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분류:1990년 설립]][[분류:2002년 해체]] [목차] [[파일:여군학교.jpg]] 육군여군학교 마크 == 개요 및 역사 == 육군여군학교는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 육군]]의 [[여군]] [[장교]] 및 [[부사관]] 교육 양성기관이다. [[육군교육사령부]] 예하로,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대한민국 국방부]] 청사 부지 내에 위치했다. [[국군간호사관학교]]와 더불어 [[폐교]]시까지 유이하게 여성만 입교 가능한 군 교육기관이었다. 역시 국간사와 동일하게, 교육생이 아닌 학교 소속 실무 근무자는 남군도 섞여 있었기에, 육군 [[장병]]들 중에도 드물게 여군교 마크를 [[정복(의복)|정복]], [[근무복]], [[전투복]]에 단 이들이 존재했다. 기술행정부대로 분류되어, 육군 [[병사]]들에게도 근무복이 지급된 부대 중 하나였다. 모체는 1950년 [[한국전쟁]] 발발 후 처음 모집한 육군 [[여자의용군]]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여자의용군을 교육하기 위한 [[여자의용군교육대]]가 1950년 설립되었고 1955년 7월 [[여군훈련소]]가 설치되었다. 1974년 여군 [[병(군인)|병]] 제도가 폐지되기 전까지는 여군 훈련소에서 장교, 하사관 및 병을 함께 양성하였다.[* 여군 병의 경우 부사관 제도가 병에서 진급하는 방식이었다면 여군 직업병 제도로 바뀌었을텐데 민간부사관제도가 있어서 쓸모없었다.] 양성과정을 수료한 이들은 전원 일괄 여군 [[병과]]를 받았다. 이는 육군에만 존재했고, [[대한민국 해군|해군]]과 [[대한민국 공군|공군]]의 여군은 오직 [[간호장교]] 뿐이었다. 여군 극소수는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지원, 첩보 대원이나 [[헬리콥터]] 조종장교 등이 되기도 했으나, 여군들이 남군과 동일한 병과 체계를 받기 전까지는 무슨 일을 하든 병과는 여군, 간호 둘 중 하나였다. == 폐지 == 2002년 10월 31일 오후 2시, 국방부 내에 있는 교내 강당에서 해단식을 갖고 52년 역사를 마감했다. 육군여군학교는 같은 달 18일 여군 부사관 168기생의 수료식을 마치면서 해체 전까지 여군 장교 47개 기수 1,500여명, 여군 부사관 168개 기수 6,300여명을 배출했다. 해체 후 재학중이던 여군학교의 여군 장교 양성과정은 [[육군3사관학교]]로 여군 부사관 양성과정은 [[육군부사관학교]]로 통폐합되었고, 여군 병과도 폐지되어 남군과 동일한 병과 체계로 재분류됐다. 현재 육군여군학교 자리에는 국방부여군발전단이 있다. == 기타 == MBC <우정의 무대>의 경우 1994년 9월 4일에 다루어졌고, KBS1 는 [[https://youtu.be/S6G8WTEhL5s|1999년 6월 14일]], [[https://youtu.be/8Lix0gwdgWA|2000년 7월 10일, 2001년 10월 22일]]에 총 3번 각각 다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