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예명이 이경미인 1962년생 승려이자 전직 가수, rd1=보현, other2=동명의 배우, rd2=이경미(배우), other3=동명의 교수, rd3=이경미(교수), other4=본명이 이경미인 모델, rd4=이평(모델))] ||<-5>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fff '''각본상'''}}} || || '''제28회[br]([[2007년]])''' || {{{+1 →}}} || '''제29회[br]([[2008년]])''' || {{{+1 →}}} || '''제30회[br]([[2009년]])''' || || [[김한민]][br]([[극락도 살인사건]]) || {{{+1 →}}} || '''{{{#fff 이경미[br]박은교[br][[박찬욱]][br]([[미쓰 홍당무|{{{#fff 미쓰 홍당무}}}]])}}}''' || {{{+1 →}}} || [[이용주(영화 감독)|이용주]][br]([[불신지옥(영화)|불신지옥]]) || ||<-5> || ||<-2>
'''{{{+2 이경미}}}'''[br]'''Lee Kyoung M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경미 감독.jpg|width=100%]]}}}|| ||<|2> '''출생''' ||[[1973년]] [[12월]] || ||[[서울특별시]] || || '''가족''' ||아버지 [[이완호]], 여동생[br]배우자 피어스 콘란^^(2018년 결혼 ~ 현재)^^ ||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2 (노어과)}}}[br][[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2 (영화과 / 예술사)}}} || || '''데뷔''' ||[[2003년]] 단편영화 《[[오디션#s-6]]》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아버지는 성우 [[이완호]]다. == 상세 및 특징 == [[한국외국어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거쳐 [[2003년]]에 [[단편영화]] 《[[오디션#s-6]]》을, [[2004년]]에 단편영화 《[[잘돼가? 무엇이든]]》을 연출하였다. [[2008년]]에는 첫 장편 상업영화 《[[미쓰 홍당무]]》를 연출하였고, [[2016년]]에 두번째 장편 상업영화인 《[[비밀은 없다]]》를 연출하였다. [[2020년]]에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보건교사 안은영(드라마)|보건교사 안은영]]》으로 첫 드라마 연출에 도전했다. 원래 대학 진학을 연극영화과로 하려고 했으나 아버지 [[이완호]]의 반대로 외대 러시아어학과로 진학했다고 한다. 대학 졸업 이후 3년동안 해운회사에서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다가 뒤늦게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공부를 시작하였다. 졸업작품으로 만든 단편영화 《[[잘돼가? 무엇이든]]》이 [[2004년]] [[미쟝센 단편영화제]]를 비롯한 각종 영화제에서 대대적인 호평을 받으면서 영화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때 심사위원이었던 [[박찬욱]] 감독의 눈에 띄었고 그의 제작사 모호필름에서 일을 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인 일을 하기 시작한 것은 [[박찬욱]] 감독의 《[[친절한 금자씨]]》 때의 스크립터였다. 이경미 본인의 언급에 따르면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인지 일을 잘 못해서 최악의(?) 연출부였다고 한다. 이후 [[박찬욱]] 감독이 제작을 맡은 영화 《[[미쓰 홍당무]]》가 [[2008년]] 개봉하면서 장편 상업영화 데뷔를 하고, 그 해의 신인감독상을 3개나 수상하면서 단숨에 충무로에서 급부상한다. 사실 그 이전부터 단편영화들로 [[씨네21]] 등에서 여성 감독 기대주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5946| 발견! 여성감독 기대주들 [4] - 이경미 감독]]. [[2016년]] [[6월 23일]], 8년만의 공백을 깨고 [[손예진]]과 [[김주혁]] 주연의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비밀은 없다]]》를 선보였다. [[2014년]] [[9월]]에 크랭크인하였고 [[2015년]] [[1월]]에 촬영을 완료한 후 그 해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개봉이 상당히 미뤄졌다. 이 작품 역시 [[박찬욱]] 감독이 각본에 참여했다. 《[[미쓰 홍당무]]》 이후 《여교사》라는 작품의 시나리오를 쓰다가 [[박찬욱]] 감독의 제안으로 《여교사》의 서브 플롯을 발전시켜 《[[비밀은 없다]]》를 구상했다. 시놉시스 단계에선 《불량소녀》라는 제목이었고, 크랭크인 당시엔 《행복이 가득한 집》이라는 반어적인 제목으로 알려졌다. 영화는 개봉 직후 엄청난 호불호가 갈렸고, 흥행은 참패했지만 비평적으로는 좋은 성과를 거둔 편이다. [[2017년]]에는 [[JTBC]] 예능 [[전체관람가(JTBC)|전체관람가]]에 출연하며 단편영화 《[[아랫집]]》을 연출했다. 이 작품은 배우 [[이영애]]가 주연으로 출연하며 화제가 되었는데, 이경미 특유의 독특함이 엿보이며 호평을 받았다. [[2019년]]에는 가수 겸 배우 [[아이유]]를 중심으로 한 단편영화 프로젝트 《[[페르소나(영화)|페르소나]]》에서 《러브 세트》 편을 연출했다. 역시나 특이하다는 평이 지배적. [[2020년]] [[9월 25일]]에 4년 만의 컴백작인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보건교사 안은영(드라마)|보건교사 안은영]]》이 공개되었다. 공개 전부터 인기 소설 원작, 독특한 소재, 공격적인 홍보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기대한 작품이었다. 하지만 독특하고 생략적인 전개 및 파격적이고 기괴한 연출이 선보여지며 엄청나게 마이너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렸다. 시즌2를 염두에 두고 만들었으나 성적이 아쉬운 탓에 무산된 듯하다. '''이제 겨우 세 편을 연출했을 뿐이지만 내놓는 작품마다 관객과 평단의 호불호가 극도로 엇갈리는 감독 중 하나다.''' 장르의 관습적인 문법을 비틀고 자신만의 스토리 전개 및 화면 구성, 배경 음악 등을 사용하면서 '신선하다'와 '괴이하다'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는 편. 좋게 말하면 '참신하다', 나쁘게 말하면 '괴랄하다'이다. 그녀의 작품을 처음 보려고 한다면 한마디로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익숙함이 아닌, 상당히 낯선 캐릭터와 스토리를 각오해야 한다. 그런데 그 개성이 너무 지나치는 난해한 예술영화 수준은 아니며, 상업영화로서의 적절한 타협점도 있기에, '''이경미의 스타일을 지지하는 평단과 관객층이 꽤나 많다. 하지만 모든 작품이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이면서 낮은 대중성을 보여주는 것은 무척 아쉬운 지점이다.''' 차기작으로는 영화 하나, 드라마 하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영화는 《새색시》라는 제목의 부부가 나오는 호러 판타지 장르극. 이경미가 실제로 결혼식을 마치고 옷을 갈아입고 뒤풀이 장소로 이동했을 때 떠오른 이야기라고 한다.[* 최근 [[박찬욱]] 감독의 제작사인 모호필름과 계약을 했으며 현재 시나리오를 쓰느라 3달째 집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고 한다. 허나 워낙 흥행이 힘든 스타일의 감독이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탓으로 영화가 쉽게 투자가 되지 않고 있기에 언제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드라마는 스릴러 장르이며 원작이 있다고 말했다. == 필모그래피 == [include(틀:이경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rowcolor=#fff>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03년]] || [[오디션#s-6]] || 감독, 각본 || 단편 || ||<|2> [[2004년]] || [[잘돼가? 무엇이든]] || 감독, 각본 || 단편 || || 라디오 드림스 || 녹음 || 단편 || || [[2005년]] || [[친절한 금자씨]] || 스크립터 || || || [[2008년]] || '''[[미쓰 홍당무]]''' || 감독, 각본, 음악부문 || '''장편 상업영화 데뷔작''' || || [[2009년]] || 타임리스 || 조연 || 단편, 광고 || || [[2010년]] || [[부당거래]] || 단역 || 특별출연 || || [[2013년]] || [[베를린(영화)|베를린]] || 단역 || 특별출연 || || [[2016년]] || '''[[비밀은 없다]]''' || 감독, 각본 || || || [[2017년]] || [[전체관람가(JTBC)|전체관람가]] - [[아랫집]] || 감독, 각본 || 단편 || || [[2019년]] || [[페르소나(영화)|페르소나]] - 러브 세트 || 감독, 각본 || 단편 || || [[2020년]] || '''[[보건교사 안은영(드라마)|보건교사 안은영]]''' || 감독, 각본[* 원작자인 [[정세랑]] 작가와 공동 집필.] || '''첫 드라마 연출작''' || == 경력 == ||
'''연도''' || '''활동''' || '''비고''' || || [[2012년]] || 제11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절대악몽 부문 심사위원 || || || [[2013년]] || 제12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절대악몽 부문 심사위원 || || == 수상 내역 == ||
< rowcolor=#fff>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6> [[2004년]] || 대한민국영상대전 || 아마추어 부문 '''대상''' ||<|6> [[잘돼가? 무엇이든]] || ||<|2> 제6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관객상 || || '''최우수상''' || || 제2회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 '''대상''' || || 제21회 부산아시아단편영화제 || '''동백대상''' || || 제3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 비정성시 부문 '''최우수작품상''' || ||<|3> [[2008년]] || 제9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연출 부문 시나리오상 ||<|3> [[미쓰 홍당무]] || ||<|2> 제29회 [[청룡영화상]] || 각본상 || || 신인감독상 || ||<|4> [[2016년]] || 제11회 파리한국영화제 || 관객상 ||<|5> [[비밀은 없다]] || ||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감독상''' || || 제1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대상''' || || 제17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각본상 || || [[2017년]] || 제22회 [[춘사영화제]] || 각본상 || == 도서 == ||
< rowcolor=#fff> '''분류''' || '''발매일''' || '''제목''' || '''출판사''' || || '''각본집''' || [[2017년]] [[3월 31일]] || 각본 [[비밀은 없다]] || [[유어마인드]] || || '''[[에세이]]''' || [[2018년]] [[7월 19일]] || [[잘돼가? 무엇이든#s-3|잘돼가? 무엇이든]] || 아르테 || || '''각본집'''/'''[[그림책]]''' || [[2019년]] [[8월 30일]] || [[잘돼가? 무엇이든#s-3|잘돼가? 무엇이든]] || [[유어마인드]] || || '''각본집''' || [[2020년]] [[9월 8일]] || [[미쓰 홍당무]] 각본집 || [[플레인 아카이브]] || == 여담 == * 트위터 ID가 @bbangmicap (빵미캡) 인데 '빵미'는 이 감독의 애칭이다. 보름달빵처럼 동글+토실하게 생긴 얼굴 때문에 어릴 때부터의 별명이었다. * 아버지는 KBS 제6기 성우 [[이완호]]인데, [[동물의 왕국]] 내레이터로 유명하다.[* [[지구용사 선가드]],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의 [[에밋 브라운]] 등... 동물의 왕국 말고도 유명 작품을 많이 했다. 2019년 9월 2일 사망.] * 간혹 다른 영화에 카메오로 나타나서 배우로도 얼굴을 비춘다. [[2009년]] 《타임리스》의 프로듀서 역이나 [[2010년]] 《[[부당거래]]》 에서 부검의 역, [[2012년]] [[류승완]] 감독의 《[[베를린(영화)|베를린]]》에서 국정원 사무분석관 역으로 특별출연하였다. * [[2018년]] 한국 영화 마니아이자 영화평론가인 [[아일랜드]] 출신 피어스 콘란과 결혼하였다.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방송내용/시즌2#s-3.27.4|2020년 5월 7일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에피소드]]에서 제작진에게 남편을 소개하면서 제작진에게 당부하는 역할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 [[박찬욱]] 감독이 필생의 프로젝트라고 언급했던 영화 《도끼》를 [[2016년]]에 각색했다고 밝혔었다. 하지만 투자 문제로 무기한 연기되었다는 안타까운 사실. == 외부 참조 링크 ==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04043|이투데이 2016/10/26 [W기획 도전하는 여성_(17)이경미 영화감독]“여성이라는 차별성이 장점 될 수도… 자신감 갖게 됐죠”]] * [[http://www.cine21.com/db/person/info/?person_id=18549|씨네 21 인물 아카이브]]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A%B2%BD%EB%AF%B8|한글 위키피디아 '이경미']] * [[http://weekly.donga.com/List/3/all/11/80311/1|주간동아 2006년 555호, 먼 길 돌아 찾은 길 '영화는 내 운명']] * [[http://news.joins.com/article/3335319| 중앙일보 2008년, [me] 김기덕이 '찜'한 장훈 감독, 박찬욱이 '찜'한 이경미 감독]]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3448|<미쓰 홍당무> 얼굴 빨개지는 여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3449|[이경미] “양미숙은 삽질로 모두에게 행복한 선물을 준다”]] * [[http://www.hankookilbo.com/m/v/2b51c3292ef4405d977db9a33a456902|한국일보, '포스트 박찬욱' 이경미 감독이 창조한 여성 캐릭터의 세계]]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702853&memberNo=30910003|재개봉부터 국제결혼까지, 한 영화감독의 영화 같은 삶]] [[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1973년 출생]][[분류:2008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출신]][[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분류:국제결혼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