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음성피드백(negative feedback,陰性feedback)은 인체 등 생명체에서 생명현상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게 조절하는 주요한 반응 [[메커니즘]]이다. == 상세 == [[이기적 유전자]]에 따르면, 음성 피드백을 생명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한다. 책에서는 이를 의식과 관련하여 이야기하는데, 의식은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동기로 작용한다고 한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음성 피드백은 개인이 원하는 일을 달성하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수준의 조절과 유지라는 측면에서 [[포도당]]을 기준으로 이해해본다면 생명현상의 항상성을 담당하는 효과기(effector organ,效果器)는 [[혈관]]의 [[혈액]]속 [[혈당]]이 되며 이때 포도당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식욕이 활성화되며 음식섭취로 혈당이 높아지면 조절 및 억제 작용으로 포만감과 신체의 활동성이 증가함으로써 포도당이라는 에너지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목표는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음성 피드백은 다시 음성 피드백을 유발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마치 목적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게 된다. 여기에는 [[인슐린]](insulin), 그렐린(ghrelin), 렙틴(leptin) 등의 [[호르몬]](hormone)이 이러한 음성피드백(negative feedback)에 관련되어 있으며 주요 효과기에는 [[췌장]](이자)이나 뇌의 [[시상하부]]와 신체근육의 [[지방조직]] 등이 연관되어 있다. == 피드백 루프 == 음성 피드백은 끝이 시작과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로 항상성을 유지한다. == 관련 항목 == * 개입 단계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axis) [[분류:생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