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능연각 24 공신)] ||<-2> '''{{{#ece5b6 능연각훈신[br]운절공(鄖節公)[br]{{{+1 殷嶠 | 은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hxlsw.com/1-110ZGH539.jpg|width=100%]]}}} || || '''[[시호|{{{#fff 시호}}}]]''' ||절공(節公) || || '''[[작위|{{{#fff 작호}}}]]''' ||진군공^^(陳郡公)^^ → 운국공^^(鄖國公)^^ || || '''{{{#fff 이름}}}''' ||은교(殷嶠) || || '''{{{#fff 자}}}''' ||개산(開山) || || '''{{{#fff 부친}}}''' ||은승수(殷僧首) || || '''{{{#fff 조부}}}''' ||[[은불해]](殷不害) || || '''{{{#fff 출신}}}''' ||옹주(雍州) 호현(鄠縣) || || '''{{{#fff 생몰}}}''' ||??? ~ 622년 || || '''{{{#fff 국적}}}''' ||수(隋) → 당(唐)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역임한 관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3em;" || '''{{{#fecd21 수}}}''' ||태곡현장^^(太谷縣長)^^ → 대장군부연^^(大將軍府掾)^^[br]→ 광록대부^^(光祿大夫)^^[br]→ 위북도원수부장사^^(渭北道元帥府長史)^^[br]→ 승상부연^^(丞相府掾)^^ → 이부시랑^^(吏部侍郎)^^ || || '''{{{#ece5b6 당}}}''' ||원수부사마^^(元帥府司馬)^^[br]→ 이부상서^^(吏部尙書)^^ 겸 섬동도행대 병부상서^^(陝東道大行台兵部尙書)^^[br]섬동도대행대우복야^^(陝東道大行台右僕射)^^, 사공^^(司空)^^(추증) ||}}}}}}}}}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의 인물로, 자는 개산(開山). [[능연각훈신]] 중 한 명으로, 은개산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 생애 == 은개산은 옹주 호현에서 [[은불해]]의 손자이자, 은승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은개산은 학문과 품행이 유명하였고 공문서 작성에 뛰어났다. [[수나라]] 시기에 출세한 은개산은 태곡현장(太谷縣長)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위정에서 뛰어난 명성을 얻었다. 수나라 말, [[고조(당)|이연]]이 거병하고 대장군부를 열면서, 은개산을 벽소하여 대장군부연으로 삼았고, 은개산은 여러 차례 군공을 세워 광록대부가 되었다. 고조의 아들인 진왕 이세민이 위북도 원수가 되자, 은개산은 이세민 휘하의 원수부 장사가 되었는데, 관중에 도적들이 모여들자, 은개산이 관중을 초유하는 임무를 맡아 관중을 초유한다. 은개산은 [[유홍기(당나라)|유홍기]]와 함께 출전하여 수나라의 수도인 장안을 평정하고, 진군공(陳郡公)의 작위를 받았으며, 승상부연, 이부시랑의 관직을 받았다. 당나라가 건국된 뒤 은개산은 진왕 이세민과 함께 [[설거]] 정벌에 참전하였는데, 때마침 이세민이 병에 걸리는 바람에, 군대의 지휘를 은개산과 [[유문정]]에게 맡긴다. 이세민은 은개산과 유문정에게 지휘를 맡기며, 설거와 교전할 때 지연전술을 펼쳐 군량이 다하기를 기다렸다가 공격하라고 타일렀다. 하지만 은개산은 설거가 자신들을 깔볼까 두려워하여, 유문정에게 무력을 보여줄 것을 청하였지만, 도리어 설거에게 패배한다. 설거의 기세는 당나라의 수도인 장안까지 밀고 들어오려고 했기 때문에, 당나라는 엄청난 위기에 빠졌다. 설거와의 전투에서 패배한 은개산은 한때 이때의 패전으로 제명되었지만, 설거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전세는 당나라에게 역전되었고, 은개산은 [[설인고]]를 토벌하면서 다시 명예를 회복한다. 은개산은 섬동도대행대 병부상서로 임명되고, 이부상서로 승진하였다. 또한 [[왕세충]] 토벌에 참가하여 작위가 운국공(鄖國公)이 된다. 은개산은 [[유흑달]] 토벌에 참가하다가,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은개산은 섬동도대행대 우복야로 추증되었고 절(節)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654년에 다시 사공으로 추증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622년 사망]][[분류:진군 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