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외교부장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외교부장관|{{{#fff 대한민국 제32대 외교통상부장관}}}]][br]{{{#fff {{{+1 윤영관}}}[br]尹永寬 | Yoon Young-gwa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영관.jpg|width=100%]]}}} || ||<|2> '''출생''' ||[[1951년]] [[1월 12일]] ([age(1951-01-12)]세)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지당리[* 남원 윤씨 집성촌이다.][[https://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46180&sc_section_code=S1N8|#]] || || '''본관''' ||[[윤(성씨)|남원 윤씨]] || ||<|2> '''재임기간''' ||제32대 외교통상부장관 || ||[[2003년]] [[2월 27일]] ~ [[2004년]] [[1월 15일]] || || '''현직'''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김희성 || || '''자녀''' ||슬하 1녀 || || '''형제자매''' ||동생 [[윤영찬]] || || '''학력''' ||[[전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2 (외교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외교학 / 석사)}}}[br][[존스 홉킨스 대학교|존스 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2 (국제정치학 / 박사)}}} || || '''경력''' ||[[해군사관학교]] [[교수사관]][br][[캘리포니아 대학교/데이비스 캠퍼스|UC Davis]] 정치학과 조교수[br][[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br]미국 우드로 윌슨 센터 객원연구원[br]국무총리 자문기구 정책평가위원[br]사단법인 미래전략연구원 원장[br]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통일안보분과 간사위원[br]제30대 [[외교부장관|외교통상부장관]][br][[국비유학]] 5기(1981년)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전 외교통상부장관. == 생애 == 1951년 전라북도 전주시 출신. [[전주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해군사관학교]] [[교수사관]]으로 군복무를 마쳤다. 1981년 [[국비유학]] 5기로 선발되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폴 H. 니츠 고등국제학대학(SAIS)에서 "해외 투자를 통해 들여다본 강대국 흥망성쇠의 정치·경제 메커니즘"이라는 논문으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 제30대 외교부장관 === [[1990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2003년]] [[참여정부]]의 첫 [[외교부장관|외교통상부장관]]으로 임명되었다. 학자 출신 외교통상부장관으로서, 윤 장관은 취임사에서 탈냉전사고, 다변화 외교, 그리고 외교 경쟁력 배양 등 목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https://www.mofa.go.kr/www/brd/m_4075/view.do?seq=289277&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취임사]]. 그러나 외교통상부 장관 임명 1년여 만에 경질되었다.[[http://news.joins.com/article/284195|#]] 경질의 직접적인 사안은 [[이라크 파병]]과 [[주한미군]] 감축에 대한 자주파와 동맹파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주한미군 감축 및 전시작전권 환수에 대한 뚜렷한 성과가 없고, 미국이 이라크 추가파병을 요청하는 가운데 청와대와 외교통상부 내 자주파-동맹파 갈등이 심해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외교통상부 북미3과장 [[조현동]]이 사석에서 "영어도 못하고 미국도 안 가본 사람들이 어떻게 대미외교를 하느냐" 라는 발언을 하며 [[노무현]] 대통령과 [[이종석(정치인)|이종석]] NSC 사무처장을 노골적으로 비판하였고 이러한 사실이 당시 외교통상부 북미3과 서기관[[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30/2018043000151.html|김도현]][* 후일 문재인 정부에서 주베트남 대사로 임명된다.]의 투서에 의해서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272802.html|알려졌다]]. 이러한 사실이 밝혀지자 청와대에서는 윤영관 장관과 [[위성락]] 북미국장도 전격 경질시켰다. 이후 서울대학교로 돌아와 강의를 계속하다가, [[2015년]] 2학기를 마지막으로 정년퇴임하였다[* 실제로는 2017년 2학기 국제정치학개론 수업이 그의 마지막 강의이다.][[http://hankookilbo.com/v/eeb8bd8ae20945e797e9e7c7c6ddb46c|#]] 국제정치학개론과 주전공분야인 국제정치경제론을 강의하였는데 엄청난 과제량과 수업난이도로 유명했다고 한다. 현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명예교수, 한반도평화연구원 이사를 맡고 있다. 2023년 3월 [[HD현대]] 산하에 있는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아산정책연구원]]의 이사장에 임명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53476?sid=100|#]] == 여담 == 친동생이 [[문재인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 국민소통수석비서관 및 [[제21대 국회의원]]인 [[윤영찬]]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참여정부의 국무위원)] [[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1951년 출생]][[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남원 윤씨]][[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존스 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국비유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외교부 장관]][[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