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및 직무대행)] ---- [include(틀: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금융감독원장)] ---- [include(틀:금융위원회 위원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3762 0%, #043762 20%, #043762 80%, #043762)" '''[[기획재정부|{{{#ffffff 대한민국 제2대 기획재정부장관}}}]][br]{{{#ffffff {{{+1 윤증현}}}[br]尹增鉉 | Yoon Jeung-hy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VDVRRB2U9_1.jpg|width=100%]]}}} || ||<|2> '''출생''' ||[[1946년]] [[9월 19일]] ([age(1946-09-19)]세)|| ||[[경상남도]] [[마산시]]|| || '''본관''' ||[[파평 윤씨]]|| ||<|4> '''재임기간''' ||제5대 [[금융위원회 위원장|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 ||[[2004년]] [[8월 4일]] ~ [[2007년]] [[8월 3일]] || ||제2대 [[기획재정부장관]][* [[국무총리]] 권한대행 수행 (2010년 8월 11일 ~ 2010년 9월 30일).]|| ||[[2009년]] [[2월 10일]] ~ [[2011년]] [[5월 31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이정혜 || || '''자녀''' ||외동딸 윤선주^^(1977년)^^ || || '''학력''' ||[[서울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br][[위스콘신 대학교]] {{{-2 (행정학 / 석사)}}} || || '''병역''' ||[[병역면제]] {{{-2 (진구성 탈구 좌슬 운동제한)}}}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약력''' ||제10회 행정고시 합격[br][[재무부]] 은행과장[br][[재무부]] 금융정책과장[br][[재무부]] 세제실 심의관[br][[재무부]] 증권국장[br][[재무부]] 금융국장[br][[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 총괄심의관[br][[재정경제원]] 세제실장 {{{-2 ([[문민정부]])}}}[br][[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장 {{{-2 (문민정부)}}}[br]국립세무대학 학장[br]아시아 개발 은행 이사[br][[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2 ([[참여정부]])}}}[br][[기획재정부장관]] {{{-2 ([[이명박 정부]])}}}[br][[국무총리]] 직무대행 {{{-2 (이명박 정부)}}}[br][[한나라당]] 당무위원[br]제20차 [[유럽부흥개발은행]] 연차총회 의장[br][[두산인프라코어]] 사외이사[br][[바른정당]] 당무위원[br]윤경제연구소 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경제관료]]이다. 현재의 기획재정부 체제에서 장관으로 842일(약 2년 3개월)을 재직하여 한때 최장수 기재부장관 기록을 유지했는데, 10년 후인 2021년 4월 1일 [[홍남기]]가 이를 경신했다. 1946년 [[미군정|미군정 조선]] [[경상남도]] 마산부[* 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17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과정,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공공정책 및 행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제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94년까지 재무부(현 [[기획재정부]])에서 근무하다가 1994년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재무부가 경제기획원과 통합되어 재정경제원이 출범하자 재정경제원에서 세제실장, 금융정책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김대중]] 정부 때는 [[국립세무대학]] 학장, [[아시아개발은행]] [[이사(직위)|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금융감독위원회(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9년 2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강만수]]의 뒤를 이어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그가 기재부장관에 임명된 시기는 리먼 사태로 인한 미국발 세계금융위기가 본격화되던 때였고, 재임 첫해에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다고 여겨질 정도로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2009년 0.3%로 플러스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이듬해에는 6% 이상으로 성장률을 반등시켰다. 덕분에 미국발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어려움을 조기에 벗어나는 데 공헌했다. 1990년대 말 IMF 외환위기 극복을 이끈 [[이헌재]] 전 부총리 등과 함께 대표적인 경제위기 소방수로 평가받고 있다. 2010년 8월 [[정운찬]] [[국무총리]]가 사임하자 후임 총리인 [[김황식(1948)|김황식]] 총리가 취임하는 같은 해 9월까지[* 도중에 [[김태호(1962)|김태호]] 경남도지사가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되었다가 여러 논란 끝 사퇴하면서 공백 기간이 길어졌다.] 약 2개월 동안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하였다. 공직을 떠난 이후로는 윤경제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딸 주택구입비 편법증여 논란 === [[2008년]] [[3월]], 윤증현 기재부장관 후보자의 딸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단독주택[* 서울의 대표적인 부촌이다.]을 다른 2명과 공동명의로 구입하는 과정에서 8000만원을 증여하고 세금을 내지 않은 사실이 [[2009년]] [[2월 5일]] 밝혀지면서 세금 탈루를 위한 편법 증여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윤 후보자 측은 이날 “윤 후보자 부인이 8000만원을 지인으로부터 빌려 딸에게 줬다”며 “이 과정에서 세금을 내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세무 전문가들은 윤 후보자의 부인 이모씨가 증여신고를 하지 않은 만큼 [[탈세]]를 한 것이라며 가산세를 포함해 약 700만원의 증여세를 물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0902052240465|#]] 다음날 인사청문회 과정에서도 이 논란에 대하여 [[민주당(2008년)|민주당]], [[자유선진당]] 등 야당의 질타가 이어지자 “부족한 것을 우리 집사람이 대처한 모양”이라며 “저는 사전에 몰랐고 만약에 이것을 수정해야 하면 수정신고를 하고 증여세를 내야 한다면 내겠다”고 사실상 문제를 시인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2/06/2009020600639.html|#]][[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337342.html|##]] 그런데 청문회 때 증여세를 납부하기로 하고도, 3개월 정도가 지난 2009년 5월 21일에도 증여세를 납부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또 한번 논란이 되자 "삼청동 집을 전세로 내놨으나 아직 나가지 않았다"며 "전세보증금이 들어오면 8000만원을 딸에게서 돌려받아 증여 관계를 해소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http://m.kmib.co.kr/view.asp?arcid=0921296154|#]] [[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마산합포구 출신 인물]][[분류:기획재정부장관]][[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금융감독원장]][[분류:파평 윤씨]][[분류:1946년 출생]][[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10회]][[분류:국무총리 서리·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