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인물]][[분류:조선의 문관]][[분류:1341년 출생]][[분류:1420년 사망]][[분류:여주 이씨]] [목차] == 개요 == 李皐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 1420년([[세종(조선)|세종]] 2년) [[여말선초|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여주 이씨|여주(驪州)]]. 호는 망천(忘川). [[두문동 72현 전설|두문동 72현 전설에 등장하는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이다. == 생애 == 1374년([[공민왕]] 23년) 문과에 급제하여, 1389년([[공양왕]] 1년) 집의에 오르고, 한림학사·집현전직제학을 지냈다. 뒤에 사직하고 [[수원시|수원]]의 광교남탑산(光敎南塔山)에서 살았다. 공양왕이 중사(中使)를 보내어 즐기는 바가 무엇인가 물으니 그는 자신이 사는 산천을 극구 칭찬하였는데, 그 말 중에 사통팔달하여 막힌 데가 없다는 말이 있었다. 태조가 화공에게 그가 거처하는 곳을 그리게 하고 그곳을 팔달산(八達山)이라고 하였다. [[세종(조선)|세종]] 때에 석비를 그 마을 입구에 세워 ‘고려효자 한림학사 이고(高麗孝子翰林學士李皐)의 비’라고 하였다. 이후 후손들은 팔달산 아래에 거주하였으나 [[정조(조선)|정조]] 때 그 자리에 [[화성행궁]]을 지으면서 터를 인근 광교산 아래로 옮겼다.[[http://sillok.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정조실록 28권. 정조 13년 8월 7일 경신 첫번째 기사]] 다들 1392년 조선 건국 후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고 알고 있으며, 민족문화대백과에도 그렇게 나와 있다. 그러나 후손이 조선왕조실록으로 찾아본 결과, 그가 태종 때까지 관직에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아마 후대에 윤색이 된 듯하다. 그는 조견(趙狷)·이집(李集)과 가까이 살면서 때때로 소를 타고 내왕하였다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고,version=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