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EMU VOXX)] ||<#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mu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png|width=100%]]}}} || ||<-3>
{{{#ffffff '''{{{+2 六兆年と一夜物語}}}'''[br]Six Trillion Years and Overnight Story[br]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 '''가수''' ||<-2> [[IA -ARIA ON THE PLANETES-]] || || '''작곡가''' ||<|3><-2> [[kemu]] || || '''작사가''' || || '''조교자''' || || '''SMC''' ||<-2> [[스즈무]] || || '''일러스트''' ||<-2> [[http://www.nicovideo.jp/mylist/17864616|Hatsuko]] || || '''영상 제작''' ||<-2> [[ke-sanβ]] || || '''페이지''' ||<-2> [[http://www.nicovideo.jp/watch/sm1752077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Om3MTou2kP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2> 2012년 4월 11일 || || '''달성 기록''' ||<-2>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br][[VOCALOID 신화입성]] || ||<|2> '''[[VOCALOID 오리지널 곡/노래방 수록 목록|{{{#373a3c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 43599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 28318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년은 [[인간이 되고 싶어|사람이 되고 싶었다.]]"'''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六兆年と一夜物語)는 [[IA]]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작곡가는 [[kemu]]. 일러스트는 hatsuko가 맡았고 영상 제작은 [[ke-sanβ]]가 맡았다. [[금영엔터테인먼트|금영노래방]]에 43599번으로 2013년 5월 신곡에 들어왔다. [[TJ미디어]]에도 28318번으로 수록되었다.[* 단, TJ미디어는 S60같은 최신 반주기로만 부를 수 있는 히든 곡이다.] 여담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투수 하타케 세이슈의 등장곡이었다.[* 단 하타케의 등장곡은 원곡이 아닌 [[BanG Dream!]]에 수록된 커버 버전. 2020년 말에는 아예 로젤리아와 함께 방송에 나가서 매우 행복해하는 것이 일도리 공식 트윗에 박제되면서 [[성공한 덕후]] 인증 완료. 2021년부터는 [[약속(BanG Dream!)|약속]]을 사용하며, 그해 생일에 요미우리에서 올린 사진은 유키나 피규어와 함께 찍었을 정도.] === 상세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는 전작들의 [[이능력자]] 라인에선 벗어난 듯하다.[* 다만 후속곡들의 내용으로 유추해 보면 마지막 순간 소원을 빌고 모든것을 지워버리는 이능력을 얻어 소녀와 소년 자신을 제외한 인류를 포함한 [[타노스|지구상의 모든 생명이 재가 되어 소멸한 듯하다.]] 그래서인지 후속작인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에서 해당하는 단어가 '인종 청소'.] 대신 주인공이 이번엔 [[오니]]의 피를 이은 (또는 [[마녀사냥|오니로 몰리고 있는]]) 아이다.[* "鬼の子"는 보통 "도깨비의 아이"로도 직역되지만, 동격 조사로도 쓰이는 "[[の]]"의 특성상 "도깨비'인' 아이"라는 중의를 노린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바로 앞에 나오는 "이미코"와도 의미상 운율이 맞다.] 작품도 여전히 꿈도 희망도 없는 내용으로 [[어벤저(3차)|이 사람]]이랑 비슷한 처지의 소년이 소녀와 함께 도망치다 마지막에 붙잡히게 되고 결국은 소년의 바람으로 그 둘을 제외한 모든 인류가 사라진다는 내용이다. 작품 외적으로 육조(六兆)라는 숫자는 [[인생 리셋 버튼]]에서도 나온 숫자이기에 모종의 연관이 있는 듯하다. 여담으로, 전전작인 [[인비저블(kemu)|인비저블]]과 상당히 비슷하다. 특히 후렴구는 가사를 서로 바꿔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 == 달성 기록 == [include(틀:VOCALOID 신화입성)] * 니코니코 동화 || * 2012년 4월 13일 [[VOCALOID 전당입성]] * 2012년 7월 1일 [[VOCALOID 전설입성]] * 2013년 2월 4일에 200만 재생 달성 * 2014년 2월 12일에 300만 재생 달성 * 2015년 8월 2일에 400만 재생 달성 * 2016년 6월 7일에 500만 재생 달성 * 2017년 7월 27일에 600만 재생 달성 * 2018년 6월 15일에 700만 재생 달성 * 2019년 7월 22일에 800만 재생 달성 * 2020년 8월 1일에 900만 재생 달성 * 2021년 12월 27일에 '''[[VOCALOID 신화입성]]'''|| * 유튜브 || * 2021년 4월 24일에 조회수 35,000,000회 달성|| 니코동에서 [[내일의 밤하늘 초계반]]과 함께 IA의 곡 중 가장 재생수가 많은 곡이다.[* 유튜브에서도 3563만 조회수로 1위이다.(2위는 2839만 조회수의 [[내일의 밤하늘 초계반]]) (2021년 5월 기준)] 동시에, [[kemu]] 최고의 히트곡이기도 하다. [[kemu]]는 이전 세 작품을 통해 거대한 팬덤을 확보했기에 순위도 좋았다. 2012년 4월 11일 [[니코니코 동화]]에 올라왔고 제 237회 [[주간 VOCALOID 랭킹]]에서 1위에 입상 및 2012년 7월 1일 작품 중에서 네번째로 [[VOCALOID 전설입성|전설입성]]을 이룩했다. 이로서 첫 작부터 금번 작품까지 네 작품 모두 밀리언을 달성하는 보컬로이드 역사상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 결국 2021년 12월 27일 10번째로 신화입성에 성공했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ff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sm17520775, width=640, height=360)]}}} || || 【IA】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오리지널 곡 • PV포함】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m3MTou2kPg, width=640, height=360)]}}} || || 【HD】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IA 오리지널 곡 • PV】 - KEMU VOXX || == 미디어 믹스 == === 앨범 수록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DORA VOXX 통상판 커버.jpg|height=177]]}}} || '''번역명''' ||<|2> [[PANDORA VOXX]] || || '''원제''' || || '''트랙''' || DISC 1, 10 || || '''발매일''' || 2012년 5월 10일 || || '''링크''' || [[http://www.nicovideo.jp/watch/sm1759703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ocaloconnection.jpg|height=177]]}}} || '''번역명''' || [[EXIT TUNES PRESENTS Vocaloconnection feat. 하츠네 미쿠]] || || '''원제''' || EXIT TUNES PRESENTS Vocaloconnection feat. 初音ミク || || '''트랙''' || 06 || || '''발매일''' || 2012년 8월 1일 || || '''링크''' || [[http://exittunes.com/cd/exit_tunes/qwce00236.html|[[파일:EXIT TUNES 아이콘.png|width=24]]]] [[http://Vocaloconnectio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exittunesvocalo.blog.fc2.com/|[[파일:FC2 아이콘.svg|width=24]]]] [[http://www.nicovideo.jp/watch/sm1839045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 소설판 === ||<-2>
{{{#373a3c '''{{{+1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br]六兆年と一夜物語}}} || ||<-2> [[파일:PANDORA VOXX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png|width=100%]] || || '''{{{#373a3c 장르}}}''' || || || '''{{{#373a3c 작가}}}''' ||니시모토 히로나(西本紘奈) || || '''{{{#373a3c 삽화가}}}''' ||hatsuko || || '''{{{#373a3c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카도카와 쇼텐]] || || '''{{{#373a3c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 || '''{{{#373a3c 발매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3 . 9. 27. || || '''{{{#373a3c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권 ,,(完),, || 소설을 통해 곡 영상 속의 하얀 머리의 소녀가 오리지널 캐릭터 '아이'. ~~[[IA|잠만 이거...]]~~[* 하지만 PV와 생김새가 다르고 이름이 [[IA]]를 뒤집은 아이 인걸 봐선, 저작권 때문에 생김새와 이름을 바꾼걸수도 있다.], 하얀 머리의 소년이 '리쿠'인 것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kemu]]의 이전 소설에 등장하는 마키짱과 쿠로에라는 소년이 등장한다. [clearfix] === [[/리듬 게임 수록|리듬 게임 수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 == 가사 == ||
名も無い時代の集落の || || 나모 나이 지다이노 슈-라쿠노 || || 이름도 없는 시대의 마을의 || || 名も無い幼い少年の || || 나모 나이 오사나이 쇼-넨노 || || 이름도 없는 어린 소년의 || || 誰も知らないおとぎばなし || || 다레모 시라나이 오토기바나시 || || 아무도 모르는 옛날 이야기 || || 産まれついた時から忌み子鬼の子として || || 우마레츠이타 토키카라 이미코 오니노 코토시테 || || 태어났을 때부터 불길한 아이 괴물의 아이로서 || || その身に余る罰を受けた || || 소노 미니 아마루 바츠오 우케타 || || 그 몸에는 감당하기 힘든 벌을 받았어 || || 悲しい事は何も無いけど || || 카나시이 코토와 나니모 나이케도 || || 슬픈 일은 아무 것도 없지만 || || 夕焼け小焼け手を引かれてさ || || 유-야케 코야케 테오 히카레테사 || || 저녁노을이 질 때 손이 이끌려져서[* 해질 무렵 부모 손을 잡고 집에 돌아가는 아이들을 의미][* 유야케코야케(저녁 노을 작은 노을)에는 정확히 하자면 저녁노을 이상의 의미는 없다. 노을이 다 져서 작게 남은 노을을 코야케(작은 노을)이라고도 하지만, 대부분은 단순히 옛날노래에 운율을 맞추기 위한 단어[[https://blog.goo.ne.jp/jn0219/e/df20eb47079609147aee7653352cb5d9|라는 해석이 존재한다.]]] || || || || 知らない知らない僕は何も知らない || || 시라나이 시라나이 보쿠와 나니모 시라나이 || || 몰라 몰라 나는 아무 것도 몰라 || || 叱られた後のやさしさも || || 시카라레타 아토노 야사시사모 || || 혼난 후의 다정함도[* [[사랑의 매|혼난]] 뒤에 어르는 부모의 사랑을 의미.] || || 雨上がりの手の温もりも || || 아메아가리노 테노 누쿠모리모 || || 비 갠 뒤의 손의 따스함도 || || でも本当は本当は本当は本当に寒いんだ || || 데모 혼토-와 혼토-와 혼토-와 혼토-니 사무인다 || || 하지만 사실은 사실은 사실은 사실은 정말 추워 || || 死なない死なない僕は何で死なない? || || 시나나이 시나나이 보쿠와 난데 시나나이 || || 죽지 않아 죽지 않아 나는 왜 죽지 않아? || || 夢のひとつも見れないくせに || || 유메노 히토츠모 미레나이쿠세니 || || 꿈 하나 못 꾸는 주제에 || || 誰も知らないおとぎばなしは || || 다레모 시라나이 오토기바나시와 || || 아무도 모르는 옛날 이야기는 || || 夕焼けの中に吸い込まれて消えてった || || 유-야케노 나카니 스이코마레테 키에텟타 || || 석양 속으로 빨려 들어 사라져 갔어 || || || || 吐き出す様な暴力と || || 하키다스요-나 보-료쿠토 || || 내뱉는 듯한 폭력과 || || 蔑んだ目の毎日に || || 사게슨다 메노 마이니치니 || || 업신여기는 눈의 매일에 || || 君はいつしかそこに立ってた || || 키미와 이츠시카 소코니 탓테타 || || 너는 언제부터인가 거기에 서 있었어 || || 話しかけちゃだめなのに || || 하나시카케챠 다메나노니 || || 말 걸면 안 되는데 || || 「君の名前が知りたいな」 || || 키미노 나마에가 시리타이나 || || "너의 이름을 알고 싶어" || || ごめんね名前も舌も無いんだ || || 고멘네 나마에모 시타모 나인다 || || 미안해 이름도 혀도 없어[* 이쪽은 두 가지 해석이 있다. 하나는 '''혀를 뽑혔기에''' 말이 안 나온다는 것과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 || || 僕の居場所はどこにも無いのに || || 보쿠노 이바쇼와 도코니모 나이노니 || || 내가 있을 곳은 아무데도 없는데 || || 「一緒に帰ろう」手を引かれてさ || || 「잇쇼니 카에로-」 테오 히카레테사 || || "함께 돌아가자" 손을 이끌려서 || || || || 知らない知らない僕は何も知らない || || 시라나이 시라나이 보쿠와 나니모 시라나이 || || 몰라 몰라 나는 아무 것도 몰라 || || 君はもう子供じゃないことも || || 키미와 모- 코도모쟈 나이코토모 || || 너는 이제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도 || || 慣れない他人の手の温もりは || || 나레나이 히토노 테노 누쿠모리와 || || 익숙지 않은 사람의 손의 따스함은 || || ただ本当に本当に本当に本当のことなんだ || || 타다 혼토-니 혼토-니 혼토-니 혼토-노 코토난다 || || 단지 정말로 정말로 정말로 정말로 진짜야 || || やめないやめない君は何でやめない? || || 야메나이 야메나이 키미와 난데야메나이 || || 그만두지 않아 그만두지 않아 넌 왜 그만두지 않아? || || 見つかれば殺されちゃうくせに || || 미츠카레바 코로사레챠우 쿠세니 || || 들키면 살해당하는 주제에 || || 雨上がりに忌み子がふたり || || 아메아가리니 이미코가 후타리 || || 비 갠 뒤에 불길한 아이가 두 명 || || 夕焼けの中に吸い込まれて消えてった || || 유-야케노 나카니 스이코마레테 키에텟타 || || 석양 속으로 빨려 들어 사라져 갔어 || || || || 日が暮れて夜が明けて || || 히가 쿠레테 요가 아케테 || || 날이 저물고 밤이 되어서 || || 遊びつかれて捕まって || || 아소비 츠카레테 츠카맛테 || || 놀다 지쳐 잡혀서 || || こんな世界僕と君以外 || || 콘나 세카이 보쿠토 키미 이가이 || || 이런 세계 나와 너 이외에는 || || 皆いなくなればいいのにな || || 민나 이나쿠나레바 이이노니나 || || 모두 없어져버리면 좋을 텐데 || || 皆いなくなればいいのにな || || 민나 이나쿠나레바 이이노니나 || || 모두 없어져버리면 좋을 텐데 || || || || 知らない知らない声が聞こえてさ || || 시라나이 시라나이 코에가 키코에테사 || || 모르는 모르는 목소리가 들려서 || || 僕と君以外の全人類 || || 보쿠토 키미 이가이노 젠진루이 || || 나와 너 이외의 전인류 || || || || 抗う間もなく手を引かれてさ || || 아라가우 마모나쿠 테오 히카레테사 || || 저항할 틈도 없이 손을 이끌려서 || || 夕焼けの中に吸い込まれて消えてった || || 유-야케노 나카니 스이코마레테 키에텟타 || || 석양 속으로 빨려 들어 사라져 갔어[* 여기에서 노을이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 것을 추측해 볼 수있다. 노을은 황혼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삶과 죽음의 경계가 희미해져 감을 비유한다. 따라서 두 사람 이외에 다 죽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런 관점에서 노래를 다시 본다면 [[인류멸망|새롭게 의미가 다가온다.]]] || || 知らない知らない僕は何も知らない || || 시라나이 시라나이 보쿠와 나니모 시라나이 || || 몰라 몰라 나는 아무 것도 몰라 || || これからのことも君の名も || || 코레카라노 코토모 키미노 나모 || || 앞으로의 일도 너의 이름도 || || 今は今はこれでいいんだと || || 이마와 이마와 코레데 이인다토 || || 지금은 지금은 이걸로 된 거라고 || || ただ本当に本当に本当に本当に思うんだ || || 타다 혼토-니 혼토-니 혼토-니 혼토-니 오모운다 || || 단지 정말로 정말로 정말로 정말로 생각해 || || || || 知らない知らないあの耳鳴りは || || 시라나이 시라나이 아노 미미나리와 || || 모르는 모르는 그 귀울림은 || || 夕焼けの中に吸い込まれて消えてった || || 유-야케노 나카니 스이코마레테 키에텟타 || || 석양 속으로 빨려 들어 사라져 갔어 ||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2년]][[분류:VOCALOID 신화입성]][[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