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20%, #ffffff 80%, #ffffff)"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000 제7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br]{{{#000 {{{+1 윤일영}}}[br]尹一泳 | Yun Il-yo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일영 법조인.jpg|width=100%]]}}} || || '''호''' ||공우(公于) || || '''본관''' ||[[해남 윤씨]][*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29세 영(泳) 항렬. 2010년 3월 해남윤씨중앙종친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 ||<|2> '''출생''' ||[[1933년]] [[9월 1일]][* 해남윤씨대동보 권5 511쪽에는 5월 27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도림리[* [[https://m.cafe.daum.net/yunssi/9XNN/40?listURI=%2Fyunssi%2F9XNN|#]] [[독립유공자]] [[윤오례]]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2022년]] [[5월 15일]] (향년 88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2> '''재임기간''' ||제7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1984년]] [[7월 2일]] ~ [[1988년]] [[7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차남 윤태식[br]생질 [[고승덕]] || || '''학력'''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약력'''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br][[서울고등법원]] 지방판사[br]대법원 대법관[br]제7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br]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 생애 == 1933년 9월 1일,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도림리에서 아버지 윤국현(尹國鉉, 1906. 11. 7 ~ 1936. 2. 22)과 어머니 김운진(金雲眞, 1908. 12. 8 ~ 1998. 10. 1)[* 김기선(金基宣)의 딸이다.] 사이의 1남 1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광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1956년 2월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며 법조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군법무관]] 복무 등을 거쳐 1961년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가 되었다. [[박정희 정부]] 아래에서 [[서울지방법원]]이 서울민사지법과 서울형사지법으로 나눠진 뒤 1970년대 이 두 법원에서 차례로 부장판사를 지내며 사회적 이목을 끈 많은 판결을 남겼다. 민사지법 부장판사로 재직하던 1976년 초등학교에서 양호교사한테 콜레라 예방접종을 받고 숨진 당시 7살 초등학생의 부모가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접종 부작용’을 인정해 학교 측이 부모에게 280여만원을 배상토록 판결한 것은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논란이 끊이지 않는 요즘 상황에서 눈길이 간다. [[전두환 정부]]때 [[전두환]] 대통령에 의해 대법관에 올랐다. 당시만 해도 [[대법관]] 임기는 5년이었다. 1986년 [[대법원]]을 상대로 또 한 차례 대규모 물갈이 인사가 단행됐고 이때 본인은 재임명된 반면 [[김덕주]], [[이회창]] 대법관 등은 탈락했다. 대법관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선임자가 된 윤일영은 1986년 4월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겸하게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장으로서 책임지고 관리한 1987년 12월 대선은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 4명의 후보가 뜨거운 경합을 펼친 끝에 노태우의 후보 승리로 끝났다. 일각에서는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1971년 이후 16년 만에 부활한 [[13대 대선]]을 무난하게 관리했다는 평을 들었다. [[1987년]] [[12월 18일]], [[13대 대선]] 직후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자격으로 방송 카메라 앞에서 "[[1987년]] [[12월 16일]] 시행한 제 13대 대통령 선거에 있어서 유효투표 총수 22,603,411표 중 최다수인 8,282,738표를 얻은 [[민주정의당]] [[노태우]] 대통령 후보자가 대통령 선거법 126조 제 1항의 규정에 의하여 제 13대 대통령 당선인으로 결정되었음을 선포합니다."고 선포했다.[* [[https://news.imbc.com/replay/1987/nwdesk/article/1799651_29505.html|중앙선거관리위원회, 노태우 후보를 대통령 당선자로 확정 1987.12.18 mbc뉴스데스크]]] 이듬해인 1988년 4월 총선에서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세 야당 의석이 여당인 민정당보다 많아지는 [[여소야대]]가 되자 거대 야권의 [[사법개혁]] 요구에 떠밀려 [[노태우 정부]]는 대법원장 등 교체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5공 때 임명되었던 윤일영은 결국 1988년 7월 [[대법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장]]에서 물러났다. 이후 1990년대 초 신생 [[헌법재판소]] 운영 개선을 위한 자문위원을 맡은 것 외에는 공직과 거리를 두고 평범한 변호사로 활동했다. [[2022년]] [[5월 15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89세. == 여담 == * 차남 윤태식(尹泰植, 1965. 3. 22 ~ )[* [[법조인]] 중에 [[동명이인]]으로 한자이름까지 같은 윤태식(尹泰植, 1964. 3. 25 ~ )도 있다. 이 쪽은 제3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28기로 수료했으며, 현재는 [[법무법인]] 해법의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역시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24기로 수료한 [[법조인]]으로 현재 [[부산지방법원]] 부장판사로 활동하고 있다. * 누나 윤순엽(尹淳葉, 1931. 3. 16 ~ )은 [[제주 고씨]] 고익태(高翊台)와 결혼해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는데, 그 중 장남이 바로 [[고승덕]] 전 국회의원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법관]][[분류: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분류:강진군 출신 인물]][[분류:해남 윤씨]][[분류:1933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광주고등학교(광주)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