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윤은오)] [목차] == 개요 ==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윤은오]]의 뮤지컬 활동 내역을 모아 서술한 문서. == 역대 참여 작품 프로필 사진 == ||<-3> {{{#fff '''YOON EUNO - 역대 참여 작품 프로필 사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파일:이찬동 광화문연가 컨셉사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2|[[파일:이찬동 나빌레라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3|[[파일:이찬동 귀환.jpg|width=100%]]]]}}} || || '''[[광화문 연가(CJ E&M 뮤지컬)|{{{#fff 광화문 연가}}}]][br]{{{#fff {{{-1 - 젊은 명우 역}}}}}}''' || '''[[나빌레라(뮤지컬)|{{{#df4f7b 나빌레라}}}]][br]{{{#df4f7b {{{-1 - 이채록 역}}}}}}''' || '''[[귀환(뮤지컬)|{{{#fff 귀환}}}]][br]{{{#fff {{{-1 - 이해일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4|[[파일:윤은오 쓰릴미 2차.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5|[[파일:뮤지컬 미인 강호 윤은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6|[[파일:해시태그 윤은오.jpg|width=100%]]]]}}} || || '''[[쓰릴 미|{{{#b4985b 쓰릴 미}}}]][br]{{{#b4985b {{{-1 - 나(네이슨) 역}}}}}}''' || '''[[미인(뮤지컬)|{{{#ff5e00 미인}}}]][br]{{{#ff5e00 {{{-1 - 강호 역}}}}}}''' || '''[[해시태그(뮤지컬)|{{{#21F4D3 해시태그}}}]][br]{{{#21F4D3 {{{-1 - 승우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7|[[파일:스메르쟈코프 윤은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8|[[파일:빈센트 반 고흐 윤은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9|[[파일:괴테의 변론 윤은오.jpg|width=100%]]]]}}} || || '''[[스메르쟈코프|{{{#fff 스메르쟈코프}}}]][br]{{{#fff {{{-1 - 스메르쟈코프 역}}}}}}''' ||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FBC447 빈센트 반 고흐}}}]][br]{{{#FBC447 {{{-1 - 테오 반 고흐 역}}}}}}''' || '''[[괴테의 변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CBC8C6 괴테의 변론[br]-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br]{{{#CBC8C6 {{{-1 - 성직자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0|[[파일:더 와일드의 변론 윤은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1|[[파일:사랑의 불시착 구승준 윤은오.jpg|width=57%]]]]}}}{{{#!wiki style="margin: -5px -10px" [[#s-3.11|[[파일:사랑의 불시착 박광범 윤은오.jpg|width=57%]]]]}}}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1|[[파일:윤은오토비아스2.jpg|width=100%]]]]}}} || || '''[[더 와일드의 변론 -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E4D497 더 와일드의 변론[br]-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br]{{{#E4D497 {{{-1 - 변호사 역}}}}}}''' || '''[[사랑의 불시착(뮤지컬)|{{{#fff 사랑의 불시착}}}]][br]{{{#fff {{{-1 - 구승준 / 박광범 역}}}}}}''' || '''[[스위니 토드(뮤지컬)|{{{#ab0101 스위니 토드}}}]][br]{{{#ab0101 {{{-1 - 토비아스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1|[[파일:윤은오비스티이승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1|[[파일:윤은오양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s-3.11|[[파일:2023 윤은오 마리우스.jpg|width=100%]]]]}}} || || '''[[비스티|{{{#bb9450 비스티}}}]][br]{{{#bb9450 {{{-1 - 이승우 역}}}}}}''' || '''[[오즈(뮤지컬)|{{{#fff 오즈}}}]][br]{{{#fff {{{-1 - 양철 역}}}}}}''' || '''[[레 미제라블(뮤지컬)|{{{#fff 레 미제라블}}}]][br]{{{#fff {{{-1 - 마리우스 역}}}}}}''' || == 활동 내역 == || '''연도'''[* 공연 시작 연도를 기준으로 작성함.] || '''제목''' || '''배역''' || '''장소/기간'''[* 같은 공연이 전국 투어 등의 이유로 다른 지역에서 진행된 경우 접기 문법을 활용해 한꺼번에 기재함. 단, 이 목록에는 해당 배우가 해당 지역 공연에 출연했을 시에만 기재한다.] || '''비고''' || ||<|2> '''2018''' ||<|2> [[광화문 연가(CJ E&M 뮤지컬)|광화문 연가]] ||<|2> 젊은 명우 || [[대성 디큐브아트센터]][br](18.11.02 ~ 19.01.20) ||<|2> '''뮤지컬 데뷔'''[br]/ '''첫 주연''' || || {{{#!folding [ 지방 공연 내역 ] || 대구 - [[계명아트센터]][br](19.01.25 ~ 19.01.27) || || 전주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br](19.02.08 ~ 19.02.10) || || 부산 - 부산시민회관 대극장[br](19.02.15 ~ 19.02.17) || || 포항 -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br](19.03.02 ~ 19.03.03) || || 대전 - [[예술의전당(동음이의어)#s-5|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br](19.03.08 ~ 19.03.10) || || 이천 - 이천아트홀 대공연장[br](19.03.22 ~ 19.03.23) ||}}} || || '''2019''' || [[나빌레라(뮤지컬)|나빌레라]] || 이채록 || [[예술의 전당#s-5.1.2.2|예술의 전당 CJ 토월극장]][br](19.05.01 ~ 19.05.12) || - || || '''2020''' || [[귀환(뮤지컬)|귀환]] || 이해일 || [[올림픽공원(서울)#s-3.7|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br](20.09.24 ~ 20.09.26) || 온라인[* 코로나 사태로 인해 공연이 계속 미뤄지다 약 2개월 뒤 온라인 생중계로 공연이 진행되었다.] || ||<|2> '''2021''' || [[쓰릴 미]] || 나(네이슨) || [[충무아트센터#s-2.2|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br](21.07.20 ~ 21.10.03) || - || || [[미인(뮤지컬)|미인]] || 강호 || [[예스24 스테이지]] 1관[br](21.09.15 ~ 21.12.05) || - || ||<|8> '''2022''' ||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 || 승우 || 아트원씨어터 2관[br](22.02.08 ~ 22.02.20) || - || || [[스메르쟈코프]] || 스메르쟈코프 || 대학로 자유극장[br](22.02.27 ~ 22.05.29) || - || ||<|2>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빈센트 반 고흐]] ||<|2> 테오 반 고흐 || [[충무아트센터#s-2.2|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br](22.03.27 ~ 22.06.26) ||<|2> 1인 다역[* 테오 반 고흐 역 이외에도 아버지, 안톤, 고갱 역까지 1인 다역을 소화했다.] || || {{{#!folding [ 지방 공연 내역 ] || 부산 - 부산문화회관 중극장[br](22.07.08 ~ 22.07.09) || || 안동 -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웅부홀[br](22.07.15 ~ 22.07.16) ||}}} || || [[괴테의 변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괴테의 변론[br]-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변호사 ||<|2> [[예스24 스테이지]][br](22.06.25 ~ 22.08.14) ||<|2> [* 같은 제작사에서 같은 기간 동안 같은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두 극에 모두 캐스팅되었다. '''최초의 옴니버스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 [[더 와일드의 변론 -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더 와일드의 변론[br]- 거짓의 쇠락,[br]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 성직자 || || [[사랑의 불시착(뮤지컬)|사랑의 불시착]] || [[구승준]] {{{-3 (커버)}}}[br]/ [[박광범(사랑의 불시착)|박광범]] || [[COEX|코엑스]] 아티움[br](22.09.16 ~ 22.11.13) || - || || [[스위니 토드(뮤지컬)|스위니 토드]] || 토비아스 || [[샤롯데씨어터]][br](22.12.01 ~ 23.03.05) || - || ||<|4> '''2023''' || [[비스티]] || 이승우 || [[링크아트센터]] 페이코홀[br](23.05.16 ~ 23.08.13) || - || || [[오즈(뮤지컬)|오즈]] || 양철 || TOM 2관[br](23.07.11 ~ 23.09.17) || - || ||<|2>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2> [[마리우스 퐁메르시|마리우스]] ||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br](23.11.30 ~ 24.03.10) ||<|2> - || || {{{#!folding [ 지방 공연 내역 ] || 부산 - [[드림씨어터]][br](23.10.15 ~ 23.11.19) || || 대구 - [[계명아트센터]][br](24.03.21 ~ 24.04.07) ||}}} || === [[광화문 연가(CJ E&M 뮤지컬)|광화문 연가]] === [[파일:이찬동 광화문연가 고화질 포스터.jpg|width=400]][[파일:이찬동 광화문연가 컨셉사진.jpg|width=385]] 2018년 1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광화문 연가(CJ E&M 뮤지컬)|광화문 연가]] 재연에서 '젊은 명우' 역을 맡았다. 첫 뮤지컬 도전인데도 불구하고 '''대극장 주연'''에 캐스팅되었고, 심지어 '''전석 매진'''에 성공하며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명우'라는 배역이 순수하고 맑은 캐릭터라 평소의 본인의 성격과도 잘 들어맞아 표현하기 편했다고 하며, 실제로도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며 '''인간 명우'''라는 수식어도 얻었을 만큼 많은 호평을 받았다. [[https://youtu.be/oKV7LQxCPnM?t=40|나는 겁쟁이야아 널 지켜주지 못해써]] 본 뮤지컬이 시작되기 전 [[열린음악회]]에 '광화문 연가'의 다른 배우들과 함께 출연해 무대를 꾸몄다. [[https://tv.naver.com/v/4322854|붉은 노을]] [youtube(UgEoDxfK4JU)] [youtube(r3de_Mp1IyI)] 본인은 오디션을 그렇게 잘봤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으나 함께 출연했던 배우들 사이에서는 오디션을 제일 잘 봤다는 소문이 있다고 한다. [[https://youtu.be/_oeyfAGhCYU?t=85|#]] [youtube(88iYw2te2gE)] 해당 공연을 통해 연기 경험 뿐만 아니라 [[김호영]], [[이석훈]], [[안재욱]], [[강필석]], [[정욱진]], [[이봄소리]], [[장은아]], [[나하나]], [[정연(배우)|정연]] 등 많은 뮤지컬 배우들과도 친분을 쌓았다. 이후에도 자주 서로의 공연을 보러다니며 친분을 이어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인맥|인맥]] 문단 참고. 여담으로 2021년 진행되는 광화문 연가 삼연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뮤지컬 홍보 포스터의 '''메인''' 이미지를 장식하게 되었다. === [[나빌레라(뮤지컬)|나빌레라]] === [[파일:이찬동 나빌레라 포스터.jpg|width=500]] 2019년, 웹툰 [[나빌레라]]를 기반으로 한 뮤지컬 '[[나빌레라(뮤지컬)|나빌레라]]'의 '''초연'''에서 '이채록' 역을 맡았다. 은오가 맡은 배역 '이채록'은 스스로에 대한 확신도 없고 아버지의 인정도 못 받는, 그저 하루하루를 버티는 청춘이지만 생의 끝에서 발레를 선택한 할아버지 '덕출'을 만나 다시 한 번 도약할 준비를 하는 캐릭터다. 지난번에 맡았던 순수한 캐릭터 '명우'와는 대비되는 성격임에도 찰떡같이 소화해내며 역시나 호평을 받았다. [[파일:이찬동 나빌레라 발레.jpg|width=500]] [[VROMANCE|보컬그룹]]으로 활동하며 몸을 쓸 일이 딱히 없었는데 무려 '''발레리노'''로 캐스팅되며 뻣뻣한 몸을 유연하게 만드는 데 꽤나 고생했다고 한다. 다만 원래부터 몸이 좋고 탄탄했어서 그런지 무대에서 발레 동작들을 꽤나 잘 소화하며 배역과는 잘 어울린다는 평이 많았다. [youtube(gYX0W6yb0hk)] '덕출' 역의 배우 최정수[* 최정수와는 페어 포스터도 함께 촬영했다.], [[진선규]] 등과도 좋은 호흡을 보여주며[* [[https://www.instagram.com/p/BxT375bFhpa|#]]] 두 번째 뮤지컬 공연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 [[귀환(뮤지컬)|귀환]] === [[파일:이찬동 귀환.jpg|width=500]] 군대 입대 중인 2020년, 육군 창작 뮤지컬 '[[귀환(뮤지컬)|귀환]]'에서 '이해일' 역을 맡아 열연했다. [[https://www.themusical.co.kr/Musical/Detail?num=2967|#]] [[파일:이찬동 이해일 연기.jpg|width=500]] 데뷔 초에는 일반적인 군인의 이미지와는 먼 순둥하고 귀여운 이미지였다면 입대 후 몸을 키우며 더욱 남자다운 모습으로 연기했다. '귀환'이라는 작품은 육군 창작 뮤지컬로서 군에 복무 중인 아이돌들이 그 배역을 맡는 경우가 많은데, 찬동은 여타 아이돌들과도 꿇리지 않는, 오히려 더욱 돋보이는 비주얼을 자랑하며 '''인간 이해일'''이라는 별명까지 얻었을 정도로 해당 역을 완벽하게 소화해냈다. 뮤지컬 자체의 규모가 매우 커서 워낙 많은 인원이 참여함에 따라 많은 배우 및 아이돌들과도 친해졌다. 대표적으로 [[윤지성]][* [[https://twitter.com/910308___|#]]] 등. === [[쓰릴 미]] === [[파일:윤은오 쓰릴미.jpg|width=400]][[파일:윤은오 쓰릴미 2차.jpg|width=400]] 2021년 뮤지컬 '[[쓰릴 미]]' [[쓰릴 미#s-6.11.2|2차 공연]]에서 '나(네이슨)' 역을 맡았다. [[http://m.playdb.co.kr/MobileMagazine/ListicleDetail?magazineno=5848&subcategory=067007|#]] 군 전역 후에 참여하는 첫 작품. 피아노 1대와 단 두 명의 배우만으로 이뤄지는 작품의 특성상 배우의 연기력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본인에게도 좋은 경험이 될 듯 하다. [youtube(zAG50Jj4LOc)] 해당 작품에 함께 출연하는 배우 [[이석준(1999)|이석준]]과 함께 진행한 인터뷰. 참고로 이석준은 윤은오와 메인 페어를 이루고 있다. [[파일:윤은오 쓰릴미 프로필 촬영 현장.jpg|width=500]] [youtube(9_hoH10vZ8M)] 프로필 촬영 현장 스케치 영상. 마찬가지로 메인 페어인 이석준과 함께 진행했다. [youtube(WiWhDoiUVTk)] 상대역 배우 [[김이담]]과 함께 진행한 쓰릴 미 TV 3탄. 영상 시작부터 끝까지 투닥거리는 둘의 케미를 볼 수 있다. 10월 2일[* 공연 기간은 10월 3일까지지만 3일에는 스케줄이 없어 윤은오의 마지막 출연 날짜는 2일이다.] 메인 페어인 이석준과 함께 마지막 공연을 진행했다. 쓰릴 미 공연을 하며 쌓아온 자신만의 '나(네이슨)' 노선인 '[[가스라이팅]] 네이슨'과 함께 메인 페어인 이석준과의 합 또한 완벽하게 보여주며, '''지금까지의 공연 중 가장 완벽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https://gall.dcinside.com/theaterM/3150969|#]] 쓰릴 미를 통해 연기 능력을 키우면서도 상대 역인 [[이석준(1999)|이석준]], [[김이담]], 윤승우 등 여러 배우들과 합을 맞추며 친분을 쌓은, 좋은 경험이 되었다. 실제로 마지막 공연이 끝난 뒤 진행된 무대 인사에서 밝히길, 2021년 서른이 되면서 걱정이 되게 많았는데[* 20대 때 이룬 것도 없는 것 같고 앞으로 기회가 올까에 대해서도 걱정이 많았다고 한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전역 후 뮤지컬 오디션도 대부분 취소되어 한동안 일이 없었고, 거기에 더해 안타깝게도 먼저 연락해오는 관계자들도 없어 더욱 힘들었다고.] 우연히 '쓰릴 미'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한다. 처음 도전하는 2인극이고 주변에서도 득이 될 수 있지만 실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를 해 걱정이 많았는데, 결론적으로는 '''전혀 실이 되지 않았던 공연인 것 같다'''고 말했다. 초반에는 관객 수에 비해 박수소리가 적게 들려 박수 자체도 너무 무섭게 느껴졌으나, 더욱 열심히 임하고 노력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최선을 다한 결과 공연이 계속될수록 '''관객 수보다도 더 큰 박수소리를 듣고''' 앞으로도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H4MTH3/status/1444282423957606411?s=20|#]] === [[미인(뮤지컬)|미인]] === [[파일:뮤지컬 미인 강호 윤은오.jpg|width=500]] 2021년 뮤지컬 '[[미인(뮤지컬)|미인]]'에서 주인공인 '강호' 역을 맡았다. 뮤지컬 데뷔작이었던 '[[광화문 연가(CJ E&M 뮤지컬)#s-6.2|광화문 연가]]'에 이어 2번째로 참여하는 주크박스 뮤지컬. 가수 출신으로서 노래에 강점을 지닌만큼, 조금 더 자유롭고 편한 기분이 든다고 한다.[* 음악 감독 또한 은오에게 뮤지컬 발성이 아닌 원래 노래하던 방식으로 불러야 더 잘 어울릴 것이라고, 편안한 마음으로 하라고 했다고 한다. [[https://nc.asiae.co.kr/view.htm?sec=0300&idxno=2021101116233625968|#]]] 윤은오가 연기하는 강호는 가수의 꿈을 지닌 해맑은 성격의 인물이자, 아픔을 마주하고 성장해나가는 인물이다. 초반부에는 철없는 '형 바라기'인 모습이다가,[* 은오가 생각하기에 본인 자체가 밝은 성격이 아니라서, 강호의 어리고 밝은 모습을 연기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한다.] 시대적이고 개인적인 여러 상황을 마주하며 점차 단단해지고 강인해지는 등 여러 모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는 인물. 함께 참여하는 배우들 중 뮤지컬 배우 중에서도 춤을 잘 추는 것으로 유명한 [[박영수]]와 [[최민우]], 몸을 못 쓰는 것으로 유명한(...) [[조성윤]]과 [[현석준]]이 있어 나머지 1명인 은오가 어느 정도 춤을 출지에 대해 연뮤덕들 사이에서 관심이 많았는데, 8월 16일 진행된 온라인 쇼케이스 중 첫 곡인 '미인'에서 적당한(?) 실력을 보여주며 '''뜻밖의 그라데이션 댄스 실력'''을 완성하게 되었다. 실제 공연을 하면서 점점 늘어나는 댄스 실력을 보여주는 중. [youtube(qW7gDbVDHAM)] 온라인 쇼케이스에서 단독으로 선보인 넘버 '빗속의 여인'. [[파일:미인 윤은오 첫공.jpg|width=500]] ===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 === [[파일:해시태그 윤은오.jpg|width=500]] 2022년 2월 8일부터 동월 20일까지 아트원씨어터 2관에서 진행되는 뮤지컬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에서 '승우' 역을 맡았다. [[쓰릴 미]]에서 상대 역으로 호흡을 맞췄던 [[윤승우]]와는 '''같은극 다른캐'''로[* 윤은오가 윤승우와 함께 하는 뮤지컬에서 승우 역을 맡았다. 그니까 승우 역의 배우가 승우가 아닌(?) 상황이 된 것.], [[미인(뮤지컬)|미인]]에서 형동생 사이였던 [[조현우(배우)|조현우]]와는 아예 더블로 캐스팅되며 뜻밖의 케미를 보여줄 예정. === [[스메르쟈코프]] === [[파일:스메르쟈코프 윤은오.jpg|width=500]] 2022년 2월 27일부터 5월 29일까지 뮤지컬 '[[스메르쟈코프]]'에서 '스메르쟈코프' 역을 맡았다. ===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빈센트 반 고흐]] === [[파일:빈센트 반 고흐 윤은오.jpg|width=500]] 2022년 3월 27일부터 6월 26일까지 뮤지컬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빈센트 반 고흐]]에서 '테오 반 고흐' 역을 맡았다. [[쓰릴 미]],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에 이어 [[윤승우]]와 세 번째 같은 극을 하게 되었으며, 처음으로 같은 캐릭터를 연기하게 되었다. --윤윤케미는 볼 수 없게 되었다-- 해당 뮤지컬의 역사에 따라 표면 상으로는 테오 역을 맡았지만, 그 외에도 아버지, 안톤, 고갱까지 1인 4역을 소화했다. 테오를 과거 시점의 테오와 나중 시점의 테오 두 인물로 나눈다면 1인 5역. === [[괴테의 변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br] & [[더 와일드의 변론 -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 [[파일:괴테의 변론 윤은오.jpg|width=400]][[파일:더 와일드의 변론 윤은오.jpg|width=400]] 2022년 6월 25일부터 8월 14일까지 뮤지컬 '[[괴테의 변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변호사' 역을, '[[더 와일드의 변론 -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에서 '성직자' 역을 맡게 되었다. 두 작품은 [[HJ컬쳐|동일한 제작사]]가 같은 기간 동안 [[예스24 스테이지|같은 공연장]]에서 진행하는 두 극으로, 제작사 최초의 [[옴니버스]]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윤은오는 '''이 두 극 모두에 동시에 캐스팅'''되었다.[* 윤은오를 포함한 네 명의 캐스트 모두 동일하게 두 극 모두에 캐스팅되었다.] 바로 직전의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빈센트 반 고흐]]에 이어 이번 작품 두 개까지 연달아 세 개의 [[HJ컬쳐]] 제작사의 작품에 캐스팅되며 '''새로운 무나네[* HJ컬쳐의 별명. 컬쳐 > 문화네 > 무나네.] 공무원'''으로 떠오르는 중이다. === [[사랑의 불시착(뮤지컬)|사랑의 불시착]] === [[파일:사랑의 불시착 구승준 윤은오.jpg|width=400]][[파일:사랑의 불시착 박광범 윤은오.jpg|width=400]] 2022년 9월 16일부터 11월 13일까지 뮤지컬 '[[사랑의 불시착(뮤지컬)|사랑의 불시착]]'에서 '[[구승준]]'역의 커버와 '[[박광범(사랑의 불시착)|박광범]]' 역을 맡아 공연 중이다. [[COEX|코엑스]] 아티움에서 진행되는 해당 공연에 참여함에 따라 데뷔작이었던 '[[광화문 연가(CJ E&M 뮤지컬)|광화문 연가]]' 이후로 매우 오랜만에 대극장 뮤지컬에 참여하게 되었다. 캐슷 발표 때부터 잘 어울린다는 반응이 많았던 박광범 역은 물론, 구승준 역 또한 커버임에도 불구하고 실수 없이 잘 소화해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혀 다른 내용의 두 대본을 모두 외우는 것이 쉽지 않았을 텐데도 실수하지 않는 모습에 호평이 많다. [[글림|같은 소속사]]의 [[김려원]], [[김이후]], [[조현우(배우)|조현우]]가 함께 출연하고, [[광화문 연가(뮤지컬)|은오의 뮤지컬 데뷔작]]에서 함께 호흡을 맞추며 친분이 있는 [[나하나]]까지 출연하며 많은 케미를 보여주게 되었다. === [[스위니 토드(뮤지컬)|스위니 토드]] === [[파일:윤은오토비아스.jpg|width=400]][[파일:윤은오토비아스2.jpg|width=400]]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3월 5일까지 뮤지컬 '[[스위니 토드(뮤지컬)|스위니 토드]]'에서 '토비아스' 역을 맡아 공연했다. 지난 사랑의 불시착에 이어서 바로 대극장 뮤지컬로 참여하게 되었다. --댕로로 돌아와--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에서의 [[류인아]], [[사랑의 불시착(뮤지컬)|사랑의 불시착]]에서의 [[이규형]] 등 이전 작품에서 함께 호흡을 맞췄던 배우가 많이 출연한다. === [[비스티]] === [[파일:윤은오비스티이승우.jpg|width=400]][[파일:비스티2023선수소개(2).jpg|width=400]] 2023년 5월 16일부터[* 스위니토드가 끝난 뒤 약 2개월 반 정도의 공백기를 가졌다.] 2023년 8월 13일까지 뮤지컬 '[[비스티]]'에서 '이승우' 역을 맡아 공연 중이다.[* 필모그래피에서 해시태그에 이어 두 번째로 '승우' 역을 소화하게 되었다. --이제 으노승우가 둘--] 한동안 대극장 뮤지컬에서만 보이다가 오랜만에 댕로로 돌아왔다. === [[오즈(뮤지컬)|오즈]] === [[파일:윤은오양철.jpg|width=500]] 2023년 7월 11일부터 9월 17일까지 뮤지컬 '[[오즈(뮤지컬)|오즈]]'에서 AI '양철' 역을 맡아 공연 중이다. [[글림|같은 소속사]]의 [[강찬]], [[홍성원(배우)|홍성원]] 배우와 함께 출연 중이다. ===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 [[파일:2023 윤은오 마리우스.jpg|width=500]] 2023년 11월 30일부터 2024년 3월 10일까지[* 지방 공연을 포함하면 부산에서 2023년 10월 15일부터 동년 11월 19일까지 진행되는 것이 먼저다.] 8년 만에 돌아온 대극장 뮤지컬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에서 '[[마리우스 퐁메르시|마리우스]]' 역을 맡아 공연할 예정이다. '[[사랑의 불시착(뮤지컬)|사랑의 불시착]]'에서의 [[민우혁]], '[[스위니 토드(뮤지컬)|스위니 토드]]'에서의 [[린아]], '[[광화문 연가(CJ ENM 뮤지컬)|광화문 연가]]'에서의 [[육현욱]], 그리고 이미 두 개의 작품[*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와 '[[스위니 토드(뮤지컬)|스위니 토드]]']에서 호흡을 맞춘 적이 있는 [[류인아]]까지 기존에 호흡을 맞췄던 배우들이 다수 함께 출연한다. 또한 비스티와 오즈 이후로 다시금 대극장 뮤지컬을 하게 되었다. == 여담 ==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맡았던 배역들의 '''성씨가 모두 [[이(성씨)|'이']]씨'''라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광화문 연가에서의 배역 명도 공식적으로는 '젊은 명우'지만 실제 극중 이름은 '[[https://youtu.be/oKV7LQxCPnM?t=66|'''이'''명우]]'다.][* 2021년부터 맡은 배역은 '네이슨'과 '(최)강호' 등이라 해당 공식이 깨지게 되었다.] 심지어 '''은오의 본명도 '이'씨'''다. * 2022년에는 해시태그를 시작으로 스메르쟈코프, 빈센트 반 고흐, 괴테의 변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더 와일드의 변론 -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사랑의 불시착, 그리고 스위니 토드까지 '''1년 안에 무려 7개의 극을 소화'''하는 활발한 활동을 했다. * 2023년 뮤지컬 [[비스티]]에서 이승우 역을 맡으며 [[해시태그(뮤지컬)|해시태그]] 이후로 다시 한 번 승우 역을 맡았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쓰릴 미 역대 배우)] [include(틀:빈센트 반 고흐(뮤지컬) 역대 배우)] [include(틀:비스티(뮤지컬) 역대 배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윤은오, version=369)] [[분류:윤은오]][[분류:한국 남배우/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