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교육자이자 정치인, rd1=윤건영(1952), other2=동명의 충청북도교육감, rd2=윤건영(1960))]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구로구 을|{{{#cfa547 구로구 을}}}]])'''}}} || || 제18-20대[br][[박영선]] || → || '''제21대[br]윤건영''' || → || 현직 || || {{{#fff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 '''대통령비서실'''}}}]] [[비서관|{{{#ffc224 '''국정상황실장'''}}}]]}}} || ||<-5> [[문재인|{{{#ffffff '''문재인 정부'''}}}]] || || ''신설'' || → || '''초대[br]윤건영''' || → || 2대[br][[이진석(교수)|이진석]] || }}} || ||<-2> '''[[대통령비서실|{{{#fff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br]{{{+1 윤건영}}}[br]尹建永 | Youn Kun-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윤건영1.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11월 5일]][*A 음력 [[9월 26일]]이다.] ([age(1969-11-05)]세) || ||[[부산광역시|(정부 직할) 부산시]][br](현 [[부산광역시]]) || || '''거주지'''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신도림대림1,2차아파트 || ||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구로구 을]]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윤건영_서명.svg|width=140]]}}} || || '''링크''' ||[[https://facebook.com/yky201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yky041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ky2015, 크기=20)] | [[https://youtube.com/channel/UC2zuYf2hbVSNw5cRhDeqJM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yky2015|[[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1 [[배정고등학교]]}}} {{{-2 ([[졸업]])}}}[br]{{{-1 [[국민대학교]]}}} {{{-2 ([[무역학과|무역학]] / [[학사]])}}}[br]{{{-1 [[국민대학교/대학원|국민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3556866|기업의 기능별 투자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997).]}}}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구로구 을]]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1대 국회의원|21]]''' || || '''소속 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br][[정보위원회]] (간사) || || '''경력''' ||[[국민대학교]] 총학생회장[br][[개혁국민정당]] 기획팀장[br]서울 [[성북구의회]] 의원 {{{-2 (민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기 / [[무소속]])}}}[br][[대통령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 {{{-2 ([[참여정부]])}}}[br][[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초빙교수[br][[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노무현재단]] 기획위원[br][[문재인]] 국회의원 보좌관[br][[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장 {{{-2 ([[문재인 정부]])}}}[br][[제21대 국회의원]] {{{-2 ([[구로구 을|서울 구로구 을]]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제19대 대통령 [[문재인]] 퇴임준비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간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참좋은인연입니다.jpg|width=100%]]}}} || >'''참, 좋은 인연입니다''' [[대한민국]]의 [[보좌관]] 출신 [[정치인]]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19대 국회의원이던 시절 보좌관을 맡았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이며 지역구는 서울 구로 을 지역이고,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문재인 정부의 첫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장에 임명되어 972일 동안 최장 기간 재임했다. == 생애 == [[1969년]] [[11월 5일]][*A], 부산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배정고등학교]]와 [[국민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했다. 친북 반미 운동을 하던 대학생 시절인 1991년에 국민대학교 총학생회장을 지내다 국보법, 집시법 위반 등으로 전과자가 되기도 했다. 이 당시 수배를 받아 친구집이 있던 구로(구로동 476-51번지)에 살았다고 한다. 이후, [[국민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대기업 [[한라그룹]] [[만도기계]]에 입사하여 회사 생활을 하던 도중, [[IMF]]가 닥치게 되고, 참다 못해 [[1998년 지방선거]]때 당시 무보수 명예직인 [[구의원]]에 출마하게 되면서 [[성북구]] [[구의원]] 당선, 최연소 기초의원으로 정치계에 입문해 최우수 기초의원에 선정되었다. 또한 [[권혁기]] [[청와대]] 춘추관장과 [[국민대학교]] 동문으로, 각각 1991년과 1993년에 총학생회장을 지냈다. 2002년도 유시민이 당시 대권주자이던 노무현을 위해 만든 개혁신당에 기획팀장으로 근무했다. 그 인연으로 [[노무현]]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 집권 당시 [[참여정부]]에서 정무기획비서관을 맡았다. 흔히 순장조로 불리는 대통령의 마지막 임기일까지 남아있던 관료였으며 노무현 집권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함께한 비서관 중에 하나였다. [[문재인]]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의 [[제19대 국회의원]] 시절 보좌관을 맡아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속내를 털어놓고 얘기하는 몇 안 되는 측근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숨은 비선 실세라는 소문 때문에 2선으로 물러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캠프인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본부 2부실장을 맡으며 정무적인 업무를 맡았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역임했다. ===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 [[문재인 정부]]의 첫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장에 임명되었다. 972일 동안 최장 기간 재임한 국정상황실장이다. 2018년 3월, 대통령의 대북특사로 평양을 방문해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의 주역으로 꼽힌다. 또한 2018년 3차례에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판문점에 가면 볼 수 있는 대통령의 남자'''[[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14999|#]], '''김정은 위원장을 가장 많이 만난 사람'''이라는 수식어를 얻었다. 2018년 3월에는 방북한 남측 예술단·태권도 시범단과 동행 남북 평화협력 기원 남측 예술단 평양 공연 '봄이 온다'를 위해 평양에 방북했다. 2019년 6월, 이희호 여사 별세에 대한 조의문과 조화를 김여정 제1부부장을 통해 받아왔다. 2019년 10월, 문재인 대통령의 모친 강한옥 여사에 대한 북측 조의문을 [[판문점]]에서 받아왔다고 알려져 있다. 2018년 4월에는 정상회담준비위 종합상황실장을 맡아 남북정상 ‘핫라인’ 개통[[https://newsis.com/view/?id=NISX20180420_0000287744&cID=10301&pID=10300|#]] 을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했다. === 21대 총선 출마 및 당선 === 2020년 [[21대 총선]]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장관이 자리를 비운 [[서울특별시]] [[구로구 을]] 선거구 출마를 선언했다. 야당에선 미래통합당이 현역 물갈이 정책에 의해 [[김용태(1968)|김용태]] 의원을 기존 지역구인 [[양천구 을]]에서 옮겨 [[구로구 을]]에 공천했다. 결과는 윤건영 후보의 승리로 끝났다.[[https://www.news1.kr/articles/?3907876|#]] [[제21대 국회]] 개원 이후에는 초선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외교통일위원회]]에 상임위원 자리를 배정받았다. [[7월 23일]] [[이인영]] [[통일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통합당 태영호의 발언을 색깔론 공세라며 언론 인터뷰에서 비판했다.[[http://news.kbs.co.kr/news/view.do?ncd=4501755&ref=A|#]] 2020년 8월 국회의원의 4선 연임을 제한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정무실장을 맡았다.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건영/논란 및 사건 사고)]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1990 - 1992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92 - 1996 || 탈당 || || [include(틀:건설국민승리21)] || 1996 - 2000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2020 ||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 - 현재 || 입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성북 돈암1동 || [include(틀:무소속)][*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전 까지는 기초의회선거에서 따로 정당 공천을 하지 않았으나 '''각 정당에 소속된 당원들은 출마가 가능했다'''. 즉, 당적 보유를 한 상태로 무소속 출마하는게 가능했다.] || '''1,964 (63.23%)''' || '''당선 (1위)''' || '''초선'''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성북구 제3선거구|성북 3]] || [include(틀:무소속)] || 6,114 (15.18%) || 낙선 (3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구로구 을|구로 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6,065 (57.04%)''' || '''당선 (1위)''' || '''초선'''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건영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건영2.jpg|width=100%]]}}} || || [[제2회 전국동시선거|{{{#000,#fff 2회 지선}}}]] [[돈암동|{{{#000000,#fff (서울 성북구 돈암1동 선거구)}}}]]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fff 3회 지선}}}]] [[성북구 제3선거구|{{{#000,#fff (서울 성북구 제3선거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건영3.jpg|width=100%]]}}} ||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구로구 을|{{{#000,#fff (서울 구로구 을)}}}]] || ||}}}}}}}}} || == 여담 == * [[안철수]]와 비슷하게 손글씨 세대 치고는 상당히 둥글둥글한 글씨체를 가지고 있다. * 2023년 3월 21일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주 69시간 근무제]]대해 고용노동부장관을 비판하여 노동자들의 입장을 대변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서울특별시의 기초의회의원]][[분류:무소속 기초의회의원]][[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9년 출생]][[분류:배정고등학교 출신]][[분류:국민대학교 출신]][[분류:학생운동가]][[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분류:민중당(1990년)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