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20%, #ffffff 80%, #ffffff)" {{{#000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건국훈장 대통령장)]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및 직무대행)] ---- [include(틀:광복회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20%, #ffffff 80%, #ffffff)"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000 '''제5대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장'''}}}]][br]{{{#000 {{{+1 '''이갑성'''[* 이명은 이상천(李相天). 창씨명은 이와모토 마사이치(岩本正一).]}}}[br]'''李甲成 | Lee Gap-s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갑성.png|width=100%]]}}} || ||<|2> '''출생''' ||[[1889년]][* [[http://db.history.go.kr/id/ia_3521_2738|1936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887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10월 23일]] || ||[[경상도]] 대구도호부 서상면 서내동[br](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수동) || ||<|2> '''사망''' ||[[1981년]] [[3월 25일]] (향년 91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자택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183호 || || '''본관''' ||[[경주 이씨]][* 39세 상(相) 항렬.] || || '''호''' ||연당(硏堂) || ||<|2> '''재임기간''' ||제5대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장|| ||[[1962년]] [[10월 24일]] ~ [[1963년]] [[1월 19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기덕, 어머니 [[파평 윤씨]] || || '''자녀''' ||아들 이태희, [[이용희(1917)|이용희]] || || '''학력'''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 {{{-2 (졸업)}}}[br][[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세브란스의학교]] {{{-2 (약학 / 졸업)}}}[br][[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2 (의학 / 중퇴)}}}[br][[국방대학교]] {{{-2 (행정학사 / 1기)}}}[br][[단국대학교]] {{{-2 (법학 / 명예박사)}}}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 || '''약력''' ||제2대 국회의원 (대구시 병)[br]제5대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장 || || '''서훈''' ||건국공로훈장 복장[* 지금의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약사]], 정치인. [[민족대표 33인]]의 최연소 인물이자 마지막 생존자이기도 하다.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운동]]에 헌신하였고, 해방 이후 제2대 [[국회의원]],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장, [[광복회]]장 등을 역임했다. == 생애 == 1889년 10월 23일 [[경상도]] 대구부 수정(현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수동)의 상민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배움의 뜻을 두고 [[서울]]로 상경해 1906년부터 4년간 [[경신학교]]에서 수업을 받고 난 뒤 [[연세대 의대|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서 5년 동안 [[약학]]을 배워 졸업하고 [[세브란스병원]]에서 [[약사]]로 근무해왔다. 1919년 [[3.1운동]] 때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생시위운동 및 전단살포 등 중책을 맡아 수행하다가 [[일본제국 경찰]]에게 체포되어 3년이 넘게 옥고를 치렀다. 참고로 1990년대에 유행했던 이케하라 마모루라는 한국 생활을 오래 한 일본인의 <맞아죽을 각오를 하고 쓴 한국, 한국인 비판>이라는 책에서 언급된 바에 의하면 이갑성은 [[일본제국 경찰]]에게 손톱, 발톱을 모두 뽑히는 고문을 당한 적이 있다고 한다. 이 책의 표현에 따르자면 "그런데 이갑성 선생은 일본 사람들에게 손톱, 발톱 20개를 뽑히는 고문을 당한 분이다. 같은 일본 사람인 내가 생각해도 정말 너무하다는 탄식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중략) 당장 나부터도 내 아버지가 한국 사람에게 손톱 발톱 20개를 남김 없이 뽑혔다면 치가 떨릴 것이다." 물론 이갑성의 사위와 이케하라 마모루는 친분이 있던 관계라는 것(저자 스스로가 밝히고 있다)은 감안하여 생각할 부분도 있다. 1924년 세브란스 의약의 지배인이 되고, 1926년부터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 이사로도 활약하였으며, 1931년 경성공업(京城工業)의 지배인이 되었다. 1933년 [[신간회]] 사건으로 상하이에 망명하여 제중약국을 경영하며 독립운동을 펼치다가 귀국, 1940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7개월간 복역하여 일생 중 도합 12년 8개월을 감옥이나 유치장에서 옥고를 치러야 했다. 그러나 이 시기 이후로는 [[창씨개명]]을 한 흑역사가 있다. 해방 이후로는 우익계열 정치인으로 활약하여 1945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회장]], 1947년 과도입법의원 의원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대구시]] 병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민주국민당]] [[백남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2년 국민회 최고위원에 추대되었으며, 1953년 [[자유당]]의 최고위원·정무부장을 역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해당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우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민주공화당]] 발기위원이 되었다. 1965년 광복회장에 취임해 [[독립유공자]]들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진력하였고, 1969년부터 일성[[이준(열사)|이준]]열사기념사업회 총재도 역임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받았으며 매년 [[삼일절]]마다 독립선언서를 낭독해왔다. 1981년에 사망한 뒤 그의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293&mediadtl=21741|이갑성의 사회장 영상]]) 유족으로는 아들 [[이용희(1917)|이용희]] 전 [[통일부|국토통일원]]장관과 손자 [[이재명(1948)|이재명]], 손자 [[필립 리]], 이재현 조양국제종합물류 창업주 등이 있다. === 친일 의혹 제기와 종결 === 하지만 생애 설명처럼 [[독립운동]]에 헌신하고도 일제 말기에 변절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된 인물이기도 하다. 1967년, [[독립운동가]]이자 민주공화당 국회의원인 [[조경한]]은 대한일보 기고문에서 "이갑성은 친일파"라고 공격했다. 이갑성은 즉각 대한일보를 통해 반박 기고를 하면서 법정공방까지 갔다. 결과는 유야무야로 끝났지만, 1981년 3월 이번엔 이갑성의 사후에 잡지인 <월간자유>[* [[박창암]]에 의해서 창간되었으며 [[반공]]을 강조했던 우익계열의 잡지이다.]에서 1930년대 [[창씨개명]]을 하여 밀정활동을 했다는 공격을 받았다. 실제로 당시 [[독립운동가]]들 중 일부는 이갑성의 친일 사실 여부와는 별도로 그를 변절자로 단정했던 것으로 보인다.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임헌영 역시 "연구소에서 철저하게 조사하여 서훈을 취소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기도 했다. 이갑성의 유족 측은 이런 친일 의혹 공격에 대해 소송이라도 하려니, 정작 친일 의혹을 제기한 사람은 “A란 사람이 그랬다” “A는 어디갔냐” “B란 사람이 그랬다” “B는 어디 갔냐” “C란 사람이 그랬다” “C는 어디 갔냐” “C는 죽었다” 식으로 귀결되어 최초 의혹을 제기한 사람을 특정할 방법이 없어 소송도 하지 못했다고 한다. 2005년 [[SBS]] [[삼일절]] 특집 뉴스추적에서 심층취재한 결과, 오히려 이갑성은 [[일본]]에서 항상 주시하였던 요시찰인 인물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1930년대까지의 그의 행적은 우익 [[독립운동가]]로서 부족함이 없음이 확인된다는 것이다. 다만 뉴스추적은 1930년대까지의 그의 삶을 다루고 있으며, 변절 여부가 본격적으로 의심되는 1940년대의 행적을 다루고 있지 않다. 옥살이를 하고 [[창씨개명]]한 이후인 1940년대의 이갑성의 다소 불투명한 활동에 대해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그가 변절했다고 단정하거나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던 것이, 그를 둘러싼 각종 의혹과 논란의 이유이다. [[2009년]]에 최종발간된 [[친일인명사전]]에 이갑성이 빠진 것으로 보아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의혹을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는 그가 변절했다는 근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대구시 병[*A 지금의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전역 및 [[중구(대구)|중구]], [[수성구]] 일부] ||<|2> [include(틀:무소속)] || '''8,263 (23.1%)''' || '''당선 (1위)''' || '''초선'''[* 과도입법위원 경력 있음] || || 1951 || [[제2대 부통령 선거]] ||<|2> [[대한민국]] || 73 (48.03%)[* 결선 투표에서의 결과] || 낙선 (2위) || [* [[제2대 국회]]에서의 간접 선거.][* 1차 투표 53표 35.10%로 2위][* 2차 투표 65표 43.05%로 2위] || || 1952 || [[제2대 대통령 선거|제3대 부통령 선거]] ||<|2> [include(틀:자유당)] || 500,972 (7.02%) || 낙선 (4위) ||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대구시 병[*A] || 17,182 (33.3%) || 낙선 (2위) || || == 참고 자료 == *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002400|SBS '뉴스추적' 방송분]] * [[https://youtu.be/4I69qfRn8CE|동양방송 '인간만세' 출연분]] * MBC 뉴스센터 1981년 3월 29일자 방송분 == 기타 == 2003년 SBS 대하드라마 [[야인시대]]에서는 원로배우 [[이일웅]]이 연기하였다. 하지만 별다른 존재감은 없으며 그의 호위를 맡았던 [[김상도(1914)|김상도]]가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가장 오래 생존한 인물이다. 정부가 주관하는 3.1절 기념 행사에 참석하여 대통령 축사가 있기 전에 독립선언문을 읽었다. 이때 아나운서가 "이갑성 옹(翁)"으로 소개했다고 한다. 기사에 따르면 만87세인 1977년 3.1절 기념식까지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30200209207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3-02&officeId=00020&pageNo=7&printNo=17049&publishType=00020|참석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족대표 33인)] [include(틀: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서울)] [[분류:1889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2대 부통령 선거/후보]][[분류:제3대 부통령 선거/후보]][[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분류:경주 이씨]][[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분류:민족대표 33인]][[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약사]][[분류:의료인 출신 정치인]][[분류:야인시대/등장인물]][[분류:국무총리 서리·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