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기윤}}}'''[br]'''李其潤'''}}}}}} || || '''초명''' ||이[[증자(인물)|증삼]](李曾參)[* 이 이름으로 [[독립유공자]]에 서훈되었다. [[진주고등학교|진주고등보통학교]] 졸업 직후에 이기윤으로 [[http://www.gosnews.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448&idx=25215|개명했다고 한다]].] || || '''자 / 호''' ||관부(寬夫) / 화성(化晟) || || '''본관''' ||[[함안 이씨]][* 운포공파(雲圃公派) 24세 수(洙) 항렬이나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다만 둘째 남동생 이호수(李皞洙, 1936. 9. 6 ~ )가 항렬자를 썼다.] || ||<|2> '''출생''' ||[[1913년]] [[3월 27일]]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서읍면 양덕리[br](現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고성읍]] 덕선리 양덕마을 616번지) || ||<|2> '''사망''' ||[[2003년]] [[3월 14일]] (향년 89세) || ||[[경기도]] [[성남시]] 자택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1055호 || || '''상훈''' ||건국포장 수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3년 건국포장이 수여되었다. [[이갑영]] 전 경상남도 고성군수는 이기윤의 [[http://www.gosnews.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448&idx=25215|장남이다]]. == 생애 == 1913년 3월 27일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서읍면 양덕리(現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고성읍]] 덕선리 양덕마을 616번지)에서 아버지 덕포(德圃) 이진용(李鎭龍, 1886. 11. 19 ~ 1948. 12. 25)[* 자는 위현(渭賢).]과 어머니 [[합천 이씨]](1888. 8. 26 ~ 1914. 4. 9)[* 이정주(李正柱)의 딸이다.]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진주고등학교|진주고등보통학교]](現 [[진주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이던 1930년 1월 17일 [[광주학생항일운동]]에 호응하는 동맹휴학을 전개하며 노예식교육 폐지, [[일본 제국 경찰]]의 교내 진입 금지, 광주학생항일운동 관련 구금 학생 석방 등을 요구했다. 이후 일본 제국 경찰에 2학년 주동자로 체포되었고, 학교 당국으로부터 정학을 당했다가 나중에 복학하였다. 1933년 11월 27일에는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499|한계수]](韓桂壽)·[[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0273|전사옥]](全駟玉)[* 김사옥(金駟玉)으로 오기된 자료도 있다.]·장준(張駿)·[[황진생]] 등과 함께 비밀결사 적색독서회[* 다른 명칭은 학생협의회]를 조직하고, 이기윤 자신은 5학년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8개월간 동지를 모으는 등 조직을 확대하고 사회과학서적을 돌려가며 읽었다. 그러던 1934년 5월 일본 제국 경찰에 발각되어 체포되었고, 진주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이 사이 손톱과 발톱이 빠지는 등 혹독한 고문을 받았고, 1934년 8월 3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받아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진주고등보통학교에 복학해 졸업했다. [[8.15 광복]] 후 [[초등교사]]에 임용되어 교단에 섰고, 초등학교 교장에까지 오른 뒤 퇴임했다.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수여되었다. 2003년 3월 14일 오전 1시 30분에 [[경기도]] [[성남시]] 자택에서 [[지병]]으로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0303141835121|사망했다]]. 유해는 2003년 3월 1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안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함안 이씨]][[분류:고성군(경상남도) 출신 인물]][[분류:1913년 출생]][[분류:2003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