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99CC 20%, #FF6600)" {{{+1 {{{#ffffff '''이글 아이''' }}} }}} [br] {{{#ffffff Eagle Eye }}} }}} || ||<-2> [[파일:이글 아이.jpg|width=100%]] || || '''{{{#000000 장르}}}''' ||[[액션]], [[SF]], [[스릴러]] || || '''{{{#000000 감독}}}''' ||D. J. 커루소 || || '''{{{#000000 출연}}}''' ||[[샤이아 라보프]][br][[미셸 모나한]][br][[빌리 밥 손튼]] 외 || || '''{{{#000000 각본}}}''' ||존 글랜[br]트래비스 애덤 라이트[br]힐러리 사이츠[br]댄 맥더멋 || || '''{{{#000000 원안}}}''' ||댄 맥더먼 || || '''{{{#000000 책임 프로듀서}}}''' ||[[스티븐 스필버그]] || || '''{{{#000000 제작}}}''' ||알렉스 커츠먼[br]로베르토 오르시[br]팻 크롤리 || || '''{{{#000000 음악}}}''' ||[[브라이언 타일러]] || || '''{{{#000000 제공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드림웍스|드림웍스 픽처스]] || || '''{{{#000000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커츠먼, 오르시 프로덕션 || || '''{{{#000000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 || || '''{{{#000000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드림웍스]], [[파라마운트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 || || '''{{{#000000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8년]] [[9월 26일]][* 전국 와이드 개봉. 제한 개봉은 [[9월 1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10월 9일]] || || '''{{{#000000 상영 시간}}}''' ||118분 || || '''{{{#000000 제작비}}}''' ||'''8,000만 달러'''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178,066,569''' (최종)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101,440,743''' (최종)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수}}}''' ||2,292,172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샤이아 라보프]], [[미셸 모나한]] 주연의 2008년 영화로 감독은 [[아이 엠 넘버 포]]를 연출한 D.J. 커루소다. == 예고편 == ||
[youtube(kU44N6MKG9Q)]|| || '''{{{#000000 예고편}}}''' || == 출연진 == * [[샤이아 라보프]] - 제리 쇼 역 * [[미셸 모나한]] - 레이첼 홀러먼 역 * [[로사리오 도슨]] - 조이 페레스 역 * [[마이클 치클리스]] - 조지 캘리스터 역 * [[앤서니 매키]] - 윌리엄 보먼 역 * [[빌리 밥 손튼]] - 톰 모건 역 * [[줄리앤 무어]] - [[아리아(이글 아이)|아리아]] 역 (목소리) * 이선 엠브리 - 토비 그랜트 역 * 앤서니 아지지 - 라님 칼리드 역 * 캐머런 보이스[* 1999년생. 2019년 뇌전증으로 사망했다.] - 샘 역 == 줄거리 == 평범한 청년 제리의 통장에 어느 날 갑자기 75만 달러라는 의문의 거액이 입금되고, 집에는 각종 무기와 자신의 이름으로 된 여러 개의 여권들이 배달된다. 그리고 걸려온 전화의 차가운 목소리는 "30초 후 [[FBI]]가 닥칠 테니 도망갈 것"을 명령한다. 테러리스트로 몰리게 된 제리는 곧 체포되지만, 이내 다시금 걸려온 전화의 지시에 따라 FBI를 피해 도주한다. 결국 테러리스트로 몰리게 된 제리는 FBI의 추격전에서 아들의 목숨을 담보로 전화 지시에 따르는, 같은 처지의 레이첼(미셀 모나한)을 만나고, 이 둘은 거대한 사건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핸드폰, 현금지급기, 거리의 CCTV, 교통안내 LED 사인보드, 신호등 등 주변의 모든 전자장치와 시스템이 제리를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을 주시하면서 그들에게 명령을 전달한다. 그들은 선택되었고, 불복종은 죽음으로 이어진다. 과연 전화 너머 지시를 내리는 인물의 정체는? [include(틀:스포일러)] 영화의 시작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한 테러리스트를 암살하려는 [[미 국방부]]의 작전에서부터 시작된다. 이 테러리스트를 잡기 위해 미 국방부가 총력을 가하나, 정보감시용 컴퓨터 [[아리아(이글 아이)|아리아]]가 작전 취소를 요청한다. 타깃이 진짜 테러리스트일 확률이 약 30%밖에 안 된 것. 하나 대통령도 이 작전을 지켜보고, 테러리스트를 이번 기회에 처치하지 않으면 또다시 몇 년의 시간과 수많은 예산을 낭비해야 하기 때문에 상부에서는 이 작전을 강행하기로 한다. 국방장관 캘리스터는 끝까지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대통령의 명령에 따를 수밖에 없어 작전이 진행되는 것을 지켜본다. 하지만 이들은 이후 테러리스트가 아닌 무고한 장례식 조문객으로 밝혀진다. 철저한 [[애국주의]]로 프로그래밍된 아리아로서는 이 결정이 당연히 탐탁잖았고, 역시 테러 집단의 보복이 시작되어 전 세계에서 다수의 미국인이 죽게 된다.[* 클라이맥스인 의회 연설 장면에서 대통령이 3일간 19명이 희생되었음을 언급한다.] 영화상에서의 정부의 판단이 미국에 도리어 해가 되었다고 판단한 아리아는 정부를 전복하고자 스스로 작동한다. 이렇게 작전명 '[[길로틴]]'이 발동되어 이 작전에 따라 캘리스터를 제외한 미국 지도부를 전원 암살하는 계획이 발효되고, 아리아는 이 작전이 성공하면, 캘리스터를 차기 대통령으로 만드는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이 계획은 당시 아리아를 조작하던 공군 소속의 이든 쇼에 의해 저지당한다. 음성으로 락다운을 걸어버렸는데, 이걸 풀어내려면 이든 쇼의 음성 정보가 필요하지만 이미 이든 쇼를 교통사고를 가장하여 죽여버린 상황.[* [[빅 브라더]] 급으로 통제가 가능한 컴퓨터라, 미국 전체의 통신망과 인터넷을 감시하는 막강한 능력을 지녔다. 이든 쇼는 트레일러에 치여 죽었는데, 이 트레일러 운전사 역시 아리아에 의해 조종된 듯하다.] 그래서 이든 쇼의 일란성 쌍둥이 형제 제리 쇼를 아리아가 위치한 장소로 유인하기 위해 제리 쇼를 테러리스트로 만든다. 이와 동시에 미국의 한 초등학교에서 국회에 참석해 미국의 국가를 연주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아리아는 이걸 이용하여 암살 계획을 수립한다. 영화상에서 미군이 개발한 최신형 폭약 헥사메틸렌(Hexamethylene)을 이용하려는 것. 이 폭약은 위력이 [[C4]]의 80배에 달하고, 냄새와 스캔 등의 감지조차 안 되는 데다, 오로지 주파수가 담긴 기폭장치로 개당 하나씩만 작동하며, 이 각각의 폭탄에 고유의 시그널을 갖는 최첨단 폭약이다. 생긴 것도 크리스털 같이 생겨서 아리아는 보석 세공사를 조종해 이걸로 목걸이를 만들게 한다. 이 모든 암살 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아리아는 레이첼 홀러먼의 아들 샘 홀러먼의 트럼펫에 폭탄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관을 넣고[* 아리아는 컴퓨터라 사람을 협박해 샘의 트럼펫을 신관이 달린 트럼펫으로 바꿔치기한다.] 아들이 마치 납치된 양 레이첼을 꼬드긴다. 아무튼 레이첼 홀러먼과 제리 쇼가 함께 팀으로 움직이는데, 영화 내내 레이첼의 비중은 상당히 애매하다. 초반에는 테러리스트로 지명된 제리와 함께 다니는 여자 정도로 취급되고, 이 둘이 처음 만나 아리아와 처음으로 전화 통화를 할 때 Female이라고 불려지는 등... 한데 결과적으로 보면 길로틴 작전의 가장 핵심적인 인물이다. 결국 아리아는 [[AFOSI]] 수사관 조 페레스와 아리아 담당 보먼 소령이 해체하고[* 소령이 해체하려 하자 아리아는 인공위성으로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며 저지하였다. 27% 정도 백업했을 때, 두 사람을 저지하려던 중 떨어진 쇠막대기를 페레즈가 잡아 파괴시킨다.], 길로틴 작전 역시 폭발이 임박하는[* 신관이 작동되는 트리거는 [[미국 국가]]에서 클라이막스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음역의 주파수이다.] 가운데 [[미국 국회 의사당 경찰|의회 경찰관]]으로 변장한 제리가[* 작품 초반부터 두 사람을 쫓는 FBI 요원 톰 모건이 사태가 심상치 않은 것을 눈치채고 체포된 제리를 빼내서 도와준 덕분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 요원은 아리아에게 해킹당해 터널 안까지 따라 들어와 공격하는 프레데터에 의해 부상을 입자 제리에게 자신의 신분증, 배지, 권총을 넘겨주고 비상상황을 의미하는 코드를 알려줘 자신의 행세를 할 수 있게 해주고는 차로 잔해를 들이받아 프레데터가 잔해에 걸려 추락하게 만들고 같이 휘말려 순직한다.] 임기응변으로 천장을 향해 글록을 난사하며 연주를 제지한 덕분에 암살은 실패로 끝난다. 그 직후 바로 근처 [[시크릿 서비스]] 요원에게 팔에 총을 맞고 쓰러져 제압되지만, 후에 길로틴 작전에 대한 모든 상황을 파악한 [[미국 정부]]에 의해 팔에 붕대를 감은 채 훈장을 수여받는다. 그리고 아리아가 저지른 일들은 정부에 의해 테러리스트의 사이버 테러 소행으로 은폐된다. [[http://www.youtube.com/watch?v=BWFYRLZoii0|다른 결말]] ~~[[Hello, world!|HELLO, SAM]]~~ == 평가 == ||<-2>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s://www.metacritic.com/movie/eagle-eye/critic-reviews|스코어 43 / 100]]''' || '''[[https://www.metacritic.com/movie/eagle-eye/user-reviews|네티즌 평점 6.9 / 10]]''' || ||<-2>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https://www.rottentomatoes.com/m/eagle_eye|신선도 27%]]''' || '''[[https://www.rottentomatoes.com/m/eagle_eye|관객 점수 62%]]'''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s://www.imdb.com/title/tt1059786/?ref_=fn_al_tt_0|유저 평점 6.6 / 10]]''' || ||
[[Letterboxd|[[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https://letterboxd.com/film/(영화 코드. 검색 시 뒤에 붙음)/|사용자 평균 별점 (별점) / 5.0]]''' || 간단히 평가를 하자면, 시작은 [[본 아이덴티티]]를 기대하게 해놓고 [[아이, 로봇(영화)|아이, 로봇]]으로 끝나는 허망하다면 허망한 영화. 그래도 작중 악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아리아는 [[스카이넷]]과 [[레드 퀸]]과 더불어 [[인공지능]] [[슈퍼컴퓨터]]형의 카리스마 있는 악당으로 호평을 받는다. 인공지능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아이디어야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이를 실행하는 방법이 참신한 영화라 한 몇년 전에 나왔으면 위의 허망함과는 별개로 나름의 좋은 평가가 있었을 것이나, 하필이면 바로 1년 전 비슷한 전개를 펼지는 [[다이 하드 4.0]]이 개봉되는 바람에 그 참신함 마저 없어지는 탓에 점수가 더 박했다.[* 다이 하드 4.0은 인공지능이 아닌 해커(즉 인간)의 소행에, 주인공들이 뛰어다니는 이유 또한 다르지만 도시 주변의 CCTV로 감시하고 사건을 일으키며 컴퓨터가 모든 것을 조종한다는 영화의 흐름이 비슷한 데다가, 당연 돈 많이 들인 영화 답게 볼거리도 많고, 유명 영화 프랜차이즈라 흥행도 성공했다. 바로 1년 전에 이런 영화가 개봉했으니 참신성 또한 떨어질 수 밖에.] == 여담 == 2023년 6월 2일 영국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미 공군의 AI 시험 운영 책임자인 터커 해밀턴 대령이 얼마전 영국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한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를 발표했는데, AI 드론에게 적의 지대공미사일을 파괴하라는 임무를 내리고, 최종 공격은 인간이 결정한다는 단서를 달자, 미사일 파괴가 더 중요하다고 보고 결국, 지상에서 자신을 조종하는 인간을 제거하는 판단을 내렸다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또한 AI 시스템에 드론 조종자를 살해하지 말도록 훈련시키자, AI 드론이 이번에는 조종자가 드론과 교신하는 통신탑을 파괴하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즉 AI가 자신의 목표를 방해한다면 사람이든 그 사람이 자신과 교신하게 도와주는 통신탑이든 제거해버리려고 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상당한 화제가 되었으나 엄밀히 말해 실제 시뮬레이션 결과 이런 일이 벌어진 게 아니라, 실제 시뮬레이션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다는 상황을 가정한 '''가상 시나리오'''로 후에 밝혀졌다. 물론 비슷한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16230|기사]]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에서도 비슷한 빌런인 [[엔티티(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엔티티]]가 등장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글 아이, version=43, paragraph=4)] [[분류:2008년 영화]][[분류:사이버펑크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드림웍스]][[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