이]] || 단체전 || ||<-3> {{{#white 주니어 아시아선수권}}} || || 동메달 || 2013 자카르타 || -63kg || == 여담 == * 본인이 기계치인 관계로 유튜브를 시작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 잘 때 본인이 코를 골아서 상대방이 코를 골아도 괜찮다고 한다. * 초등학생 때는 축구를 했으며 중학교 진학을 축구로 하려고 했으나 기숙사 생활이 걱정된 부모님 때문에 무산됐고 친구가 하는 태권도로 진로를 전향했다. *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는 [[ESFJ|ESFJ-T]]다. * 가장 좋아하는 색은 노란색이며,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삼겹살이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2> '''국가대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쿄올림픽 태권도이다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다빈 항저우.jpg|width=100%]]}}} || || '''{{{#fff 2020 도쿄 올림픽}}}''' || '''{{{#fff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태권도 선수]][[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6년 출생]][[분류:한국체육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태권도 메달리스트]][[분류:2020 도쿄 올림픽 태권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