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목차] == 개요 == 殷仲文 (? ~ 407) [[동진]]의 인물. 예주 진군(陳郡) 장평현(長平縣) 출신. 남만교위 [[은의]]의 동생. == 생애 == 은중문은 어릴 적부터 재능과 문재가 있었고 용모도 수려하였다. 초기에 사촌형 [[은중감]]이 그를 회계왕 [[사마도자]]에게 천거하여 표기참군으로 임관하였고, 특별히 상이 더해져 예우받았다. 이후 자의참군으로 옮겨졌다가 사마도자의 아들인 [[사마원현]] 휘하로 배속되어 정로장사를 지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환현]]과 동진 조정이 불화하게 되자, 은중문의 처가 환현의 누나였기에 조정에서는 은중문을 의심하고 신안태수로 좌천시켰다. 원흥 원년(402년) 3월, 환현이 강릉(江陵)에서 거병해 관군을 격파하고 경사를 장악했다는 소식을 들은 은중문은 군을 버리고 환현을 찾아가 투항하였다. 환현은 사돈지간임에도 평소 교류가 없었던 은중문이 선뜻 투항하는 것을 보고 심히 기뻐하며 그를 자의참군으로 삼았다. 이후 은중문은 환현의 심복이 되어, 왕밀(王謐), [[변범지]]와 맞먹는 총애를 받았다. 원흥 2년(403년) 9월, 변범지와 함께 환현에게 제위를 찬탈할 것을 권하고, 책명을 위조해 환현이 9석을 받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은중문은 시중으로 승진하고, 영 좌위장군(領左衛將軍)을 겸하였다. 원흥 2년(403년) 12월, 환현이 마침내 [[안제(동진)|안제 사마덕종]]으로부터 제위를 선양받고, [[초(위진남북조)|초나라]](楚)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토록 바라던 황위에 오른 환현이 입궁하여 정전에 들어가 어좌에 앉으려던 찰나, 갑자기 마루가 가라앉으니 그 광경을 목격한 백관들이 모두 크게 놀라 불길하게 여겼다. 그때 은중문이 나아가 말했다. > "폐하의 성스러운 덕이 깊고 두터워, 대지도 이를 견디지 못한 것입니다." 환현은 이 말을 듣고 매우 기뻐했다. 은중문은 초나라의 개국공신으로 인정받아 동흥공(東興公)에 봉해지고, 환현으로부터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다. 그가 쓰는 수레, 기물, 복장 등은 더할 나위 없이 화려하였고, 첩은 수십 명을 두었으며, 그의 저택에서 현악기와 관악기의 음악 소리가 끊이질 않았다. 또, 은중문은 성정이 인색하고 탐욕스러워 수많은 뇌물을 수령하였고, 천금에 달하는 재산을 모았지만 항상 부족하다 불평하였다. 원흥 3년(404년) 2월, 건무장군 [[송무제|유유]]가 거병해 경구(京口)를 장악하고, 서연2주자사, 안성왕 [[환수(환초)|환수]]를 참수하니, 환현은 은중문을 서연2주자사로 삼아 환수를 대신케 하였다. 이후 환현군이 복주산(覆舟山)에서 유유의 의군에게 패하자, 은중문은 환현의 밀명을 받고 석두(石頭)에 배를 준비하여 환현을 따라 서쪽으로 달아났다. 원흥 3년(404년) 5월, 환현이 쟁영주(崢嶸洲)에서 유유가 보낸 추격군과 결전을 벌였으나 대패하였다. 환현은 안제를 끼고 다시 서쪽으로 도망치면서 [[목제(동진)|목제 사마담]]의 황후인 목장황후 [[하법예]]와 안제 사마덕종의 황후인 안희황후 [[왕신애]]를 파릉(巴陵)에 남겼다. 이때 환현과 같은 배를 타고 있던 은중문은 몰래 빠져나와 두 황후를 모시고 건강으로 들어가 유유에게 투항하였다. 이후 은중문은 진군장사에 임명되었다가 상서로 옮겨졌다. 의희 원년(405년) 3월, 환현에게 납치되었던 안제가 다시 도성 건강으로 돌아와 복위되었다. 은중문은 조정에 상표하여 안제에게 지은 죄를 고하고 해직을 자청했으나, 조정에서 불허하였다. 의희 3년(407년) 2월, 은중문은 본래 재주와 명망이 있어, 스스로 마땅히 국정을 담당해야 한다 자부하였는데, 자신보다 어린 [[사혼]]과 동급으로 가벼운 취급을 받고 그 뜻을 이루지 못 해 크게 낙심하였다. 한번은 환온의 저택에 자란 늙은 회화나무를 보고는 > "이 나무가 앙상한 것을 보아하니, 다시 살아나기는 글렀도다!" 라 한탄하며, 회화나무를 자신에 비유하였다. 그때 조정에서 그를 동양태수에 임명하니, 은중문의 불만은 더욱 깊어져 갔다. 당시 동양군은 강주 관할 아래 있었기에, 은중문은 부임지로 떠나면서 강주자사 하무기에게 부임하는 즉시 찾아뵙겠다는 말을 전했다. 은중문의 명성을 흠모하던 하무기는 자사부 소속 문인들인 은천(殷闡), 공녕자(孔寧子)에게 은중문을 위한 좋은 글을 쓰라 명령하고, 그와의 만남을 기대하였다. 하지만 실의에 빠져 넋을 놓고 있던 은중문이 하무기를 찾아뵙지 않자, 하무기는 자신을 우습게 본 것이라 여기고 크게 분노하여 원망하는 마음을 품었다. 그리고 [[남연]]이 침입해왔을 때, 유유에게 접근해 > "환윤(桓胤)과 은중문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질병이나 마찬가지인 존재로, 북로(北虜)[* 당시 선비족에 대한 멸칭.]의 우환도 그들에 비하기는 부족합니다." 라며 은근히 일렀다. 때마침 유유가 단도(丹徒)로 향한 사이에 유유의 부장 낙빙(駱氷)이 반란을 꾸미다 발각되는 사건이 터졌다. 낙빙은 조사 과정에서 은중문, 환석송(桓石松), 조정지(曹靖之), 변승지(卞承之), 유연조(劉延祖)와 더불어 환윤을 옹립하려 했다 자백하였다. 유유는 낙빙의 자백에서 나온 이들을 전부 멸족하였고, 은중문 역시 동생 남만교위 은숙문(殷叔文)과 함께 주살되었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분류:407년 사망]][[분류:진군 은씨]][[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