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의정부시 일반시내버스 37번}}} || ||<-2> 기점 ||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동(신한대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 강북구청)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6:55 || || 막차 || 22:2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30~40분 ||<-2> 주말배차 || 35~45분 || ||<-2> 운수사명 || [[명진여객]] ||<-2> 인가대수 || ?대(예비 ?대) || ||<-2> 노선 ||<-4> [[신한대학교]] - 상패주공아파트 - 역전사거리 - 큰시장 - 송내주공1~4단지 - [[동두천터미널]] - 송내상회 - 덕정사거리 - 덕계동.덕계육교 - 양주시청.양주보건소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중앙초교 → 의정부중앙역 → 구.터미널 → 한화생명 → 의정부역동부광장 → 의정부중앙초교 → 도봉산역 → 쌍문역 → 수유역 || == 개요 == 명진여객이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 == 역사 == === 1기 노선 === * 1990년대에 신설된 136번 좌석버스(소요산 - 동두천 - 덕계동 - 양주시청 - 의정부북부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 수유역)가 전신이다. 번호에서 알 수 있듯이 [[의정부 버스 36|36번]]의 좌석버스형 노선이었으며, 평안운수에서 운행했다. * 2006년에 1호선 전철이 소요산역까지 연장되면서 수요가 저조해지자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37번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송내동, 서부 지행동(신시가지) 경유 지선인 136-5번을 흡수하여 36번과 같이 [[의정부 버스 39|39번]]을 견제했다. 그 결과 2007년에 39-2번을 제외한 모든 39번대 노선들이 [[연천교통]]에서 [[평안운수]]로 넘어오게 되었다. * 이후에도 2009년에 저상버스가 도입되는 등 나름 잘 나갔으나, 중복 노선 정리로 인해 2010년에 폐선되었다. === 2기 노선 === * [[의정부 버스 22|22번]]이 전신이다. 22번의 연혁은 해당 문서를 참조. * 22번의 수요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 3월에 노선을 '[[한북대학교]] - 동두천 - 덕정사거리 - 덕계동 - 양주시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 수유역'으로 바꾸었다. * 2012년 4월에 노선 번호가 37번으로 바뀌었다. * 그 후 1-1번으로 차량 몇 대가 차출되어 4대가 40~70분 간격으로 다니게 되었다. * 2015년 3월 9일에 1대 감차되었고, '의정부중앙초교 → 부대찌개거리 → 구.터미널 → 한화생명 → 의정부역동부광장 → 의정부중앙초교' 식으로 회차하도록 바뀌었다. 대신 [[의정부 버스 10-1|10-1번]]이 민락2지구 버스 노선 확대로 인해 3월 9일에 수유역으로 연장됐고, 동시에 민락2지구 직통인 [[의정부 버스 10-2|10-2번]]이 개통되었다. * 그러나 상패동과 신한대학교 수요가 저조해[* 신한대 동두천캠퍼스에서 운행하는 2층 버스의 영향도 컸다.] 2015년 5월 8일에 폐선되었다. == 특징 == * 사실상 36번을 보조하는 노선이었다.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중앙역]], [[양주역]], [[녹양역]], [[가능역]], [[의정부역]] * [[의정부경전철]]: [[의정부중앙역]] [[분류:의정부시의 시내버스]][[분류:2010년 폐지된 버스 노선]][[분류:2015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