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include(틀:역대 고려 왕태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명종의 왕후[br]{{{+1 의정왕후 | 義靜王后}}}'''}}}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강종의 모후[br]{{{+1 광정태후 | 光靖太后}}}'''}}} || ||<|2> '''출생''' ||[[1170년]] 이전 || ||[[강릉공|강릉공 왕온]]의 사저 || || '''사망''' ||연대 미상[*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명종 14년인 1184년 12월의 기록을 보면 명종 즉위 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 || '''능묘''' ||미상 || ||<|6> '''재위기간''' ||'''{{{#f9d537 고려 익양공비}}}''' || ||? ~ [[1170년]] [[10월 13일]]이전 추정[* 명종 즉위 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670000 고려 왕후}}}''' || ||[[1170년]] [[10월 13일]][* 기록에 의하면 책봉 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 || ||'''{{{#670000 고려 왕태후}}}''' || ||[[1211년]] [[12월 25일]] ~ [[1213년]] [[8월 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부계 [[개성 왕씨]][br]모계 [[강릉 김씨|명주 김씨]] || || '''부친''' ||부친 [[강릉공|강릉공 왕온]][br]모친 [[강릉 김씨|명주 김씨]]로 추정[* 평장사(平章事) 안경공(安敬公) 김고(金沽, ?~1123, [[강릉 김씨|명주 김씨]](溟州 金氏))와 경원군부인(慶源郡夫人) [[인천 이씨|경원 이씨]](慶源 李氏)의 딸로 추정] || || '''형제자매''' ||{{{#!folding 2남 4녀 중 3녀 [ 펼치기 · 접기 ] 언니 -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莊敬王后) 김씨[* [[인종(고려)|인종]]의 장남 [[의종(고려)|의종]]의 제1왕후] 언니 - [[대령후]]비(大寧侯妃) 김씨[* [[인종(고려)|인종]]의 차남 [[대령후|대령후 왕경]]의 부인] 여동생 - [[선정태후|선정왕후]](宣靖王后, {{{-3 ? ~ 1222}}}) 김씨[* [[인종(고려)|인종]]의 5남 [[신종(고려)|신종]]의 왕후] 남동생 - [[공화후|공화후 왕영]](恭化候 王瑛, {{{-3 1126 ~ 1186}}}) 남동생 - 왕작(王鷟)}}} || || '''배우자''' ||[[명종(고려)|명종]] || || '''자녀''' ||{{{#!folding 1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강종(고려)|강종]](康宗, {{{-3 1152 ~ 1213}}}) 장녀 - [[연희궁주]](延禧宮主) 차녀 - [[수안궁주]](壽安宮主)}}} || || '''시호''' ||의정왕후(義靜王后)[br]→ 공평'''광정태후'''(恭平'''光靖太后)''' || || '''별호''' ||광정왕후(光靖王后)[*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명종 14년인 1184년 12월 기록]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명종(고려)|명종]]의 왕후이자 [[강종(고려)|강종]]의 어머니. 시호는 명종 광효대왕과 같은 光 자 돌림이다. == 생애 == 언니인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의 기록은 적지만 남아있으나, 의정왕후의 기록은 아예 없다. 시호와 남편인 명종과의 슬하에 둔 자식 정도만 기록되어있다. 오히려 왕후가 되지 못한 바로 손위 언니인 [[대령후]]비가 의정왕후보다도 기록이 더 남아있다.[* 동생인 [[공화후|공화후 왕영]] 사후 조카인 [[광릉공|광릉공 왕명]]과 [[왕씨(1150)|그녀의 누나]]를 친자식처럼 길렀다고 한다.] 이렇게 기록이 없는 이유는 《[[고려사절요]]》 명종 광효대왕 권에서 알 수 있는데, 광정'왕후'(光靖王后)가 명종의 즉위 전에 사망하여 명종의 즉위 후에 왕후의 자리가 공석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즉 의정왕후는 명종이 익양후(翼陽侯), 익양공(翼陽公)일 때 혼인하였고 사망한 것이다. 명종이 즉위 후 의정왕후(義靜王后)의 시호를 내렸으며, 나중에 아들인 강종이 즉위하고 어머니를 광정태후(光靖太后)로 추존한 것이다. 태후로 추존하였을 당시 강종이 쓴 시책문의 내용이 매우 애절하다. 강종은 스스로를 신(臣)이라 칭하였고, 아버지 명종을 선황(先皇)으로 어머니 광정태후를 성모(聖母)라 불렀다. == 가족관계 == 의정왕후의 증조부는 [[문종(고려)|문종 인효대왕 왕휘]], 조부는 [[양헌왕|조선국양헌왕 왕도]] , 아버지는 [[강릉공|강릉공 왕온]]이다. 의정왕후의 어머니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의정왕후가 김씨를 성씨로 따른 것으로보아 모계가 김씨 가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평장사(平章事) 안경공(安敬公) 김고(金沽, ?~1123, [[강릉 김씨|명주 김씨]](溟州 金氏))와 경원군부인(慶源郡夫人) [[인천 이씨|경원 이씨]](慶源 李氏)의 딸로 추정하고 있다.] 자매로는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 [[선정태후]]가 있다. [[의종(고려)|의종]], [[명종(고려)|명종]], [[신종(고려)|신종]] 삼형제가 종실인 [[강릉공|강릉공 왕온]]의 딸인 장경왕후, 광정태후, 선정태후 세 자매와 혼인한 것이다. 강릉공 왕온의 둘째 딸도 인종의 차남 [[대령후|대령후 왕경]]와 혼인했고, 아들인 [[공화후|공화후 왕영]]은 인종의 장녀 [[승경궁주]]와 혼인했다. 고려 왕실 특유의 근친혼이 잘 드러난 부분이다. 자녀로는 아들인 [[강종(고려)|강종]]과 딸인 [[연희궁주]], [[수안궁주]]가 있으며 연희궁주의 딸이 [[희종(고려)|희종]]의 비인 [[성평왕후]]이다. == 여러 존호들 == 사료에는 고려시대 국왕과 왕후들의 시호가 여러 가지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잦은 전쟁으로 당시 기록이 많이 소실되었고, 《고려사》가 여러 사료들을 종합해 조선시대에 와서 편찬[* [[태조(조선)|태조 이성계]] 때부터 시작해 [[문종(조선)|문종]] 때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그 중 의정왕후의 시호가 가장 많다. 남편인 명종이 즉위 후 죽은 아내에게 올린 시호는 "'''의정왕후'''(義靜王后)"이고, 아들인 강종이 즉위해 추존한 "'''광정태후'''(光靖太后)"이다. 거기다 손자인 [[고종(고려)|고종]]이 시호를 더해 올린 "'''공평광정태후'''(恭平光靖太后)" 가 마지막 공식 시호이다. 그리고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태후의 시호를 광정왕후(光靖王后)로 한 단계 낮게 기록한 부분도 있다. [[분류:고려의 왕비]][[분류:왕대비]][[분류:강릉 김씨]][[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