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역대 감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대한민국의 배구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20117093316807.jpg|width=100%]]}}} || ||<-3> '''{{{+1 이경석}}}[br]李京錫''' || ||<|2><-2> '''{{{#000000 출생}}}''' ||[[1961년]] [[3월 8일]] ([age(1961-03-08)]세) || ||[[대구광역시]] || ||<-2> '''{{{#000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 신체}}}''' ||186cm, 91kg || ||<-2> '''{{{#000000 직업}}}''' ||[[배구 선수]] ([[세터]] / ^^은퇴^^)[br][[배구 감독]] || ||<-2> '''{{{#000000 학력}}}''' ||[[부산동성고등학교]] {{{-2 (졸업)}}} [br] [[경기대학교]] {{{-2 (학사)}}} || ||<-2> '''{{{#000000 실업 입단}}}''' ||[[1987년]] [[고려증권 배구단]] || ||<|2> '''{{{#000000 소속}}}''' || '''{{{#000000 선수}}}'''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 (1987~1994) || || '''{{{#000000 감독}}}''' ||[[경기대학교]] (1996~2011) [br] 대한민국 청소년 대표팀 (2006) [br]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2011 선전 하계 유니버시아드|2011]]) [br]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 (2011~2013) [br]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배구 선수 출신 감독, [[한국배구연맹]] 경기 감독관. == 선수 및 코치 경력 == 부산동성고등학교와 [[경기대학교]]를 거쳐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에서 [[장윤창]]과 함께 1980~1990년대를 풍미한 명 세터로, [[김호철]]에게 국가대표 세터자리를 넘겨받았다. [[신영철(배구)|신영철]]의 등장으로 국가대표 주전자리를 오래 유지하지 못했지만 [[장윤창]]과의 콤비 플레이가 아주 뛰어났다. 1994년에 현역 은퇴 후 모교인 [[경기대학교]]의 코치를 맡으면서 [[후인정]]을 지도했고, 1996년에 은사인 박진환 감독이 은퇴하자 곧바로 감독으로 승진했다. == 감독 경력 == === [[경기대학교]] 감독 === 2000년대 초반에 [[문성민]], [[임동규(배구)|임동규]], [[김정훈(배구)|김정훈]], [[이강주(배구선수)|이강주]] 등을 앞세워 [[인하대학교]]의 독주 시대에 잠시 제동을 걸기도 했다. 다만, 경기대 감독 시절에는 선수단 내 폭력 추문이 심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실제로 많은 선수들이 중도 하차했고, 이경석 감독 자신도 비리 문제로 퇴진했다가 [[경기대학교]] 동문 인맥을 등에 업고 슬그머니 복귀했을 정도. 이경석의 후임으로 [[경기대학교]]에 취임한 [[이상렬]]도 비슷한 케이스다만..... ===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LIG손해보험]] 감독 === 2011년 [[V-리그]]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의 감독에 취임했으나,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경석 [[본인]]에게는 시기가 안 좋았던 게 경기대에서 선수에게 구타를 한 것 때문에 대내외적으로 까이고 있었을 때 선임되었던 것이었다. 이미 [[신영철(배구)|신영철]] 감독의 구타로 인해 학을 뗀 선수들과 팬들에게 신망을 얻었을 리가 만무했고, 결국 선수 장악력 실패는 자연히 성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2011-2012 시즌에는 선수들의 부상에 기형적인 선수단 구성이 겹치며 [[프로배구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 사건]]으로 중도 이탈한 [[상무 배구단|상무]]를 제외하고는 가장 못한 성적인 6위에 그쳤다. 하지만 2012년 여름에 있었던 KOVO컵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 모처럼 KOVO 주관 대회에서 LIG를 정상에 올려 놓으며 기대를 받았다. 그리고 [[오레올 까메호]]를 영입한 2012-2013 시즌에 전반기를 2위로 마감했다. 하지만 후반기 들어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성적이 뒷걸음질쳤고]], 2013년 2월 13일, 삼성화재와의 경기에서 이길 수 있었던 경기를 5세트까지 가서 역전패하자 바로 [[해임]]되었다. 이후 브라질 출신의 조세 라이먼도 레이테 트레이너[* 비록 [[감독 대행]] 신분이었으나, V-리그 남자부 최초의 외국인 감독 타이틀을 얻기도 했다. 2012-2013 시즌 종료 후 [[문용관]] 감독이 선임되면서 다시 체력 트레이너로 복귀했다가 2015년에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현대캐피탈]]로 팀을 옮겼다.]가 LIG의 감독 대행을 맡아 남은 경기를 마무리했다. == 이후 == 2014년 여름 KOVO컵 대회부터 2016-2017 V-리그 대회까지 KOVO 경기감독관으로 재직했으며, 2018년에는 AVC(아시아배구연맹)컵 여자배구대표팀 감독으로 활약했다. 2020년 봄 경기대 감독 공모에 지원하였으나 체대 학생회가 이전 감독재직 시 구타의혹 등 과거전력을 문제삼아 성명문을 발표하며 거부해 공모가 중단되고 복귀에 실패했다.[[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3540|#]] 2020년 여름 KOVO 컵 대회부터 2022-2023 V-리그 대회까지 다시 경기감독관으로 재직했다. == 관련 문서 == * [[배구 관련 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경석, version=9)] [[분류:1961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동성고등학교 출신]][[분류:경기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선수]][[분류:세터]][[분류:1987년 데뷔]][[분류:1994년 은퇴]][[분류:고려증권 배구단/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배구]][[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