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시즘)] ----- ||<-2> '''{{{+2 율리우스 에볼라}}}[br]Julius Evola'''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ulius Evola - Scatto tratto da L. F. Clauss, Die Seele des Anderen (1959).png|width=100%]]}}} || |||| Die Seele des Andern에 실린 사진.[br] Ludwig Ferdinand Clauß가 1954년 촬영. || || '''본명''' ||줄리오 체자레 안드레아 "율리우스" 에볼라[br]Giulio Cesare Andrea "Julius" Evola|| ||<|2> '''출생''' ||[[1898년]] [[5월 19일]] || ||[[이탈리아 왕국]] [[로마]]|| ||<|2> '''사망''' ||[[1974년]] [[6월 11일]] (향년 76세) || ||[[이탈리아]] [[로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왕국)]→[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직업''' ||철학자, 작가, 화가, 사상가|| || '''종교''' ||불명|| || '''정당''' ||[include(틀:무소속)]||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극우 성향 귀족주의적, 군주주의적, 전통주의적, 영웅주의적, 도전적인 반동주의적 [[철학자]]이자 [[작가]], [[화가]]. 1898년 5월 19일 [[이탈리아 왕국]] [[로마]]에서 전신기장이던 빈센조 에볼라[* Vincenzo Evola]와 지주이던 콘센타 멘지아페인[* Concetta Mangiapane]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 시기 시칠리아의 작명 전통에 따라 에볼라의 이름은 부분적으로 외할아버지의 이름에서 따와 지어졌다. 그의 가족들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들이었다. 하지만 에볼라는 자신의 삶의 초창기에 대한 세부적인 이야기들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했고, 자신의 개인사의 일부 세부적인 내용들을 숨긴 것으로 유명하다.[* 출처: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of Julius Evola, Paul Furlong: 2페이지] 그가 가끔씩 남작으로 불리는 이유는 중세 후기 [[시칠리아 왕국]]에서 카스트로피냐노의 남작이던 Evoli [[가문]]과 먼 관계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에볼라는 스스로를 고대 로마와 연관짓기 위해 자신의 이름에 율리우스라는 이름을 썼다. || [[파일:Julius Evola - Anton Giulio Bragaglia, postcard.png|width=50%]] || || 1920년대에 Anton Giulio Bragaglia가 찍은 그의 사진. || [[프리드리히 니체]]의 영향을 깊게 받아 근대성(modernity)에 굉장히 회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정신적 귀족[* [[위버멘쉬]]. 그는 근대성을 사람을 나약하게 만드는 존재라고 생각했고 모든 근대성으로부터 독립한 철인 즉 [[위버멘쉬]]가 사회를 통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 [[위버멘쉬]]는 끊임없는 자가수련, 고통 속에서 발전해야한다고 봤고 에볼라는 그 처음 대상을 [[무솔리니]]로 봤었다. 이후에 무솔리니의 [[미래주의]]적 근대운동에 반발하며 [[이탈리아 파시즘]]운동에서 탈당했지만.]이 지배하는 계층화된 사회를 이상향으로 제시했다. [[반기독교]] 성향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나마 [[가톨릭]]이 제일 낫다고 생각했다가 이후에 [[불교]]를 접하면서 그의 사상 특유의 [[철인]]적 사고관을 위해 가장 적합한 것은 [[불교]]라고 믿어 [[불교]]를 고평가하게 되었다. [[전통주의]]를 옹호하면서도 젊은 시절엔 [[다다이즘]]과 [[미래주의]] 운동을 지지했고, [[파시즘]] 운동에도 일정 부분 가담했으나 결국 그것의 한계를 절감하고 마는데 그 이유는 파시즘이 그의 관점에서 너무나 [[뇌절|'''덜 급진적''']]이었기 때문이라고(...) 다만 철학적인 측면에서 덜 급진적이라는 거고 나치의 인종사상에도 거부감을 표했다.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오스트리아]]의 거리를 걷다 [[공습]]으로 척수가 손상되는 고통을 겪게된다. 그럼에도 연구와 저술활동에 매진하여 [[오컬트]]와 [[신비주의]], [[티베트 불교]] 등에 대한 깊이있는 저서를 남겼고, 1974년 [[로마]]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한다. 그의 저서는 [[독일어]]와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고 그의 주장은 현재까지도 [[유럽]]의 [[극우]] [[민족주의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 저서 == || L'individuo e il divenire del mondo (1926; The Individual and the Becoming of the World) || || L'uomo come potenza (1925; Man as Potency) || || Teoria dell'individuo assoluto (1927; The Theory of the Absolute Individual) || || Imperialismo pagano (1928; 2판 1978) || || Fenomenologia dell'individuo assoluto (1930; The Phenomenology of the Absolute Individual) || || La tradizione ermetica (1931; 3판 1971)[* 영어판: The Hermetic Tradition: Symbols and Teachings of the Royal Art. Inner Traditions. 1995.] || || Maschera e volto dello spiritualismo contemporaneo: Analisi critica delle principali correnti moderne verso il sovrasensibile (1932)[* 영어판: The Mask and Face of Contemporary Spiritualism. Arktos. 2018. / The Fall of Spirituality: The Corruption of Tradition in the Modern World. Inner Traditions/Bear. 2021.] || || Heidnischer Imperialismus (1933)[* 영어판: Heathen Imperialism. Cariou Publishing. 2007./ Pagan Imperialism. Gornahoor Press. 2017.] || || Rivolta contro il mondo moderno (1934; 2판 1951; 3판 1970)[* 영어판: Revolt Against the Modern World: Politics, Religion, and Social Order in the Kali Yuga. Inner Traditions/Bear. 1995.] || || Il Mistero del Graal e la Tradizione Ghibellina dell'Impero (1937)[* 영어판: The Mystery of the Grail: Initiation and Magic in the Quest for the Spirit. Inner Traditions/Bear. 1996.] || || Il mito del sangue. Genesi del Razzismo (1937; 2판 1942) [* 영어판: The Myth of the Blood: The Genesis of Racialism. Arktos. 2018.] || || Sintesi di dottrina della razza (1941) [* 영어판: Synthesis of the Doctrine of Race. Cariou Publishing. 2020.] || || Indirizzi per una educazione razziale (1941) [* 영어판: The Elements of Racial Education. Cariou Publishing. 2022.] || || La dottrina del risveglio (1943) [* 영어판: The Doctrine of Awakening: The Attainment of Self-Mastery According to the Earliest Buddhist Texts. Inner Traditions/Bear. 1996.] || || Lo Yoga della potenza (1949; 2판 1968) [* 영어판: The Yoga of Power: Tantra, Shakti, and the Secret Way. Inner Traditions/Bear. 1993.] || || Gli uomini e le rovine (1953; 2판 1972) [* 영어판: Men Among the Ruins: Post-War Reflections of a Radical Traditionalist. Inner Traditions/Bear. 2002.] || || Metafisica del sesso (1958; 2판 1969) [* 영어판: 1983–1991: Eros and the Mysteries of Love: The Metaphysics of Sex. Inner Traditions/Bear. 1991.] || || L'operaio nel pensiero di Ernst Jünger (1960; The Worker in the Thought of Ernst Jünger) || || Cavalcare la tigre (1961) [* 영어판: Ride the Tiger: A Survival Manual for the Aristocrats of the Soul. Inner Traditions/Bear. 2003.] || || Il cammino del cinabro (1963; 2판 1972) [* 영어판: The Path of Cinnabar. Arktos. 2009.] || || Il Fascismo. Saggio di una analisi critica dal punto di vista della Destra (1964; 2판 1970) [* 영어판: Fascism Viewed from the Right. Arktos. 2013. / Notes on the Third Reich. Arktos. 2013.] || == 같이 보기 == * [[르네 게농]] - 전통주의자로 에볼라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나 정작 게농은 에볼라와 엮이는 것을 싫어했다고 한다. * [[알렉산드르 두긴]] - 사상적으로 율리우스 에볼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분류:이탈리아의 현대 철학자]][[분류:1898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분류:이탈리아의 남작]][[분류:로마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