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구(서울)의 로)] ||<-3> {{{#fff {{{+2 '''을지로'''}}}[br]乙支路 | Eulji-ro}}}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소공로|{{{#fff ← 소공로 (서)}}}]] || [[퇴계로(서울)|{{{#fff 퇴계로 (동) →}}}]]||}}} || || ← {{{-1 {{{#555,#aaa [[온수동|{{{#555,#aaa 온수}}}]] 방면}}}}}}[br]{{{-2 [[소공로]][* 플라자호텔 앞 약 100m 구간]·[[세종대로]][* 대한문~서소문로 입구까지 약 100m]}}}[br][[서소문로]] || [[60번 서울특별시도|[[파일:Cityroad_kor_60.svg|height=17px]] {{{-1 {{{#fff 60번[br]서울특별시도}}}}}}]] || {{{-1 {{{#555,#aaa [[서하남IC|{{{#555,#aaa 방이}}}]] 방면}}}}}} →[br][[퇴계로(서울)|퇴계로]]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을지로.jpg|width=100%]]}}}|| ||<-3><#007348> '''{{{#fff 노선 번호}}}''' || ||<-3> '''[[60번 서울특별시도]]''' || ||<-3><#007348> '''{{{#fff 간체자 · 가타카나 표기}}}'''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간체자 || 乙支路 || || 가타카나 || ウルチロ ||}}}}}}}}} || ||<-3><#007348> '''{{{#fff 기점}}}''' || ||<-3>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태평로(서울)|태평로1가]] [[서울특별시청]] 앞 || ||<-3><#007348> '''{{{#fff 종점}}}''' || ||<-3>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신당동(서울)|신당동]] [[한양공고]] 삼거리 || ||<-3><#007348> '''{{{#fff 연장}}}''' || ||<-3> 3km || ||<-3><#007348> '''{{{#fff 개통}}}''' || ||<-3> [[1398년]] || ||<-3><#007348> '''{{{#fff 관리}}}''' || ||<-3> [[서울특별시청|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 || ||<-3><#007348> '''{{{#fff 왕복 차로 수}}}''' || ||<-3> 6차로 || ||<-3><#007348> '''{{{#fff 주요 경유지}}}''' || ||<-3> [[서울특별시청|시청]] ↔ [[을지로입구역]] ↔ [[을지로3가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서울특별시청]]에서 출발하여 [[한양공업고등학교]] 앞 삼거리까지 이어지는 [[서울특별시]]의 도로. 한양공고 앞 삼거리에서 [[퇴계로(서울)|퇴계로]]와 만난다. 길이는 약 3.5km, 왕복 6차선 도로이다. [[충무로]], [[창경궁로]], [[수표로]], [[삼일대로]], [[남대문로]], 무교로, [[소공로]], [[동호로(서울)|동호로]], [[장충단로]] 등과 교차한다. 을지로는 [[법정동]]으로서의 기능도 하는데, 을지로1가부터 을지로7가까지이며, 을지로3, 4, 5가는 을지로동이라는 [[행정동]]으로 관리되고 있다. == 역사 == * [[조선]] 시대에는 이곳을 구리개라고 불렀으며, [[일제강점기]]가 되어서 [[조선총독부]]가 黃金町(황금정. 독음으로는 고가네마치)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그러다가 [[1945년]] [[8.15 광복]]을 맞고 [[1946년]] [[을지문덕]] 장군의 성씨인 을지를 따다가 을지로로 개명하였다. 구한말부터 [[중국인]]([[화교]])들이 밀집해 [[차이나타운]] 상권을 형성했던 곳이라, 중국인의 기세를 억누르기 위해 을지문덕 장군에서 따와 도로명을 바꾼 것이다. 역시 [[일본인]] 상권이 형성됐던 '혼마찌(本町, 본정)'를 해방 이후 일본인의 기세를 억누르기 위해 [[이순신]] 장군에서 따와 도로명을 바꾼 '[[충무로]]'와 같은 케이스. * [[나석주]] 의사가 1926년 조선식산은행(현 [[한국산업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습격한 의거를 일으킨 곳도 이 일대다. * 기록상 남아있는 [[한국야구사]] 최초로 야구경기가 펼쳐진 곳인 훈련원 공원이 이곳에 위치해 있었다. [[1906년]] [[3월 15일]]에 [[황성 YMCA 야구단]]과 덕어학교 간의 경기로 이날 경기의 자세한 내용은 남아있지 않으나 YMCA 야구단이 3점 차이로 패배를 기록했다는 것만이 기록으로 남아있다. * 훈련원 공원 터위에 1921년 4월 1일 개교하여, 1946년 3월31일 폐교된 경성사범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의 전신) 가 있었고, 해방후 빈 터가 되었다가, 부지 1/2에 주한미군 극동지구 공병단(FED)이 1957년 6월 10일부터 2018년 11월 3일까지 있었고, [[평택시]] [[USAG 험프리스]] 미군기지에 이전을 완료하였다. 이전 완료 후, 2018년 12월 31일 폐쇄되었고, 2019년 여름부터 철거작업 이후, 바로 옆의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할 예정이다. [[파일:393162.png]] ※ 구 경성사범학교 본관 건물 (2018.11.12 촬영) 나머지 부지 1/2은 여러시설이 들어서고 이전을 반복하다가, 1988년 9월 1일부터 1993년 3월 31일까지 [[헌법재판소]]가 있었다가 이전하였고, 이후 훈련원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의 길 건너편에 있다. * [[이순신]]이 1545년 현재의 이 을지로 일대(당시 한성부 건천동)에서 출생했다. == 구간 == ||<-100> '''서쪽 기점 ([[서울광장]], [[소공로]] 116)''' || || '''구''' || '''행정동''' || '''법정동'''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F7F50><|13>'''[[중구(서울)|중[br]구]]''' ||<#FFA07A><|1> '''소공동''' ||<#FDF5E6><|1> '''소공동''' ||<|2> [[서울광장]] || 0번 || [[소공로]] ||<#EEE8AA><|13> '''[[60번 서울특별시도|60번[br]서울특별시도]]''' || ||<#F5DEB3><|5> '''[[명동]]''' ||<#FDF5E6><|2> '''을지로[br]1가''' || 15번 || 무교로 || || 을지로1가교차로[br]([[을지로입구역]]) || 40번 || [[남대문로]] || ||<#FDF5E6><|3> '''을지로[br]2가''' || || 65번 || 명동9길[br]명동11길 || || || 80번 || [[삼일대로]] || || [[을지로3가역]]교차로 || 105번 || [[수표로]] || ||<#FFA07A><|4> '''을지로동''' ||<#FDF5E6><|1> '''을지로[br]3가''' || 을지로3가교차로 || 135번 || [[충무로]] || ||<#FDF5E6><|2> '''을지로[br]4가''' || [[세운상가|대림상가]]교차로 || 160번 || 을지로19길[br]을지로20길[br]을지로22길 || || [[을지로4가역|을지로4가]]교차로 || 180번 || [[창경궁로]] || ||<#FDF5E6><|1> '''을지로[br]5가''' || 을지로5가교차로 || 220번 || [[동호로(서울)|동호로]] || ||<#F5DEB3><|2> '''광희동''' ||<#FDF5E6><|1> '''을지로[br]6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br]사거리 || 270번 || [[장충단로]] || ||<#FDF5E6><|1> '''을지로[br]7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r]교차로 || 285번 || 을지로45길 || ||<#FFA07A><|1> '''[[신당동(서울)|신당동]]''' ||<#FDF5E6><|1> '''[[신당동(서울)|신당동]]''' || [[한양공고]]앞[br]교차로 || 300번 || [[퇴계로(서울)|퇴계로]] || ||<-100> '''동쪽 종점 ([[퇴계로(서울)|퇴계로]] 349, 퇴계로와 직결)''' || == 주요 시설 == * [[서울특별시청]] / [[서울광장]] * 주한[[과테말라]]대사관 * [[롯데호텔 서울]] * [[롯데백화점 본점]] * [[SK텔레콤]] * [[미래에셋대우]] * [[을지로입구역]] * [[하나은행]] / [[하나생명]] / [[하나카드]] *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 * [[서울지방고용노동청]] - 과거 그 건물에 [[printemps|쁘렝땅]] 백화점이 있었다. * 주한[[그리스]]대사관 * [[신한카드]] / [[신한생명]] * 남대문세무서 * [[을지로3가역]] * [[세운상가]] * [[을지로4가역]] * 훈련원공원 * [[국립중앙의료원]] * [[CGV 동대문]] * [[메가박스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서울교통공사]] 동대문별관 * [[한양중학교]] / [[한양공업고등학교]] /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 금세기빌딩[* [[포항제철]]이 대치동 포스코센터의 신축과 함께 사옥을 이전하기 전 사옥으로 사용하였다. 현재 [[포스코O&M]]에서 소유하고 있다.] == 대중교통 == === 철도 교통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2호선]]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5호선 역사는 창경궁로 상에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4호선 역사는 장충단로 상에, 5호선 역사는 마른내로 상에 있다.]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3호선]] - [[을지로3가역]]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을지로 지하를 그대로 뚫고 지나가며, 추가로 3호선 을지로3가역이 을지로 상의 주소를 받았다. 2호선 [[순환선]] 본선을 '''을지로'''순환선이라 부르게 된 것은 이 도로의 영향이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2호선의 명목상 기종점은 [[시청역(서울)|시청역]]이다. 이는 [[서울특별시청]] 앞에 있는 역이라는 상징성이 있기 때문.] 2호선 공사 당시 을지로는 버스 이외의 모든 차량을 통제한 바 있다. == 여담 == [[시청역(서울)|시청역]]부터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을지로 하부에 계속 연결된 지하상가가 있다. [[시청역(서울)|시청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지하로만 쭉 걸어갈 수 있다는 뜻. 편도 30분 정도면 걸어갈 수 있다. 을지로 구간은 역간거리가 짧은 편이기에 지하철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다니는 사람들도 많다. 이 지하상가는 1983년과 1984년에 걸쳐 2호선 을지로 구간과 동시에 공사되어 개통한 것이다. 을지로2가부터 [[국립중앙의료원]]까지 양방향 모든 교차로에서 [[유턴]]과 [[좌회전]]이 불가능하다. [[더불어민주당]] 내 진보그룹인 을지로위원회가 을지로에서 이름을 따왔다. 물론 한자로는 乙之路이므로 다르다. 을지로입구에서 종점까지는 과거 [[3번 국도]]였다. [[서울 버스 N73]],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전 구간을 완주한다. 인쇄소가 상당히 유명하다. [[을지로3가역]]과 [[을지로4가역]] 사이 [[인현동]]에 인쇄소와 제본소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제본뿐 아니라 금박, 판, 스티커 등등 굉장히 다양한 분야의 인쇄를 담당하는 회사들이 포진해있다. 일명 '''을지로 인쇄골목'''이라는 별명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특히 대학원 논문이 쏟아지는 겨울방학 12월~1월 시기에는 적어도 수도권의 거의 모든 대학들의 논문이 이곳을 거쳐가고, 지방에는 이런 인쇄단지가 흔치 않은 탓에 지방대에서 올라오는 논문 의뢰도 많다. 같은 시기에 새학기를 준비하며 교과서가 인쇄되는 곳 역시 여기. 다만 지역 자체가 낡고 지저분해서 젊은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어서 미래가 불투명한 위기에 처해있다. [[분류:중구(서울)의 도로]][[분류:중구(서울)의 법정동]][[분류:을지문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