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강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97번}}}''' || || [[지승민]][br](2008~2009.7.15.) || {{{+1 →}}} || '''{{{#074ca1 이강혁[br](2010~2011)}}}''' || {{{+1 →}}} || [[전병호]][br](2012~2013) || ||<-5> '''[[NC 다이노스|{{{#fff NC 다이노스}}}]] {{{#fff 등번호 69번}}}''' || || [[이지우(야구선수)|이지우]][br](2015) || → || '''{{{#00275a 이강혁[br](2016)}}}''' || → || [[이지우(야구선수)|이지우]][br](2018) || }}} || ||<-2>
[[파일:external/pds.joins.com/201512040139775803_566070cbcbadf.jpg|width=100%]] || ||<-2> [[연천 미라클]] 시절. || ||<-2> '''{{{+2 이강혁}}}[br]李康赫 | Gang-hyuk Lee''' || ||<|2> '''출생''' ||[[1991년]] [[10월 23일]] ([age(1991-10-23)]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구율하초등학교|율하초]] - [[대구중학교|대구중]]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 || || '''포지션''' ||[[1루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0년 [[육성선수|신고선수]]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0 ~ 2011)[br][[고양 원더스]] (2014)[br][[연천 미라클]] (2015)[br][[NC 다이노스]] (2016)[br][[파주 챌린저스]] (2017~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NC 다이노스]]의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 재학 시절에는 주로 3루수로 활약했으며, 그리 유명한 유망주는 아니었다. 2008년 봉황대기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와의 결승전에서 9회말에 결승타를 치며 수훈상을 수상한 적이 있었다. === 프로 경력 === ==== 2010 시즌~2011 시즌 ==== 삼성에 신고선수로 입단한 첫해 2010 시즌에는 고졸 신인인데다 신고선수임에도 2군에서 주전 1루수로 기용되었다. 원래 이강혁은 2루수나 3루수로 활약했지만, 1루수로서 실력이 뛰어나서 그랬던 것이 아니라 1루수감이 없어서.(…) 원래는 [[조영훈]]이 2군 1루수였지만 1군에서 대활약하며 다시 2군으로 내려오지 않았고, 그리하여 이강혁이 기용되기 전까지는 [[채상병]]이나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가 1루수를 겸했다. 시즌 말미에 김종호가 1루수로 나오는 일이 많아지며 이강혁은 2루수로 출장했다. 2011 시즌 들어서는 군에서 제대한 [[모상기]]나 부상, 부진으로 2군에 잠시 내려왔던 [[강봉규]], [[조영훈]], [[채태인]] 등이 1루수를 보며 대타나 대수비로 출장했다. 시즌 후 군복무를 하게 되었는데 삼성 군보류 명단에서도 제외, 사실상 방출되었다. ==== 2014 시즌~2015 시즌 ==== 공익으로 군 복무 후 2014년에 고교 동기인 [[김선민(야구선수)|김선민]]과 함께 [[고양 원더스]]에 입단했다. [[고양 원더스]] 해체 후에는 독립구단 [[연천 미라클]]에서 활동했다. 삼성 시절에는 77kg으로 다소 마른 체격이었으나, 원더스와 미라클을 거치면서 체중이 10kg 정도 늘었는데 그만큼 파워도 늘어 미라클에서는 중심타자로 활동했다. ==== 2016 시즌 ==== 2015년 말 [[NC 다이노스]]에 입단 테스트를 받아 '''[[연천 미라클]]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프로팀에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695897&date=20151203&page=1|입단했다]].'''[* 앞서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이케빈]]이 삼성에 지명됐으나 지명받을 시점에 이케빈은 이미 미라클에서 탈단한 상태였다. [[김원석(야구선수)|김원석]]도 이강혁보다 앞서 한화 교육리그에 합류했으나, 한화는 김원석이 방출되기 전 소속팀이었고 정식 입단 발표도 이강혁보다 늦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140122&code=61161211&cp=nv|인터뷰]] 그러나 1군에는 올라오지 못했고 퓨처스리그에서도 타율 0.251, 6홈런 24타점, OPS 0.747에 머물렀으며 11월 30일 보류선수 명단이 발표될 때 선수단에서 제외되었다. 12월 28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파주 챌린저스]]의 트라이아웃에 참가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후 [[2017년]] [[3월 29일]]자 기사로 [[파주 챌린저스]]에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8&aid=0000250051|소속된 것이 확인되었다.]] 2018년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2019년부터 파주 챌린저스 타격코치를 맡게 됐다. 그러나 2020년 코칭 스태프 개편 때 물러났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 [[NC 다이노스/선수단]] * [[야구 관련 인물(기타 리그)]] * [[고양 원더스]] * [[연천 미라클]] * [[파주 챌린저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고양 원더스 은퇴/이적]][[분류:연천 미라클 은퇴/이적]][[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파주 챌린저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