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과목, rd1=2022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윤리와 사상, other2=동명의 2015 개정 교육과정 과목, rd2=2015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윤리와 사상, rd3=2009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윤리와 사상, other3=동명의 2009 개정 교육과정 과목)] * 그 외 교과나 5차 교육과정 이전의 내용은 [[http://www.ncic.re.kr/nation.dwn.ogf.inventoryList.do|여기]]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목차] == 설명 == 고등학교 도덕 '''교과''' 윤리와 사상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다. 이 교과 내용에 기반하여 출제되는 [[사회탐구 영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는 본 문서와 성격이 구분되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윤리와 사상]] 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윤리]]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 7차 교육과정 == === 윤리와 사회 사상의 의의 === ㈎ 인간의 삶과 윤리 및 사회 사상 * 인간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삶에 있어서의 윤리와 사회 사상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윤리와 사회 사상의 관계를 파악한다. ① 인간의 삶에 있어서의 윤리의 필요성 ② 인간의 삶에 있어서의 사회 사상의 필요성 ③ 윤리와 사회 사상의 관계 ㈏ 인간의 행위와 윤리 * 윤리적 차원에서 인간 행위의 제 특성을 밝히고, 인간 행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이해하여 윤리적 삶의 이상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다진다. ① 인간 행위의 특성 ② 인간 행위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해석 ③ 윤리적 삶의 이상 추구 ㈐ 이상 사회의 구현과 사회 사상 * 사회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데올로기들을 개관해 봄으로써 이상 사회의 구현을 지향해 왔던 이데올로기의 기능들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① 사회의 본질과 특성 ② 이데올로기의 여러 형태 ③ 이데올로기의 기능과 이상 사회의 지향 === 윤리의 흐름과 특징 === ㈎ 동양 윤리 * 동양 윤리의 연원과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한국인에게 필요한 동양 윤리 덕목과 규범적 내용들을 현대적 의미에서 재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① 동양 윤리의 연원 ② 동양 윤리의 전개 ③ 동양 윤리의 현대적 의의 ㈏ 서양 윤리 * 서양 윤리의 연원과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한국인에게 필요한 서양 윤리 목록과 규범적 내용들을 현대적 의미에서 재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① 서양 윤리의 연원 ② 서양 윤리의 전개 ③ 서양 윤리의 현대적 의의 ㈐ 한국 윤리 * 한국 윤리의 연원과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한국인에게 필요한 전통 윤리 덕목과 규범적 내용들을 현대적 의미에서 재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① 한국 윤리의 연원 ② 한국 윤리의 전개 ③ 한국 윤리의 현대적 의의 === 현대 사회 사상의 흐름과 변화 === ㈎ 현대 사회 사상의 기원과 형성 * 현대 사회 사상의 역사적ㆍ사회적 배경과 형성 과정을 파악하고, 각 사회 사상의 주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① 현대 사회 사상의 기원 ② 현대 사회 사상의 형성 과정 ③ 현대 사회 사상의 특징 ㈏ 현대 사회 사상의 흐름과 쟁점 * 현대 사회 사상을 대표하는 자유 민주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의 흐름과 쟁점을 파악하고, 이들 사회 사상의 목표와 내용들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① 자유 민주주의의 흐름과 쟁점 ② 사회주의의 흐름과 쟁점 ③ 민족주의의 흐름과 쟁점 ㈐ 현대 사회 사상의 전망 * 자유 민주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 사상의 현재의 역할과 과제를 파악하고 미래 사회에서의 역할과 위상을 전망할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을 지닌다. ① 자유 민주주의 의 미래 ② 사회주의의 미래 ③ 민족주의의 미래 === 한국 윤리 및 사회 사상의 정립과 민족적 과제 === ㈎ 한국 윤리 및 사회 사상의 정립 * 오늘날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윤리ㆍ사회 사상적 문제들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요청되는 바람직한 한국 윤리 및 사회 사상을 확립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① 한국 사회의 윤리적 문제 ② 한국 사회의 사회 사상적 문제 ③ 바람직한 한국 윤리 및 사회 사상의 정립 ㈏ 민주적 도덕 공동체의 구현 * 도덕 공동체와 민주 시민 사회, 정의ㆍ복지 사회를 이룩하는 것이 민주적 도덕 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선결 요건임을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려는 신념과 태도를 지닌다. ① 도덕 공동체의 형성 ② 민주 시민 사회의 실현 ③ 정의ㆍ복지 사회의 실현 ㈐ 한국의 진로와 민족적 과제 * 우리 민족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사회가 나아갈 길을 설정하고, 민족 공동체의 발전 방향과 통일을 설계하며, 통일 이후 이상적인 민족 국가를 실현하려는 자세를 지닌다. ① 우리 민족의 당면 과제 ② 민족 공동체의 발전 방향과 통일 ③ 민족 공동체의 미래상과 우리의 자세 == 6차 교육과정 '윤리' == [include(틀: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 인간과 윤리 === ㈎ 인간의 삶과 윤리 * 인간의 특성 * 다양한 인간관 * 인간의 삶과 윤리의 필요성 ㈏ 자아 실현과 인격 완성 * 삶의 의미와 목적 * 자아의 발견과 실현 * 인격 완성을 위한 노력 ㈐ 인생에서의 청소년기 * 청소년기의 특징 * 청소년기의 진로 탐색 * 청소년기의 윤리적 자각 === 사회와 윤리 === ㈎ 현대 사회의 윤리적 상황 * 현대 사회의 구조적 특징 * 전통 사회와 현대 사회의 윤리 * 현대 사회의 윤리적 과제 ㈏ 현대 사회의 생활 윤리 * 가정생활 윤리 * 직장생활 윤리 * 시민생활 윤리 * 문화․예술 생활 윤리 * 종교생활 윤리 ㈐ 현대 사회의 문제와 윤리 * 생명 존중과 윤리 * 환경과 윤리 * 성과 윤리 * 과학과 윤리 === 국가와 윤리 === ㈎ 국가 이념과 발전 * 국가의 본질과 국가관 * 국가 발전과 이념의 역할 * 이념의 유형과 전개 * 공산주의의 쇠퇴와 미래의 이념 ㈏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 민족의식과 민족주의 * 민주주의의 이념과 특징 * 민주주의의 원리와 생활 양식 *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경제 윤리 ㈐ 국제 관계와 윤리 * 국제 관계의 본질과 변화 * 국제 관계에서의 윤리성 *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우리의 자각 === 윤리 사상의 흐름과 특징 === ㈎ 동양 윤리 사상 * 동양 윤리 사사의 연원 * 동양 윤리 사상의 전개 * 동양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 ㈏ 서양 윤리 사상 * 서양 윤리 사상의 연원 * 서양 윤리 사상의 전개 * 서양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 ㈐ 한국 윤리 사상 * 한국 윤리 사상의 연원 *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 한국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 === 통일의 과제와 전망 === ㈎ 우리 나라의 통일 문제 * 통일의 의미와 당위성 * 남북한의 통일관과 통일 정책 * 남북한 통일의 장애 요인 ㈏ 민족 통일의 조건 * 새로운 세계 질서와 통일 환경의 변화 * 통일 국가 실현의 전제 조건 * 예상되는 통일의 과정과 우리의 자세 ㈐ 통일 이후의 전망 * 통일 국가의 미래상 * 국제 사회에서의 통일 국가의 역할 * 미래 사회의 한국인상 == 관련 문서 == *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윤리와 사상]] *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윤리]] [[분류:도덕 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