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CulturedAwesomeGullibleMaid, 합의사항1=문서 존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의주빈, top2=의마스)] [목차] == 방언 == * 꾀의 방언(함경남도) [[https://opendic.korean.go.kr/dictionary/view?word_no=645244&sense_no=707621&viewType=confirm|#]] == 인터넷 유행어 == ''''의'''사 '''새'''끼'라는 뜻으로, 일부 몰상식한 [[의사]]를 비하하는 멸칭이다.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에서만 쓰이던 자학적 용어[* [[의학 갤러리]] 등 의사 커뮤니티에서 쓰인 경우가 대다수다.]가 2020년 의료파업([[2020년 의료정책 추진 반대 집단행동]])으로 의해 주류 언론에서도 언급되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2020/09/02/PJTGKQYDNRGPLK6IKVWOI7RREQ/|#]] [[https://imnews.imbc.com/news/2020/politics/article/5896652_32626.html|#]]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2168500001|#]]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902_0001152202&cID=10301&pID=10300#_enliple|#]] 보다시피 언론에서는 당시 여당/정부 지지층이 의사를 무시한다고 부정적 논조로 보도되었다. 그러나 [[2024년 의과대학 증원 반대 집단행동]]이 일어나자 커뮤니티에서 다시 사용되고 있으며, 2020년엔 의사 지지층이었던 보수 커뮤니티들도 사용하기 시작하여 크게 사용이 확대되었다. [[국내야구 갤러리]]에서는 더욱 과격한 멸칭 [[의주빈]]을 만들어서 다른 커뮤니티에 퍼뜨리기도 하였다. 주로 혼합진료나 [[대리수술]] 문제, 건보료 악용 문제, [[범죄자 의사 면허 취소 논쟁]], [[2024년 의과대학 증원 반대 집단행동|의사 파업]]을 비판할때 사용된다. * 2024년 2월 19일, [[박민수(공무원)|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브리핑 중 "'''의새'''들이 반대하며 집단행동을 한 일은 없다"라고 발언해 논란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kdPmZ5snpA|#]] 다음날인 20일 박민수 차관은 과로로 인해 발음이 새서 생긴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40220500125|#]]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129041.html|#]]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일부 의사들이 의사와 새를 합성한 이미지를 SNS에 게시했다. 물론 여론의 반응은 좋지 않다. [youtube(dmbVCkWWjBM)] 일부 네티즌들은 이 때문에 '의발놈' 혹은 '의주빈'[* 의사의 성범죄율이 높다는 이유]등으로 용어를 바꿔 부르는 편이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의사]][[분류:인물 속어]][[분류: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