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래퍼, rd1=행주(리듬파워))] [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내야수))] ||
'''{{{#fff 윤형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홈런왕)]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17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점왕}}}''' ||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5번}}}''' || || 윤국영[br](2012) || {{{+1 →}}} || '''윤대영[br](2013~2014)''' || {{{+1 →}}} || [[이창섭(야구)|이창섭]][br](2015~2016.8.)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63번}}}''' || || [[권희동]][br](2013~2014) || {{{+1 →}}} || '''윤대영[br](2015)''' || {{{+1 →}}} || [[최우재(야구선수)|최상인]][br](2016~2017)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39번}}}''' || || [[장진용]][br](2011~2017) || {{{+1 →}}} || '''{{{#ffffff 윤대영[br](2018)}}}''' || {{{+1 →}}} || [[류원석]][br](2019~2020)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62번}}}''' || || [[전준호(1998)|전준호]][br](2019) || {{{+1 →}}} || '''{{{#ffffff 윤형준[br](2020)}}}''' || {{{+1 →}}} || [[김주성(야구선수)|김주성]][br](2021)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28번}}}''' || || [[장현식]][br](2019~2020.8.12.) || {{{+1 →}}} || '''윤형준[br](2021)''' || {{{+1 →}}} || [[이재용(야구선수)|이재용]][br](2022)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27번}}}''' || || [[이호준]][br](2019~2021) || {{{+1 →}}} || '''윤형준[br](2022)''' || {{{+1 →}}} || [[테일러 와이드너|와이드너]][br](2023~2023.8.3.)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52번}}}''' || || [[노진혁]][br](2017.9.23.~2022) || {{{+1 →}}} || '''윤형준[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형준2023프로필.png|width=100%]]}}} || ||<-2> '''NC 다이노스 No.52''' || ||<-2> '''{{{#00275a {{{+2 윤형준}}}[* 윤대영에서 개명.][br]尹炯竣 | Yoon Hyeongjun}}}''' || ||<|2> '''출생''' ||[[1994년]] [[1월 31일]] ([age(1994-01-31)]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서림초 - [[무등중학교|무등중]] -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 || || '''신체''' ||186cm, 97kg, A형 || || '''포지션''' ||'''[[1루수]]'''[* 진흥고 시절까지는 외야수였으나 NC에 입단한 후 [[김경문]] 감독의 권유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좌익수]], [[우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4라운드]] (전체 31번,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3~2015)[br][[LG 트윈스]] (2016~2019, 2020)[* 2019 시즌 시작 전 음주운전으로 인한 임의탈퇴 후 1년 뒤 복귀.][br][[NC 다이노스]] (2021~) || || '''병역''' ||[[경찰 야구단]] (2016~2017) || || '''연봉''' ||4,000만원 (동결, 2023년) || || '''등장곡''' ||DJ Khaled - 《All I Do Is Win》(feat.T-Pain,Ludacris,Snoop Dogg,Rick Ross) || || '''응원가''' ||[[https://ncdinos-homepage.s3.ap-northeast-2.amazonaws.com/v1/music/윤형준 - (AR) _ ver 1_20230804_044603.wav|구단 자체 제작]] - 작사/작곡 : [[김상헌(응원단장)|M.H.]][*가사 아 NC의 윤형준 (윤!형!준!) 힘차게 거침없이 홈런 (윤!형!준!)(x2)][* [[모창민]]의 마지막 응원가를 물려받았다.][* [[https://youtu.be/NPu22r0AYjA|이 영상]]을 통해 응원가를 정했다. 이번 응원가는 특이하게도 선수가 직접 전 응원가들을 듣고 고르는 방식이었는데, [[박준영(1997)|박준영]]과 모창민의 응원가 중 고심 끝에 모창민의 응원가를 선택했다.]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부모님]][* 외동아들이다.] ---- 외조부 이계화, 외조모 김귀남 [br] 외삼촌 [[이종범]], 외숙모 정연희 [br] 외사촌 동생 '''[[이정후]]''', 이가현 [br] 외사촌 매제 '''[[고우석]]''' || || '''MBTI''' ||[[ESTJ]] || }}}}}}}}}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 == [[윤형준/선수 경력|선수 경력]] == ||<-5>
'''{{{#ffffff 윤형준의 선수 경력}}}''' || ||<-5> '''통합 선수 경력 : [[윤형준/선수 경력]]''' || ||<-5>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3> [[윤형준/선수 경력#s-3|'''{{{#ffffff 2013~2015년}}}''']] || [[윤형준/선수 경력#s-4.1|'''{{{#ffffff 군 복무}}}''']] || [[윤형준/선수 경력#s-4.2|'''{{{#ffffff 2018년}}}''']] || || [[윤형준/선수 경력#s-4.3|'''{{{#ffffff 2019년}}}''']] || [[윤형준/선수 경력#s-4.4|'''{{{#ffffff 2020년}}}''']] || [[윤형준/선수 경력#s-5.1|'''{{{#ffffff 2021년}}}''']] || [[윤형준/선수 경력#s-5.2|'''{{{#ffffff 2022년}}}''']] || [[윤형준/선수 경력#s-5.3|'''{{{#ffffff 2023년}}}''']] || ||<-5> [[윤형준/선수 경력#s-2|'''{{{#fff 아마추어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 타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형준2루타230713_1.gif |width=100%]]}}} || || 윤형준의 타격폼[* 2023년 7월 13일 롯데전 3타점 2루타.] || 186cm, 97kg의 건장한 피지컬을 갖춘 우타 중장거리 타자. 배트스피드가 느리지만 한 방이 있는 타자라[* 빠른 발과 정교한 컨택으로 승부하는 중장거리형 좌타자인 사촌동생 [[이정후]]와는 대척점에 있는 스타일이다.] 투수들이 쉽게 상대하지 못한다. 주전 출장 기회를 자주 얻은 2023 시즌에는 변화구 대처가 성숙해지며[* 프로 초기인 2018년 인터뷰에서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96&aid=0000468932|변화구를 노리고 치기보다는 속구를 지켜보다가 대처하는 타입]]이라고 말한 적이 있으며, 2023년 [[https://sports.naver.com/news?oid=144&aid=0000900496|인터뷰]]에서도 "변화구에 안 속으려고 애쓰다 보니 오히려 강점이던 직구까지 놓치게 되더라"며 "그래서 생각을 바꿨다. 속아도 괜찮다는 마음으로 자신 있게 방망이를 휘둘렀다."고 말했다.] 그동안 매우 낮았던 BB/K, IsoP, wOBA 등 주요 타격 지표들이 볼만한 수준까지 올라왔는데, 나이가 있는 유망주지만 애초에 2023 시즌 시작 전까지 1군 통산 타석이 150 타석에 불과할 정도로 샘플 자체가 매우 적었기 때문에 이제야 잠재력을 터뜨리기 시작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1군에 막 진입했을 때는 퓨처스리그에서의 좋은 성적이 [[서울경찰수련장 야구장|벽제 야구장]] 덕이라면서[* 실제로 벽제를 벗어나 잠실 야구장과 동일 사이즈인 이천 구장에서의 퓨처스 성적은 시원찮았다.] 과연 윤형준이 장타 유망주인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2021년 1군에 늦게나마 안착한 후에는 유망주 시절의 명성을 되찾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수비 및 주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형준호수비230630.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형준리버스더블230713.gif |width=100%]]}}} || || 윤형준의 1루 수비[* 순서대로 2023년 6월 30일 kt전, 2023년 7월 13일 롯데전.] || 중장거리 타구를 생산할 수 있는 타격 잠재력을 인정받아 교타자 스타일의 내야수 [[이상호(1989)|이상호]]와 [[2020년 한국시리즈]] 직후 맞교환되며 NC에 재영입되었고[* 당시 나성범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포스팅 신청으로 전력 공백이 우려되던 상황이라 (결과적으로 실패하여 잔류했지만) NC는 장타자에 대한 갈증이 있었다. 그리고 NC는 억대 연봉을 받는 이상호보다 연봉은 적고 나이는 더 어린 [[김찬형]], [[박준영(1997)|박준영]] 등의 유틸리티 내야수들을 장기적으로 육성하고자 했다. 2020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베테랑 이상호 대신 김찬형이 승선한 것이 그 예.] 2021년 주전 1루수 [[강진성]]의 백업으로서 좌타자 [[이원재(1989)|이원재]]와 함께, 2022 시즌에는 강진성이 보상선수로 타팀에 넘겨지면서 공석이 된 1루 자리에 상무 야구단에서 전역한 좌타자 [[오영수(야구선수)|오영수]]와 더불어 플래툰 또는 대타로 종종 나섰다. 2023 시즌에는 일찌감치 주전 1루수로 낙점되었던 오영수가 타격과 수비 양면에서 모두 크게 부진해 엔트리에서 말소되면서 [[도태훈]]과 함께 1루수 출장 기회를 자주 받았는데, 이를 놓치지 않으면서 주전 자리를 꿰찼다. 취약하다고 평가받았던 수비에서도 이전 시즌과는 다른 안정적인 모습[* 오영수의 경우 1루수 치고는 작은 사이즈의 문제로 인해 포구에서 불안감을 노출하는 경우가 잦았다.]을 꾸준히 보여주면서 [[모창민]]-[[강진성]] 이후 꾸준히 NC 내야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1루수 자리를 드디어 채워줄거라는 NC 팬들의 기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데로 배트 스피드가 느리다는 것이 치명적인 약점인데 공이 빠른 투수를 상대하면 직구를 사실상 손대지 못한다. 이 치명적인 약점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남은 커리어가 달려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발은 굉장히 느려 통산 도루 시도 횟수가 3회에 불과할 정도로 도루 시도 자체가 적은 유형이다. 또한 번트에 미숙함을 보이고 있어[* 1군 통산 10회 시도, 5회 성공.] 이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음주운전 적발 === 2019년 2월 24일 아침 혈중 알코올농도 0.106%, 면허 취소 수준의 상태에서 경찰의 음주단속에 걸렸다. 자기 차량에서 잠이 들었다가 붙잡혔다고 하는데, 음주 측정 와중에도 술이 다 안 깼는지,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며 앞에 세운 순찰차를 들이받았다고 한다.[[http://www.segye.com/newsView/20190224000619|#]] LG 구단측은 "윤대영이 음주 운전을 한 것으로 통보받았다"며 사건 경위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고 내부에서 어떤 조치를 취해야할 지에 대해서 확인 중이다"라고 밝혔다. 이후 알려진 바로는 25일 출발하는 오키나와 2차 전지훈련에서 제외되면서 좌절감에 술을 마셨다고 한다.[[http://naver.me/54M8lxL7|#]] 결국 구단은 당일 오후 KBO에 [[임의탈퇴]] 공시를 요청했다.[[http://naver.me/5goaihCB|#]] 당연히 임의탈퇴 규정에 따라 2019 시즌은 날리게 되었고 자칫하다가는 [[정형식]]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같은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정성훈]]과 [[정찬헌]]과 달리 바로 임의탈퇴를 시켜버리면서 차별이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다만 [[윤창호법]]이 만들어 질 정도로 사회의 음주운전에 대한 시선이 달라진 것을 감안해야 하는 점도 있거니와 바로 며칠 전 카지노 출입 및 원정도박 사건으로 구단 분위기가 최악에다 언론들이 매의 눈으로 LG 구단을 주시하고 있어 몇배로 더 조심해야 하는 상황에서 2차 캠프 탈락을 이유로 멋대로 행동하다 이 사단을 냈으니 결과적으로 아주 적절하지 못한 타이밍에 딱 걸린 것이 크다.] 이후 [[한국야구위원회|KBO]] 상벌위원회는 윤대영에게 50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300만원의 징계를 내렸다. 따라서 [[KBO 리그]] 복귀 시 해당 시즌의 50경기는 뛸 수 없게 되었다.[* 비슷한 예로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던 [[오승환]] 역시 [[2015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으로 인해 KBO로부터 국내로 복귀했을 때 해당 시즌의 50%를 출전할 수 없도록 한 징계를 받은 적이 있다. 이 때문에 2019년 8월 오승환이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음에도 2020년 5월 말까진 1군에 복귀할 수 없었다.] 당시 같은 팀 코치이자 삼촌 이종범의 얼굴에 먹칠을 한 건 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13 ||<|3> [[NC 다이노스|NC]] ||<-13><|3> 1군 기록 없음 || || 2014 || || 201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16 ||<|5> [[LG 트윈스|LG]] ||<-13><|2> [[경찰 야구단]] || || 2017 || || 2018 || 11 || 23 || .217 || 5 || 1 || 0 || 0 || 3 || 0 || 0 || 0 || .217 || .261 || || 2019 ||<-13> 임의탈퇴 || || 2020 ||<-13> 1군 기록 없음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21 ||<|3> [[NC 다이노스|NC]] || 51 || 74 || .297 || 22 || 0 || 0 || 5 || 10 || 10 || 0 || 3 || .321 || .500 || || 2022 || 35 || 67 || .209 || 14 || 1 || 0 || 1 || 5 || 5 || 1 || 2 || .232 || .269 || || 2023 || 82 || 218 || .252 || 55 || 12 || 1 || 5 || 27 || 17 || 1 || 13 || .291 || .385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179 || 382 || .251 || 96 || 14 || 1 || 11 || 45 || 32 || 2 || 18 || .282 || .385 || == 여담 == * 2019년 임의탈퇴 이후 자숙하는 사이 이름을 윤대영에서 윤형준으로 개명했다. * [[이종범]]이 윤형준의 외삼촌이며[* 어머니가 [[이종범]]의 큰누나이며, [[이정후]]의 고모다.] [[이정후]]의 고종사촌 형이다. 외삼촌이 [[KIA 타이거즈]]의 레전드였고 본인 역시 광주광역시 출신이지만 의외로 고등학교 때 좋아하던 팀은 [[LG 트윈스]]였다고 하며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016년|2016년 2차 드래프트]]를 통해 LG로 이적하였다. 이종범이 2018년 10월 24일에 LG 코치로 부임하면서 외삼촌과 한 팀이 되었으나, 음주운전으로 인해 임의탈퇴 처리되고 이종범은 사임 후 주니치로 연수를 가며 함께 뛰진 못했다. 이종범이 LG로 돌아온 2021 시즌에는 윤형준 본인이 트레이드를 통해 NC로 이적하면서 이 역시 불발되었다. * 덕아웃에서 동료들을 크게 격려하면서 분위기를 띄우는 모습이 자주 보이고 있어[[https://youtu.be/71bqZz1lXeg?t=332|#]] NC 팬들은 선수단 중간 나잇대로서 손위아래 선수들과 두루 친한 윤형준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 [[이상호(1989)|이상호]]와 트레이드가 성사되자 [[NC 다이노스 갤러리]]에서 윤[[김형준(1999)|텔미]]라는 별명을 얻었다. 혹은 음주운전 경력 때문에 '''술텔미'''라고 불리기도 한다. * 2021년을 앞두고 있었던 이상호와의 트레이드에서 원래는 7번을 다는 것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인이 7번이 안 어울린다고 해서 28번으로 달았다.[* 7번은 그 해 신인 유격수 김주원이 사용했으며, 사실 7번은 슬러거형 타자보다는 유격수들의 번호로 인식된다.] * 눈매가 진하고 예뻐서 2021년 후반기에는 '''[[마기꾼]]'''으로 불리고 있다. 하루는 중계 카메라가 선발투수 [[신민혁]]을 못 찾고 윤형준을 신민혁으로 착각하기도 했는데,[[https://gall.dcinside.com/ncdinos/5248954|#]] 마스크로 하관을 가리고 앞머리를 내리면 나이보다 굉장히 어려 보인다. * 팀 선배 [[김성욱]]의 진흥고 1년 후배이며, 동기로는 2017년에 데뷔한 [[박찬범]]이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윤형준/선수 경력, version=23)]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무등중학교 출신]][[분류:광주진흥고등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경찰 야구단/전역]][[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NC 다이노스/현역]][[분류:파평 윤씨]][[분류:개명한 인물]][[분류:이종범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