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절 문자]][[분류:이족]]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ded 0%, #ededed)" '''{{{#121212 {{{+1 이 문자[br] ꆈꌠꁱꂷ / Yi script}}}}}}'''}}} || || '''{{{#121212 유형}}}''' ||<-2>[[표음 문자]][br]{{{-2 • [[음절 문자]]}}} || || '''{{{#121212 표기 언어}}}''' ||<-2>[[이어]] || || '''{{{#121212 사용 국가}}}''' ||<-2>[[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중국]] || || '''{{{#121212 사용 시기}}}''' ||<-2>15세기~현재 || || '''{{{#121212 계통}}}''' ||<-2> || || '''{{{#121212 쓰는 방향}}}''' ||<-2>왼쪽에서 오른쪽 || [[파일:이문자.png]] [목차] [clearfix] == 개요 == 이 문자([[이어]]: ꆈꌠꁱꂷ nuosu bburma [nɔ̄sū bʙ̝̄mā])는 이어에서 사용되는 표음 문자이다. 음절 문자인데다가 음운 구조도 복잡해서 글자 개수가 음절문자 중에서도 매우 많다. 과거의 이문(Classical Yi Script)은 [[표어문자]]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치하에서 이문을 음절문자로 표준화한 이후로는(Modern Yi Script) [[표음문자]]가 되었다. == 상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Yi_Syllabary_Chart.svg.png|bgcolor=#ffffff]] 이문의 글자별 음성대조표 [[당나라]]때부터 고안된 문자라고는 하는데 실제 이문이 쓰인 문헌은 [[15세기]] 후반부터 나타났다. [[유니코드]]에도 수록되어있지만, 문서를 보는 기기나 브라우저에 따라 글자가 깨져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문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http://omniglot.com/writing/yi.htm|Yi script and Language]]나 [[http://www.youtube.com/watch?v=m43KpZ_90d4|여기서 보도록 하자.]] == 기타 == 옛날에는 이어를 컴퓨터로 입출력 하기 위해선 따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했지만, 윈도우는 [[Windows 10]]부터[* 만약 크롬으로 사용 중인데 보이지 않을 경우 [[Microsoft Edge]]로 보면 잘 보인다.], [[안드로이드]]는 6.0부터 이어가 포함된 유니코드를 지원하기 시작하여 저 버전 이상 디바이스를 사용 중이라면 정상적으로 이어가 보일 것이다. [[Mac OS X]]와 [[iOS]]도 지원 중이라고 한다. 이어를 구경하고 싶다면 [[인민일보|인민망]] [[http://yi.people.com.cn/|이어판]]을 방문해 보자. 물론 내용이야 인민일보이니만큼 뻔하겠지만. [[안드로이드 파이]]부터 정식적으로 이어를 지원하기 시작하여 언어 설정에 이어가 추가되었으며, [[구글 픽셀]] 등 레퍼런스 단말 및 일부 제조사 단말에 한해 이어로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세계 인권 선언]] [[https://unicode.org/udhr/d/udhr_iii.html|이어판 전문]]도 있으니 참고해 보는 것 역시 나쁘지는 않다. 문자 중 [[https://en.wiktionary.org/wiki/%EA%89%82|ꉂ]]가 한국에서 [[포항항]]의 ꉂꉂ(ᵔᗜᵔ*) 이모티콘으로 쓰인다. 언뜻 보면 디지몬 문자와 비슷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