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충청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음성군]] [include(틀:충청북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위치한 버스터미널이다. 이름과는 다르게 음성군 교통중심지는 아닌데 이는 음성읍이 군 남동쪽으로 치우쳐있고, 산에 둘러싸여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시내버스도 여기가 아닌 [[금왕임시정류소|금왕터미널]]을 기준으로 운행한다. 대신에 청주와 충주방면으로의 거점[* 특히 음성 각지에서 충주방면은 노선이 부실하다.]이자 수도권노선의 기종점 역할을 하고 있다. == 터미널 구조 == 1층에는 터미널 대합실과 승차장, 세븐일레븐이 있고 2층에는 당구장이 있다. 터미널 바로 옆에는 택시승강장이 설치되어있다. 터미널 건물에는 매표소, 자동발권기, 화장실이 설치되어있다. == 운행노선 == 서울, 인천방면과 충주, 청주방면이 주력이다. 제천이나 단양, 원주로 가는 노선도 있으나 편수도 적고 완행이므로 인근의 [[음성역]] 에서 철도를 이용하는게 낫다. === 수도권 === 수도권 모든 노선은 여기서 출발한다. *서울행: 무극, 대소에 정차하고 고속도로를 통해 서울로 직통한다. *인천행: 무극, 대소, 삼성, 일죽에 정차하고 고속도로를 통해 안산, 안양을 선택정차한다. *수원행: 무극~이천 SK하이닉스 사이의 모든 터미널을 경유하고 고속도로를 통해 수원으로 간다. *이천행: 이천까지 국도로 운행하며 정차가능한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모든 노선이 무극~일죽/SK하이닉스 구간승차가 가능하다. || 행선지 || 경유지 || 회사 || 배차간격 || 첫차 || 막차 ||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무극, 대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시외버스 동서울-음성|1일 18회]] || 06:20 || 19:00 || || [[서울남부터미널|남서울]] || 무극, 대소 || [[경일여객]], [[코리아와이드 대성]] || [[시외버스 서울남부-음성|1일 10회]] || 06:40 || 20:20 || || [[인천종합터미널|인천]] || 무극, 대소, 삼성, 일죽~(안산 or 호계동, 안양역) || [[친선고속]] || [[시외버스 인천-음성|1일 6회(안양3회, 안산3회)]] || 07:00 || 18:20 || || [[수원버스터미널|수원]] || 무극, 생극, 감곡, 장호원, 이황리(상승대), 태평리, 아미리(SK하이닉스), 우만동 || [[친선고속]] || 1일 2회 || 08:15 || 15:20 || || [[장호원버스터미널|장호원]] || 무극, 생극, 감곡 ||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 1일 3회 || 08:10 || 20:20 || || [[이천종합버스터미널|이천]] || 무극, 생극, 감곡, 장호원, 이황리(상승대), 태평리, 아미리(SK하이닉스) || [[경기고속]], [[대원고속]] || 운행중단 || || || 코로나 이후 이천행이 운휴중이다. === 충청권 === *충주, 청주 완행의 주요경유지로 양 도시간 차편이 많다. *충주행: 주덕에 정차한다. 일부편성은 충주를 넘어서 제천,단양,원주까지 운행한다. *청주행: 보천,도안,증평에 정차한다(일부 청주직통) *진천방면: 무극, 혁신도시 경유 || 행선지 || 경유지 || 회사 || 배차간격 || 첫차 || 막차 || ||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 || 보천, 도안, 증평, 율량동, 북청주 ||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친선고속]], [[경기고속]] || [[시외버스 청주-충주|1일 14회]] || 07:18 || 20:40 || || [[충주공용버스터미널|충주]] || 비산리, 주덕, (서충주신도시) ||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친선고속]], [[경기고속]] || 1일 16회 || 08:13 || 22:10 || || [[진천종합터미널|진천]] || 무극, 맹동, 혁신도시, 덕산 || [[친선고속]] || 1일 5회 || 07:38 || 18:10 || || [[제천버스터미널|제천]], [[단양터미널|단양]](충주노선 연장) || ~충주, 목행, 산척, 백운, 봉양(제천행)/~충주, 살미, 탄지리, 수살리, 용바위, 제천덕산, 적곡리, 수산, 장회, 단성, 단양상진(단양행) ||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친선고속]] || 1일 3회(제천1회, 단양2회) || 13:52 || 18:54 || 코로나로 인한 이천-음성-괴산완행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 강원권 === *충주행의 연장구간이다. 편수도 매우 적고, 완행이므로 충주에서 환승하거나 철도를 이용하는것이 좋다.(제천역 환승) ||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 || ~충주, 목행, 엄정, 목계, 야동, 귀래, 흥업 || [[서울고속(충북)|서울고속]] || 1일 1회 || 15:17 || 15:17 || === 농어촌버스 === 소이(비산리), 괴산(소수), 보천, 음성역(한내.문등.돌뫼), 목도.감물, 원남산단, 증평(보천, 도안), 무극 * 음성읍내 순환노선과 음성읍 생활권인 원남, 소이면 방면노선이 많다. * 괴산군,증평군으로 가는 노선도 운행한다. == 여담 == 호남권과 영남권 노선은 없으며, 인근의 [[충청대로|국도]]로 나가면 [[청주국제공항]],[[천안종합터미널|천안]],[[대전복합터미널|대전]][[유성시외버스정류소|광역시]],[[유스퀘어|광주]],[[전주시외버스터미널|전주]]방면 버스들이 있는데 '''전부 정차하지 않는다...''' 이중에서 [[시외버스 광주-충주|광주행]]과 [[시외버스 천안-충주|청주공항.천안행]]은 그나마 [[증평시외버스터미널|증평]]에서 탈수 있지만 나머지는 철도가 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