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영그룹 회장)] ---- ||<#AB2457> {{{#ffffff '''윤세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SBS 임원)] ---- [include(틀:한국농구연맹/역대 총재)] ---- }}} || ---- ||<-2> '''{{{#ffffff 태영그룹 총수[br]태영그룹 창업회장[br]{{{+1 윤세영}}}[br]尹世榮 | Yoon Se-yo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세영회장.jpg|width=100%]]}}}||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출생}}}''' ||[[1933년]] [[5월 22일]] ([age(1933-05-22)]세) ||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오지리[br](現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오지리) || || '''{{{#ffffff 본관}}}''' ||[[해평 윤씨]] || ||<|2> {{{#ffffff '''재임기간'''}}} ||초대 [[SBS|[[파일:SBS 로고(1991-1994).svg|width=30]]]] '''대표이사 사장''' || ||[[1990년]] [[11월 14일]] ~ [[1994년]] [[3월 8일]] || || '''{{{#ffffff 학력}}}''' ||[[서울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행정학 / 학사)}}} || || '''{{{#ffffff 부모}}}''' ||아버지 윤현구 어머니 임복희 || || '''{{{#ffffff 형제자매}}}''' ||2남 2녀 중 차남 || || '''{{{#ffffff 배우자}}}''' ||변금옥[* 치과의사.] || || '''{{{#ffffff 자녀}}}''' ||장녀 윤수연[br]장남 [[윤석민(기업인)|윤석민]][br]차녀 윤재연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태영그룹]] 창업주이다. 본관은 [[해평 윤씨]].[* 24세손 'O영(榮)' 항렬로 [[윤치호]]의 증손자 뻘, [[윤보선]]의 손자 뻘, [[윤인구]]의 아들 뻘이다. 또한 동요 작곡가 [[윤극영]]과 해풍부원군 윤택영과 같은 항렬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순정효황후]]의 삼촌 뻘(...)이 된다.] == 생애 ==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현 [[동송읍]]) 오지리에서 아버지 윤현구와 어머니 임복희 사이의 2남 2녀 중 차남이자 막내로 태어났다. [[8.15 광복]] 후 [[삼팔선]]이 그어지고 38선 이북이 [[북한]] 치하에 들어가자 [[월남]]하여 [[포천시|포천군]]을 거쳐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서울)|명륜동]]에 터를 잡았다.[* 이후 철원군 동송면 오지리는 6.25 전쟁 이후 수복하여 현재는 대한민국의 영토이다.] [[6.25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었으나 학업에 매진해 [[서울고등학교]]를 거쳐 1956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에 입학했다. 같은 시기에 대학을 다닌 이들이 [[최동규(1936)|최동규]], [[정해창]], [[이수성(정치인)|이수성]]이다. 1961년 대학을 졸업하고 [[민주공화당]] [[이동녕(1905)|이동녕]]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의 보좌관으로 일하다가, 이동녕이 경영하던 봉명그룹에서 근무했다. 1971년 [[동부건설]]의 전신인 미륭건설으로 옮겨 [[상무이사]]를 지내다가, 1973년에 퇴사하고 [[태영건설]]을 창업했다. 이후 각종 관급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따내면서 회사를 키웠다. 1990년 [[민영방송]]사인 [[SBS]]를 창립하고 초대 사장에 취임하였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후배로서 당시 공보처(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었던 [[최병렬]]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10100329204001&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1-01&officeId=00032&pageNo=4&printNo=13879&publishType=00020|도움이 컸다는 평가가 있다]]. 게다가 [[최병렬]]의 아들인 [[최희준(기자)|최희준]]은 [[SBS]]에 기자로 입사한 바 있다. 2015년 초 SBS 보도본부장 이상 보도국 보직자 전원을 소집한 오찬자리에서 '박근혜 정권을 비판하지 말라', '대통령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박근혜 정부를 좀 도와줘야 한다'는 내용의 자체 보도지침을 내렸다가, 2017년 SBS 노조에 의해 폭로되면서[* 아무리 본인이 민영방송사의 주인이라고 해도 절대 해서는 안될 행동이다. 특히 SBS는 국가와 국민의 중요 재산인 주파수를 활용하는 [[지상파 방송]]사이므로 그 중요성이 공영방송 KBS, MBC보다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2017년 9월 11일 아들 [[윤석민(기업인)|윤석민]] 부회장과 함께 [[SBS]] 회장 직을 사임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3093960|#]] 2019년 3월 25일 아들인 윤석민 부회장에게 태영그룹 회장직을 물려주고 명예회장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그런데 아들에게 회장직을 승계한지 얼마 되지 않아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SBS 미디어홀딩스와 모기업인 TY 홀딩스 합병을 통해 지배 체제 강화를 추진하는 등의 문제로 다시금 비판을 받고 있다. 2023년 12월 TY홀딩스 대표이사에 선임되어 5년만에 경영에 복귀했다. [[https://naver.me/FRcXjp2p|#]] == 여담 == * 상당한 [[골프]] 마니아라고 한다. 젊은 시절부터 골프에 심취했고, 1991년에 [[SBS|자신이 만든 지상파 TV 방송국]]이 탄생하자 방송 편성 책임자들에게 골프 관련 TV 프로그램의 정규 편성을 제안했을 정도. 결국 1992년에 국내 지상파 방송 사상 최초의 골프 전문 정규 프로그램인 '금요 골프'가 탄생했다. 또 남녀 골프 최강전 대회를 직접 만들었는데, 1996년 대회 우승자가 무려 [[박세리]]였다. 2000년대 들어서는 대한골프협회 회장을 지냈다. [[춘천문화방송]]을 거쳐 [[SBS]]에 입사한 [[배기완]] 아나운서는 골프광 오너가 있는 방송사에 입사한 영향으로, [[SBS]]의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12&aid=0002729055|골프 중계에 꽤 투입됐다.]][* 실제로 [[배기완]]이 [[SBS]]로 이직했을 때 면접관 중 한 명이 윤세영 회장이었다. 그리고 [[SBS]]와 [[SBS Golf]]가 중계하는 골프 경기 캐스터는 대부분 [[배기완]]이 맡았다. [[배기완]]이 2019년에 정년퇴임한 후 이 몫은 [[최기환]] 아나운서에게 돌아갔으나, 최기환은 불과 2년 만에 프리를 선언했다.] * 아호가 서암(瑞岩)인데, 이 호를 딴 장학재단인 [[https://foundation.sbs.co.kr/seoam.cmd?act=index|서암 윤세영 재단]]을 설립했고, [[서울대학교/대학원/법학전문대학원|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도 그의 기부로 도서관 건물을 증축하면서 '서암법학관'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 서울고등학교 7회 졸업생이다. 2006년 개교 60돌을 맞은 모교에 5억원을 발전기금으로 기탁했다. 그는 1998년에 서울고 총동창회장을 맡은 바 있다. * 본인 이름을 딴 언론인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윤세영 저널리즘 스쿨]] == 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의 기업 가문)] [[분류:193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철원군 출신 인물]][[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해평 윤씨]][[분류:태영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