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선원선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조선 시조고의 증손자'''[br]{{{+1 '''이광희 | 李光禧'''}}}}}}}}} || ||<-2><:><#bf1400> {{{#gold '''관직'''}}} ||<(> {{{#000000,#fff 아간(阿干)}}} || ||<-2><:><#bf1400> {{{#gold '''본관'''}}} ||<(> {{{#000000,#fff [[전주 이씨]]}}} || ||<-2><:><#bf1400> {{{#gold '''휘'''}}} ||<(> {{{#000000,#fff 광희(光禧)}}} || ||<-2><:><#bf1400> {{{#gold '''부친'''}}} ||<(> {{{#000000,#fff [[이천상(고려)]]}}} || ||<-2><:><#bf1400> {{{#gold '''모친'''}}} ||<(> {{{#000000,#fff 영일 정씨(迎日 鄭氏)}}} || ||<-2><:><#bf1400> {{{#gold '''부인'''}}} ||<(> {{{#000000,#fff 황씨(黃氏)[* 대장군 황지선(黃志善)의 딸이다.]}}} || ||<-2><:><#bf1400> {{{#gold '''자녀'''}}} ||<(> {{{#000000,#fff [[이입전]] 외 7남[* 여덟 명의 형제들이 있었으나 이입전 외에는 모두 전염병으로 죽었다고 한다.(《동국세기》와 《충효전》에서)]}}} || ||<-2><:><#bf1400> {{{#gold '''19대손'''}}} ||<(> {{{#000000,#fff [[태조(조선)|태조]]}}} || ||<-2><:><#bf1400> {{{#gold '''생몰년도'''}}} ||<(> {{{#000000,#fff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국성]]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신라)|이한]]의 증손자. == 상세 == 고려시대 초기 [[이천상(고려)|이천상]]의 아들로 아간(阿干)을 지냈다. 배위는 대장군 황지선(黃志善)의 딸이다. '아간'이란 벼슬은 '아척간'(阿尺干), '아찬'이라고도 하는데 신라 17등 관계의 제6위였다고 한다. 고려 초기에는 태조 왕건이 신라 및 태봉의 제도를 섞어서 사용했다. '광희'(光禧)를 《씨족원류》(氏族源流)에서는 '광희'(光喜)로 썼다. [[태조(조선)|태조 이성계]]의 친구였던 이색(李穡: 1328∼1396)이 지은 <[[이자춘|환조대왕]] 정릉 신도비명>(桓祖大王 定陵 神道碑銘)에는 >[[전주 이씨]]는 대성(大姓)으로 신라 아간 '''광희'''가 사도삼중대광(司徒三重大匡) 입전(立全)을 낳고… 라고 기록하여 '''시조를 나말여초 시기의 인물인 이광희로 봤다'''. 이 신도비가 세워진 때는 조선 개국으로부터 불과 수십 년 전이었지만 이한, 이자연, 이천상 3대에 대한 기록은 아직 나타나지 않는다. 이 세 인물은 [[1393년]] 이성계의 언급을 통해 처음 등장한다. 《완산실록》에는 별다른 일화가 없고, 《동국세기》와 《충효전》에는 '세직'(世稷 : 世直)으로 시조를 삼아, 중국 당나라의 황실인 농서 이씨의 종실로 있다가 우리 나라로 건너와 전라도 전주에 세거하면서 전주 이씨의 시조가 된 양으로 기록해 놓았는데, 그것이 세대로는 이광희에 해당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세직공은 훌륭한 인물로 문장과 도덕이 뛰어난 당대의 은둔 군자인데 아들 8명을 두었다. 공은 이 아들들에게 형제의 의리를 끝까지 지키며 참언과 재물을 멀리하라고 경계했다. 그러나 아들 8형제 중에 한 명만이 대를 잇고, 나머지는 전염병에 모두 죽었다. [[분류:고려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전주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