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배우, rd1=윤정훈(배우))] ||
'''윤정훈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7번}}}''' || || [[이창용(야구)|이창용]][br](2021) || {{{+1 →}}} || '''{{{#074ca1 윤정훈[br](2022~2023)}}}''' || {{{+1 →}}} ||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YJH.jpg|width=100%]]}}} || ||<-2> '''{{{+2 윤정훈}}}[br]Yoon Jung-Hoon''' || || '''출생''' ||[[2003년]] [[7월 6일]] ([age(2003-07-06)]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수진초 - [[대치중학교|대치중]] -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야구부|서울컨벤션고]][*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에서 전학.] || || '''신체''' ||182cm, 80kg || ||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2군 외야 자원이 부족해 외야수로도 출전하고 있다.]||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s-4.2|2022년 2차 10라운드]] (전체 93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2~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삼성 라이온즈]]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장충고에서 전학 후 팀의 주전 유격수를 맡았으나, 3학년 시즌을 앞두고 전학 온 권준혁[* [[권용관]]의 아들이다]과 주전 유격자리를 두고 경쟁을 펼쳐 결국 자리를 사수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프로에선 유격은 무리고 2루수에 적합하다는 평가. === [[삼성 라이온즈]] === 2022년에는 육성선수로 등록됐다. 2군에서 내야 백업을 맡아 56경기 10안타 7타점 17득점 3도루 타율 .116을 기록했다. 하위 라운더지만, 굉장히 열심히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타치바나 요시이에]] 코치도 2023 시즌을 앞두고 기대되는 선수 2명 중에 한 명으로 꼽았다.[* 다른 한 명은 [[오현석]]. 공교롭게도 둘다 2023 시즌 2군 타율이 겨우 2할대를 턱걸이했다.] 2023년에도 2군 백업으로 나왔다. 61경기 21안타 8타점 19득점 2도루 타율 .202로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인상적인 기록을 남기지는 못했는데, 그 대신 포수 제외한 나머지 수비 포지션를 최소 1경기씩 소화했다. 2023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퓨처스리그에서도 104타석 동안 장타는 2루타 2개와 3루타 1개, 총 3개에 불과할 정도로 처참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여담 == * '''역대급 재능들의 모임'''이라는 소리도 듣던 2016년도 대치중 신입생 기수 중 지명된 유이한 선수다. 다른 한 명은 [[한화 이글스]]의 지명을 받은 [[유민(야구선수)|유민]]. * 지명 전 마지막 경기를 마치고 부모님께 제대로 된 감사 인사를 올린 것이 부모님 SNS를 통해 소개되면서 훈훈함을 줬다. * 어렸을 때 LG 트윈스 팬이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3년 출생]][[분류:서울컨벤션고등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