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銀]][[丹]] / jintan}}} [[은색]] 구슬 모양의 구중청량제. == 역사 == || [[파일:morishita_jintan.png]] || [[파일:morishita_jintan_logo.jpg]] || ||<:> 일본 모리시타인단 사의 은단|| 모리시타인단의 상표 || 모리시타인단(森下仁丹)주식회사의 창업자인 모리시타 히로시(森下博)가 1895년 [[청일전쟁|대만 출병]] 중에 현지 주민들이 복용하던 약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10년간의 구상과 3년간의 연구를 거쳐 개발하여 인단(仁丹, 진탄)[* 참고로 [[仁]]은 '씨'의 의미가 있다. 예컨대 [[도인#s-2|도인]]([[桃]][[仁]])은 복숭아씨다.]이라는 상표로 1905년에 최초 발매하였다.[* 발매한 시기에 벌어진 [[러일전쟁]]에서도 이 전쟁에 관련된 의약 부산물로 [[정로환]]이 생겼다.] 모리시타인단의 경쟁상품으로는 카올(カオール, KAOL)이 있는데, 사실 상품 자체는 카올이 먼저 나왔다. 카올은 1899년 처음 발매되었고 1951년부터 오리지날이라는 회사에서 생산하며, 정식수입도 되고 있다. 해방 후 대한민국에서는 [[고려은단]]에서 인단을 본따 은단(銀丹)이라는 이름으로 발매하였고 그것이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은단이다. 중국에서는 마찬가지로 인단(人丹)이라는 이름으로 팔린다. 북한에서는 지금도 '인단(仁丹)'으로 부르고 있다. 식재료로서 은(銀)을 쓸 수 없게 되었기에, 23년 12월 현재는 은단이 전국 품절 상태이다. == 특징 == [[감초]], [[계피|육계]], 건강(말린 [[생강]]), 아선약(阿仙藥)[* 수렴제로 쓰이는 식물로 약용 이외에도 공업용 원료, 염료로 이용된다. 우리말로는 감겨자, 영어로는 카테큐(catechu)라고 부른다.], [[정향]], 목향, [[회향]]과 같은 한약재와 향신료를 배합하여 '''[[은|은박]]'''을 겉에 씌워 만든 아주 작은 알갱이 형태의 알약. 그냥 은색인 줄 아는 사람이 많지만 진짜 은이 들어있다. [[의약외품]](구중청량제)으로 분류된다. 작은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된 갑에 담겨 조금씩 덜어먹을 수 있는 형태로 포장되어 있다. 입 안에 청량감을 주고 입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원료의 대부분이 매운맛이 나고 자극성이 강한 향신료들이기 때문에, 입 안에 넣고 씹으면 강렬한 향기와 함께 순간적으로 혀가 마비된 것 같은 화끈함과 알싸함을 느낄 수 있다. 발매 초창기 선전 문구에 의하면 은단(인단)은 [[만병통치약|음주, 흡연 전후의 냄새, 멀미, 두통, 과식 후, 피로, 소화불량, 가슴이나 배의 통증 등에 두루 효험이 있으며 감기, 해독, 전염병 예방도 될 수 있다]]고 광고하였으나 현재는 구중청량과 구취제거만 효능으로 내걸고 있다. 그와는 별개로 보건소에서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고려은단에서 나온 은단을 준다. == 기타 == 가글액이나 스프레이형 구취제거제가 흔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대표적인 구취제거 수단이었기 때문에 성인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강한 향 덕분에 [[껌]]을 씹는 것으로는 잘 사라지지 않는 [[담배]]냄새를 없애는 데에 아주 뛰어났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흡연자들 본인이 생각하는게 이렇다는거고, 주위 비흡연자들 입장에서는 담배+은단의 상승 효과로 아주 고약한 아저씨 냄새가 난다.] 흡연자들이 은단을 휴대하고 다니며 씹는 경우는 아주 흔했다. 이 때문에 중, 고교생들은 흡연측정기가 도입되기 전까지 학교에서 은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적발되면 '''담배를 가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취급되었고, 입에서 은단 냄새가 나면 [[흡연]]을 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은단을 대신할 만한 여러 구취제거 상품들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수요가 많이 줄어서 현재는 보기가 힘들어졌다. 주요 제조사인 고려은단이 주력 분야를 비타민제 사업으로 전환한 것도 이러한 배경이 한 몫하는 듯하다. 그래도 금연을 시도하는 흡연자들이 금단증상으로 입이 근질거릴 때 대용품으로 찾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현재도 꾸준히 판매는 이루어지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금연을 시도하려고 담배를 피우는 것 대신 은단을 씹어서 금연에는 성공하지만 은단 중독에 걸리거나 하는 일이 있다. --하지만 백해무익한 담배중독에 비하면 백배 천배 낫다.-- 다만 진짜 은이 들어가기 때문에 [[은피증]]에 걸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과다 복용하지 말 것. [[http://www.papersearch.net/view/detail.asp?detail_key=27706746|은단 섭취로 은피증에 걸린 사례]] 파제르의 Pantteri [[살미아키]]가 비슷한 맛이 난다. 은단에서 매운 맛이 줄고 짠 맛이 더해진 맛이다. 마찬가지로 감초가 주성분이라 그런 것이다. [[분류:일반의약품]][[분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