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청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음성군의 읍면)] ||<-4>
'''{{{#000,#ddd [[충청북도|{{{#000,#ddd 충청북도}}}]]의 [[자치군|{{{#000,#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음성군 CI.svg|height=65]]||{{{#000,#ddd '''{{{+1 음성군}}}'''[br]陰城郡[br]{{{-1 Eumseo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음성군, 너비=100%, 높이=100%)]}}} || ||<-2> '''[[음성군청|{{{#000 군청}}}]] 소재지''' ||<-2> 음성읍 중앙로 173 (읍내리) || ||<-2> '''광역자치단체''' ||<-2> [[충청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2[[읍(행정구역)|읍]] 7[[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520.18㎢ || ||<-2> '''인구''' ||<-2> 91,339명[*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http://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밀도''' ||<-2> 177.11명/㎢ || ||<-2> '''군수'''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조병옥(1960)|{{{#fff 조병옥}}}]]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 (재선)}}}]],, || ||<|3><-2> '''[[음성군의회|{{{#000 군의회}}}]]''' || ||<-2>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fff 5석}}}[* 음성군 가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 박흥식, 안해성[br]음성군 나선거구 (금왕읍, 생극면, 감곡면) : 유창원[br]음성군 다선거구 (대소면, 삼성면) : 김영호[br]비례대표 : 송춘홍]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fff 3석}}}[* 음성군 가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 서효석[br]음성군 나선거구 (금왕읍, 생극면, 감곡면) : 조천희[br]음성군 다선거구 (대소면, 삼성면) : 최용락] || ||<|2><-2> [[충청북도의회|{{{#000 '''도의원'''}}}]] ||<-2>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fff 1석}}}[* 음성군 제2선거구 (금왕읍,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노금식 (초선)]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fff 1석}}}[* 음성군 제1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 이상정 (재선)] || ||<-2> [[증평군·진천군·음성군|{{{#000,#fff '''국회의원'''}}}]]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임호선|{{{#fff 임호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fff (초선)}}}]],, || ||<|3> '''상징''' || '''군꽃''' ||<-2> [[개나리]] || || '''군나무''' ||<-2> [[은행나무]] || || '''군새''' ||<-2> [[까치]] || ||<-2> '''홈페이지''' ||<-2>[[https://www.eumseong.go.kr/www|[[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 [[https://www.facebook.com/eumseong.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eumseongg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eumseong21|[[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eumseonggu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blog.naver.com/eumseonggun|[[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fs11.blog.daum.net/48295e8e41bcd&filename=%EC%9D%8C%EC%84%B1%EA%B5%B0(%EC%B2%AD%EC%82%AC%EC%A0%84%EA%B2%BD).jpg|width=100%]]}}} || || {{{#ffffff '''음성군청 전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음성군 거돌이.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음성군 고추미.sv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FFFFFF '''음성군 마스코트'''[* 음성군 마스코트 거돌이 & 고추미. 거돌이는 음성군 전통 민속놀이인 거북놀이에서 따온 캐릭터라고 한다. 고추미는 음성의 주력 농산물인 '''음성청결고추'''(...)를 형상화한 캐릭터.]}}}}}} || [목차] == 개요 == [[충청북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동으로는 충주시, 남으로는 괴산군, 증평군과 접하며, 서로는 진천군, 북으로는 경기도 안성시, 이천시, 여주시와 접하는 충청북도의 북서쪽 끝에 위치한 지역이다. 내륙 지방이라 기후가 추운 편이고, 예로부터 설성(雪城)이라 불릴 정도로 눈도 은근히 많이 온다. 음성군 삼성면 최북단인 대사리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까지의 거리가 '''약 70km'''이다. 교통여건에 따라 5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가 걸리는 거리로, [[천안시|천안]], [[아산시|아산]]과 함께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충청 지역들중 하나이다. 충청북도에서는 수도권과 제일 가까운 지역이다. 이웃한 [[진천군]]과 공동으로 [[충북혁신도시]]를 유치했다.[* 그러나 [[충북혁신도시]]의 주거지가 진천군에 몰빵되어있는지라 인구가 대폭 늘고 있지는 않다.] 여담으로 행정구역의 면적 형태가 [[북한]]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 역사 == [[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5001_004|음성현]] 역사적으로 '음성(陰城)'의 영역은 현 음성읍, 원남면 일대만 해당되었고, 나머지 읍면들은 모두 [[충주시|충주]]의 영역이었다. 다만, 소이면을 제외한 서부 6개 읍면은 '외서', '외서촌' 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오리지널 음성 또한 고려시대에는 충주의 속현으로 있었듯 외서 지역도 원래부터 완전히 충주인 것은 아니고 속현이나 향•부곡•소에 해당하였다가 음성과 달리 독립된 고을이 되지 못하고 충주 임내로 편입된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성군의 역사를 살펴보자면, [[삼한]](三韓) 시대에는 [[마한]]의 50여 국 가운데 지침국에 속했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百濟)의 영역이었으며, 고구려 장수왕에게 정복된 뒤에는 잉홀현(仍忽縣)으로 불렸다. 후에 금물노군에 소속되었다. 553년(진흥왕 14년)에는 [[신라]](新羅)의 영토가 되어 음성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흑양군에 소속되었다. 661~680년(신라 문무왕) 서원소경(현대의 청주)의 잉홀현이 되었고, 757년(경덕왕 16년)에 흑양군(현대 진천군) 소속 음성현으로 개칭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년)에는 중원도 진천군 음성현이, 1356년(공민왕 5년)에는 양광도 충주부 음성현이 되었다. 1598년(조선 선조 31) 폐현되었다가 1618년(광해군 18년) 음성현으로 복현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한때 폐현되었다가 1618년(광해군 10년) 부활하였으나 음성읍과 원남면을 관할하는 작은 현이었다. 1662년(현종 3) 괴산군에 병합 폐현되었다가 1663년(현종 4년) 복현되었고, 1895년(고종 32년) 현감제도를 폐지하고 음성군이라 칭하였다. 1906년 [[충주시|충주군]]으로부터 현재의 금왕면, 생극면, 대소면, 맹동면, 삼성면, 감곡면 등 6개 면을 편입하였다. 그리고 1914년 충주군으로부터 소이면을 편입하여 현재와 같은 영역이 확정되었다.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원래의 역사적인 음성의 영역보다 훨씬 넓어진 것. 1956년 7월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1973년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 인구 === ||
[[파일:음성군 CI.svg|width=50]][br]'''{{{#000 음성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83.41%,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25,1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75.14%,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2,716명}}}}}} || || [[1973년]] [[7월 1일]] [br] [[괴산군]] [[괴산군/행정|불정면]] 문등리 → '''음성군''' [[음성군/행정|소이면]] 편입 [br] [[중원군]] [[신니면]] 광월리 일부 → '''음성군''' [[음성읍]]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74.1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1,1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4.21%,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6,3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55.5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83,3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49.78%,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74,6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55.79%,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83,6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58.6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87,9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59.9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9,9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0.7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91,0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4.2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96,3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2.1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93,1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1.20%,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91,22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97.275%, #888 0%, #888 100%, #AAA 0%)" {{{#fff 금왕읍 19,4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83.85%, #888 0%, #888 100%, #AAA 0%)" {{{#fff 음성읍 16,7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77.685%, #888 0%, #888 100%, #AAA 0%)" {{{#fff 대소면 15,5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65.96%, #888 0%, #888 100%, #AAA 0%)" {{{#fff 맹동면 13,1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49.665%, #888 0%, #888 100%, #AAA 0%)" {{{#fff 감곡면 9,9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33.005%, #888 0%, #888 100%, #AAA 0%)" {{{#fff 삼성면 6,6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22.455%, #888 0%, #888 100%, #AAA 0%)" {{{#fff 생극면 4,4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14.925%, #888 0%, #888 100%, #AAA 0%)" {{{#fff 원남면 2,9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14.305%, #888 0%, #888 100%, #AAA 0%)" {{{#fff 소이면 2,861명}}}}}} || || {{{-2 2023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 [[2014년]] 외국인 포함 인구 10만 명을 돌파했으나, 이후 다시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2030년]]에 인구 15만 명을 목표로 시 승격을 추진한다고는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요원해보인다. == [[음성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음성군/교통)] == 경제 == 농공단지나 산업단지가 각 읍면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은 조성되있는 곳이기도 하다. 수도권과 인접해 있으면서도 수도권 규제를 받지 않아 수도권 외곽 지역처럼 공장들이 산재해 있는 편이며, 그렇기 때문에 인구가 조금씩이라도 늘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근 지역인 진천, 청주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대도시에 해당하는 [[청주시]]도 도시가 거대해지는 만큼 공장규제도 심해졌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은 점도 있다. 또한 대대로 군수 당선인들이 산업단지 유치에 적극적 이었던 점도 한 몫한다. 현재 [[오뚜기]], [[CJ푸드빌]], [[한화솔루션]]이 입주해 있다. 한편 공장이 늘어나는 만큼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도 꾸준하며, 2023년 기준 외국인 인구 비율이 15% 이상으로 전국에서 1위다. 청주나 [[충주시|충주]] 등에서 출퇴근하는 사람도 간혹 있으나, 일반적으론 기숙사 생활을 하거나 금왕읍, 대소면, 충북혁신도시에 지어지는 아파트에 거주한다. 특히 대소면의 경우 원룸이나 아파트가 많이 지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왕읍내, 충북혁신도시 외곽 지역에는 원룸단지가 있어 이런 원룸에 살면서 출퇴근하는 사람도 있다. 일부는 충북혁신도시의 오피스텔[* 2023년 2월 기준 충북혁신도시에는 오피스텔이 총 4개(킹스밀오피스텔 1차, 킹스밀오피스텔 2차, 행복퍼스트빌, 밀라움 오피스텔) 있다.]에서 출퇴근하는 경우도 있다. [[안산시]] [[단원구]]에 이어 전국에서 외국인 인구 비율이 두번째로 높았다. 각 면/읍마다 최소 하나씩 농공단지가 있고, [[중소기업]]들이 많다 보니 중~후진국 출신 외국인들을 많이 고용하기 때문. 2015년 9월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08/0200000000AKR20150908191600004.HTML?input=1195m|외국인 인구비율이 10%를 넘어선 7개 자치단체 중 하나이다]]. 2023년 기준 외국인 비율이 15% 이상으로 올라 전국에서 외국인 비율이 가장 높아졌다. 맹동면은 인접한 [[진천군]] 덕산읍과 함께 [[충북혁신도시]]로 개발 중이다.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비자원]], [[한국고용정보원]], [[국가기술표준원]] 등의 [[공공기관]]들이 음성군에 입주했다. 3대 대형마트는 없으나, 대형 슈퍼마켓은 곳곳에 많이 자리잡고 있다, [[농협 하나로마트]] 역시 있으며 특히 음성읍과 금왕읍에서는 이마트, 홈플러스 같은 여타 대형할인점과 비슷한 위치다. === 금융 === ||<-4> '''{{{#ffffff 음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음성우체국 (11)'''}}}]] || ||<-4> '''{{{#1d1e23 국책은행 }}}'''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1)'''}}}]]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4)'''}}}]]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2)'''}}}]]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 ||<-2>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1)'''}}}]]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1)'''}}}]]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 [[농협|{{{#fcaf16 '''맹동농협 (2)'''}}}]] || [[농협|{{{#fcaf16 '''음성농협 (5)'''}}}]] || [[농협|{{{#fcaf16 '''음성축산농협 (2)'''}}}]] || [[농협|{{{#fcaf16 '''금왕농협 (4)'''}}}]] || || [[농협|{{{#fcaf16 '''석문농협 (2)'''}}}]] || [[농협|{{{#fcaf16 '''생극농협 (1)'''}}}]] || [[농협|{{{#fcaf16 '''감곡농협 (2)'''}}}]] || [[농협|{{{#fcaf16 '''삼성농협 (2)'''}}}]] || || [[농협|{{{#fcaf16 '''대소농협 (3)'''}}}]] || [[농협|{{{#fcaf16 '''충북원예농협 (2)'''}}}]] ||<-2> [[농협|{{{#fcaf16 '''충북인삼농협 (2)'''}}}]] || ||<-4> '''{{{#fff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대동새마을금고 (3)'''}}}]] || [[새마을금고|{{{#afeeee '''상왕새마을금고 (2) '''}}}]] || [[새마을금고|{{{#afeeee '''비석새마을금고 (2) '''}}}]] || [[새마을금고|{{{#afeeee '''음성새마을금고 (1) '''}}}]] || ||<-4> [[새마을금고|{{{#afeeee '''한마음새마을금고 (1) '''}}}]]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 [[신협|{{{#ffa500 '''금왕신용협동조합 (3)'''}}}]] || [[신협|{{{#ffa500 '''매괴신용협동조합 (1) '''}}}]] || [[신협|{{{#ffa500 '''삼성대소신용협동조합 (2)'''}}}]] || [[신협|{{{#ffa500 '''무극신용협동조합 (1) '''}}}]] || ||<-2> [[신협|{{{#ffa500 '''세모신용협동조합 (1)'''}}}]] ||<-2> [[신협|{{{#ffa500 '''음성신용협동조합 (1) '''}}}]] || ||<-4> '''{{{#ffffff 산림조합 }}}''' || ||<-4> [[산림조합|{{{#9acd32 '''음성군산림조합 (1)'''}}}]] || == 관광 == 실질적으로 관광할 거리는 크게 부족하다. 가장 큰 문제는 관광지가 너무 따로 논다. 한곳 잡고 한두 시간 보다가 나오면 제일 가까운 가볼 만한 곳이 차로 30분이다. 또한 전시 위주의 관광지가 대부분이다.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의 생가터, 이름을 딴 공원 등 여러 곳을 개발했지만 말 그대로 생가, 공원 그 뿐이라 관광지라 부르기 민망한 수준이다. 그나마 감곡면의 [[감곡 매괴 성모순례지|매괴성당]]이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에 수록되기도 했고, 풍경도 멋지니 가볼만 하고, 대소면의 대풍지방산업단지에 위치한 한독의약박물관 또한 보물을 6점 보유한 박물관이라 방문해볼 가치가 있다. 생극면에 음성큰바위얼굴조각공원이라는 곳이 있는데, 입장료가 무려 6천원으로 매우 비싸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가볼만 하다. 국내외의 온갖 유명인사들과 위인들의 얼굴을 조각한 거대한 석상들로 가득한데, 인물사전에서나 볼법한 유명세 없는 희귀한 인물들도 조각되었고 마이클 잭슨같은 연예인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제대로 닮은 꼴인 석상은 하나도 없다는 것도 포인트. 휴양림으로 조성된 곳이 두 곳 있다. 금왕읍의 백야자연휴양림과 생극면의 수레의산자연휴양림. 백야자연 휴양림은 저수지변 길을 따라 쭉 들어간 곳에 위치했는데, 가는길의 가로수나 저수지풍경이 나름 절경이다. 가족들과 하룻밤 놀고 오기 좋을듯. == 생활문화 == === 특산물 === [[특산물]]로는 [[고추]] 등이 있다. [[청양군]]의 [[청양고추]]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음성고추가 이 지역 최대 특산물로 생산량이 '''전국 1위'''이며 양지바른 고추밭에서 재배하여 고추열매를 출하한다. 음성군 군내에만 다수 고추밭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민 일부가 고추농사를 하는 편이다. [[감곡면]]에서는 [[복숭아]]를 많이 재배하지만[* 윗동네 [[이천시]] [[장호원읍]]과 마찬가지이다.](아파트 7일장에 가면 늘상있는 햇사레 감곡 복숭아가 그것), 역시 고추가 가장 유명한 편이다. [[맹동면]]에서 재배하는 [[수박]] 또한 명성이 있다. 그 외에 [[인삼]], [[포도]], [[참외]] 등이 있다. [[축산]]업도 발달한 편이라 충청북도 내에서는 음성 [[한우]]의 인지도가 꽤 있으며, [[대소면]]에 전국 최대 규모의 축산물 유통단지도 있다. === 교육 === [include(틀:충청북도 음성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충청북도 음성군의 중학교)] [include(틀:충청북도 음성군의 고등학교)] 군 내 고등학교는 마이스터고등학교로는 [[충북반도체고등학교]]가 있고, 인문계고등학교는 [[음성고등학교]], [[매괴고등학교]], [[대금고등학교]][* 개교 당시에는 대소금왕고등학교였는데, '''왕소금 or [[염전]]''' 고등학교로 오해를 자주 받았기 때문에 2018년에 현재 이름으로 바꿨다.], [[동성고등학교(충북)|동성고등학교]][* 충북혁신도시에 위치해 있다.]가 있다. 대학은 4년제 사립대학교인 [[극동대학교]]와 전문대학인 [[강동대학교]]가 감곡면에 있다.[* 두 대학의 설립자는 동일인물이다.] [[개혁신학교]]도 있었지만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감리교신학대학교]] 제2캠퍼스가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 세워질뻔 했지만 감신대생들의 극심한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전 유엔사무총장 [[반기문]]의 고향이기도 하다. 실제 음성의 한 고등학교에 방문하기도 했다고. 사실 음성에서 한 공부 한다는 학생들은 청주권으로 빠지는 경우가 꽤나 많다. 물론 최근에는 지역균형선발제등 농어촌전형으로 대학진학을 노리고, 또한 경쟁이 심한 도시 학교보다 경쟁이 훨씬 덜한 고향 학교에서 내신 편하게 따겠다라는 생각으로 우등생들이 음성 내 학교로 진학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러나 일단 반기문이 고등학교 가던 시절에는 충주고등학교 역시 충북에서 탑을 달리는 고등학교였기 때문에,[* [[충청북도지사]], 청주시장을 [[청주고등학교]] 출신이 해먹는 지금은 이해가 안 갈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20세기에는 [[충주고등학교]]가 청주고와 맞먹는 파워를 지녔었다.] 흔히 말하는 유학을 간 것. 이외에 장애아들을 위한 [[특수학교]]인 [[꽃동네학교]]도 있다. === 문화행사 === 농민 문학가인 [[이무영]]의 고향이며, 음성읍내의 설성공원에는 그의 문학비가 세워져 있다. 또한 1994년부터 문학비 앞에서 그를 추모하는 무영제가 개최되었으며, 2000년 부터는 충북의 지방언론사인 동양일보의 주최로 무영문학상이 무영제 행사장에서 시상된다. 이처럼 농민문학의 틀을 넓힌 인물로 많은 사람이 공감하며 그를 추모했는데... 2002년 [[http://ko.wikipedia.org/wiki/친일_문학인_42인_명단|친일 문학인 42명 명단]]에 포함됨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http://ko.wikipedia.org/wiki/민족문제연구소의_친일인명사전_수록예정자_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오르고 2009년에는 [[http://ko.wikipedia.org/wiki/친일반민족행위_704인_명단|친일 반민족 행위 704인 명단]]에 이름이 들어가는 등의 그의 친일 행적이 드러났다. 결국 2011년 9월 음성군민들의 노력으로 '친일파 이무영 기념사업 폐지를 위한 음성군대책위원회' 가 결성되고 기자회견을 여는 등 무영제 폐지 여론이 거세지자, 그해 10월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0111552041&code=950301|음성군이 무영제에 대한 예산지원을 중단하는 등]] 실질적으로 무영제는 폐지되었다. 문학비도 사라지고 그의 이름을 딴 길인 무영로도 이름이 바뀌었다. 다만 무영문학상은 계속 시상되며 장소를 바꿔서 ~~원래 문학제 행사장에서 200m도 안떨어진 곳에서~~ 시상된다. 친일과 문학적 평가는 별개라는 생각으로 계속 시상하는 듯. 음성읍 예술로에 위치한 [[http://www.esart.go.kr/www/index.do|음성문화예술회관]]이 [[조지 윈스턴]], [[구라모토 유키]], [[조수미]] 등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엄청난 캐스팅과 눈을 믿을 수 없는 저렴한 가격의 공연을 실현해내는 것으로 유명해지고 있다. (2017년 [[구라모토 유키]] 연말 공연이 20,000원...) 저렴한 가격탓인지 수도권, 경기권이나 청주, 충주에서도 많이 보러온다. === 언어 === [[충청도 사투리|충주 방언권]]과 거의 동일하거나 사투리가 거의 없는 편으로 [[경기 방언]]과 상당히 유사한 편이다. 다만, '''예'''를 '''야'''라고 대답하는 것과 약간의 억양을 가지고 말을 한다. 또 이제를 '''인저''' 또는 '''인제'''라고 쓴다. 백마령을 넘어가면 증평, 청주 일대에서 쓰이는 사투리를 쓴다. === 꽃동네 === 음성[[꽃동네]]라는 거대한 [[복지시설]]의 본원이 위치해 있고, 인근에는 특수학교인 [[꽃동네학교]]가 있다. 무극에서 불편한 몸을 이끌고 동네 사람들에게 밥을 얻어다 다리 밑에 사는 걸인들을 돕던 최귀동 할아버지를 보고 감동한 당시 무극성당 신부 오웅진이 차린 복지시설로 알려져 있다. [[노숙자]], [[장애인]], [[노인]] 등을 수용하며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2014년 방한]] 당시 [[프란치스코(교황)|프란치스코 교황]]도 이곳을 방문했다. 하지만 음성군에 있는 땅을 차명으로 마구 사들여 땅 장사를 한다는 등의 비리의혹으로 지역에서 인식이 그리 좋지만은 않다. 통계를 내보면 꼭 음성꽃동네가 위치한 맹동면의 사망률이 가장 높게 나오는데, 이는 꽃동네 측에서 꽃동네 재소자들을 전부 맹동면으로 주민등록을 해놔서 벌어진 일로 일종의 [[통계의 함정]]이다. == [[음성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음성군/정치)] == 군사 == [[제37보병사단]] 예하 대대가 하나 있으며 [[육군미사일사령부]] 본부가 있었다. 또한 [[육군특수전사령부|특수전사령부]]의 직할부대와 [[특수작전항공단]]이 위치해있다. 때문에 간혹 특전복을 입은 군인들이 보이기도 하고, 헬기소리도 자주 들을 수 있다. [[THAAD]] 배치가 한창 공론화될 당시 평택 혹은 충북 모 지역에 배치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거 때문에 군수 삭발했던데--[[http://www.anln.org/bbs/board.php?bo_table=hotnews&wr_id=15675|충청지방의 지역언론 충청리뷰]]에 따르면 7년 전 국군의 미사일 관련 시설이 음성에 있음을 확인했으며 고로 "충북의 모처"는 음성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기사에서는 부지의 협소함으로 인한 한계를 동시에 제시하며 넓은 부지와 공군기지가 있는 충주를 후보로 예측하기도 했다. 이러한 추측이 음성군내에 알려지면서 음성군청 앞에는 사드배치를 반대한다는 각 지역단체들의 수많은 현수막이 걸렸다. 한편 이런 움직임으로 기업과 주민의 다툼같은 지역이슈는 희석되기도 하였다. 이후 사드가 성주군에 배치된다고 확정되자 현수막은 싹 사라졌다. == [[음성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음성군/행정)] == 대중문화 속의 음성 == * [[그녀를 믿지 마세요]] - 영화. 주 배경이 음성이며, 매년 이 지역에서 열리는 '음성 청결 고추 축제' 장면이 나온다. == 출신인물 == * [[경선식]] * [[구돈회]] - 전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 [[김기철(1917)|김기철]] * [[김동연]] - 제36대 [[경기도지사]] * [[김명규(1974)|김명규]] - 충청북도 경제부지사 * [[김범년]] - 現 [[한전KPS]] 대표이사 사장 * [[김영순(1949)|김영순]] * [[김완태(정치인)]] * [[김성수(외교관)]] * [[김재형(PD)]] * [[김종률]] * [[김성수(외교관)]] * [[김주묵]] * [[김준식(1958)]] * [[김진영(1942)]] * [[김학묵]] * [[남상돈(1916)]] * [[남택화]] * [[민태구]] * [[박수광(정치인)|박수광]] * '''[[반기문]]'''- 前 UN사무총장 * [[서헌원]] * [[성준모(정치인)]] * [[연운경]] * [[오성섭]] * [[오원선]] * [[유주열]] * [[이광진(정치인)]] * [[이기동(1959)]] * [[이덕수(정치인)]] * [[이무영]] * [[이상정(1965년 8월)]] * [[이송원]] * [[이정석(1917)]] * [[이종도]] * [[이충범(법조인)|이충범]] * [[이필용]] - 前 음성군수 * [[이학림]] * [[임택수]] * [[임호영]] * [[자니 윤]] * [[장석현(정치인)|장석현]] * [[정범구]] * [[정상헌(정치인)|정상헌]] * [[정연철]] * [[정우철(정치인)|정우철]] * [[정인소]] * [[정한헌]] * [[조병옥(1960)|조병옥]] - 現 음성군수 * [[조윤형(1956)]] * [[주병덕]] * [[최경록]] * [[김용근]] * [[최병윤]] [[분류:음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