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 [include(틀:유희왕/OCG/역사)] [목차] == 개요 == [[유희왕/OCG]]의 역사 중 12기(2023년 4월 ~)를 다루는 내용. == 변경점 == * 카드 텍스트 변경 이전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역사/9기|9기]] 때의 변경에 비할 바는 못되지만, 텍스트에 많은 양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덕분에 가독성과 텍스트 길이에 상당한 이득을 보았다. 다음의 변경점들은 어디까지나 '''표현만''' 변경되었을 뿐이며, '''룰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 "덱에서 n장 드로우한다." → '''"n장 드로우한다."''' 드로우라는 행위 자체가 덱에 있는 카드로 이루어지는 만큼 불필요한 표현이 생략되었다. * "제외되어 있는" → "'''제외 상태인'''" 제외되어 있는 카드는 패 / 덱 / 필드 / 묘지와는 별개로 표기되면서 쓸데없이 긴 텍스트를 유발했는데, 12기부터는 제외 상태라는 표현으로 변경되며 같은 선상으로 표기되도록 정립되었다. {{{-2 예) "자신 묘지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중에서, "○○"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 (엑스트라 덱, 제외 상태에서)"앞면 표시 / 뒷면 표시" → '''"앞면 / 뒷면"''' 필드 이외에서는 공격 / 수비 표시를 따질 일이 없는 만큼 앞면 / 뒷면인지만 구별하도록 간략화되었다. {{{-2 예)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는다." →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넣는다."}}} * "일반 소환한다." → "일반 소환'''을 실행'''한다" 일반 소환이 효과 처리로서 실행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같은 맥락으로, 룰로서 소환되는 [[긴급동조|싱크로 소환]], [[원더 엑시즈|엑시즈 소환]], [[펜듈럼 앙코르|펜듈럼 소환]], [[성유물(유희왕)#성유물로부터의 자각|링크 소환]]의, 카드 효과에 의한 정규 소환 역시 '실행한다' 텍스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2 예)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한다." →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을 실행'''한다."}}} * 링크 소환 → '''L 소환'''(일본 한정) 일본에서는 영어로 된 소환명이나 몬스터는 [[싱크로 소환|S]], [[엑시즈 소환|X]], [[펜듈럼 소환|P]]로 쓰고 루비 문자로 한자를 적는데, 링크는 신규 소환법이라 그런지 해당하지 않다가 이번에 축약되었다. {{{-2 예) リンクモンスター → '''[ruby(L, ruby=リンク)]モンスター'''}}} *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 "소환'''했을''' 경우" 원래는 [[신의 심판|소환에 실패했을 때]]를 확실히 하기 위해 사용되던 용어였는데, 몬스터 기동 효과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지라 [[격류장|발동 조건을 혼동할 것]]을 우려해 텍스트를 통일했다. 사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역사/10기|10기]]에 잠깐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성공시에]]" 텍스트를 테스트했었는데, 아무래도 그것보다는 이쪽이 낫다고 생각한 듯.[* 성공시라 적어버리면 타이밍이 "경우"인지 "때"인지 판별이 힘들어지고, "경우" 텍스트는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이다. 때는 한자로 [[時]]이므로 성공시는 "때'다.] {{{-2 예)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 이 카드'''를'''[* 일본어판에서는 기존 그대로 "このカード'''が'''"라고 적는다. 9기 이후 한글판 카드 번역에서 의역보다는 직역이 많아진 것을 생각하면 특이한 케이스.] 일반 소환'''했을''' 경우"}}} * "○○ 또는 ○○" → "○○'''나''' ○○" 지칭 대상의 병렬 나열에 관한 표기가 더 간략화되었다. * "고르고" / "골라" 텍스트가 '''삭제되었다.''' 얼핏 보면 대상을 지정한다는 의미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아예 삭제했다. 아예 대상 지정만 남는 건 아니고, 처리는 동일하다.[* [[와일드 서바이버즈]] 때문에 여전히 헷갈리는 사람이 있으나, 와일드 서바이버즈까지는 11기에 속하는 제품이기 때문이다.] 단, "고르고"나 "골라" 텍스트가 없을 경우 해석에 문제가 생기는 텍스트([[금지된 일적]]이나, 덱에서 카드 여러 장을 보여주고 상대가 그 중에서 고르는 경우)에 한해서는 들어간다. {{{-2 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덱에서 마법 카드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 "[[유발 즉시 효과|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 '''"①: 자신 / 상대 턴에~"''' 사실 이 변경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역사/11기|11기]]에 시범 적용된 변경이다.[* 초창기에는 "[[수장합체 라이오 호프레이|서로의 턴에]]"였고, 11기 후반에 "자신 / 상대 턴에"로 굳어졌다.]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는 누구의 턴이든 간에 드로우, 스탠바이, 배틀, 엔드 페이즈 아무 때나 발동할 수 있다는 의미인데, 이를 텍스트만 보고 알아차릴 수 있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 기껏 해야 "자신 턴에는 스펠 스피드 1, 상대 턴에는 스펠 스피드 2"로 이해하는 게 최선이었다.~~상대에게 효과로 맞아가면서 알아야 했다~~ 그러나 이전 표현이 완전히 사장된 건 아니고, 여러 개의 효과가 유발 즉시라 [[효과 외 텍스트]]에 적어야 할 필요가 있거나, 특정 조건에만 유발 즉시로 변하는 효과의 경우 여전히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표현이 사용된다. 두 표현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 [[의식 소환|의식 몬스터]]의 '''"(의식 마법)"에 의해 의식 소환'''이 [[융합 소환]] 등의 소재 등처럼 줄바꿈 처리로 최상단에 기재된다. * [[의식 소환|의식 마법]]의 '''"(의식 몬스터)"의 의식 소환에 필요'''가 삭제되었다. * [[융합 소환]] 텍스트가 '''축약되었다.''' [[엑스트라 덱|융합 덱]]을 최초로 사용하는 소환법이다 보니 초창기에는 소환 과정을 일일이 적어줘야 했으나, 이제 그럴 필요가 적어진 데다가, 이전과 달리 재정도 사뭇 달라졌으므로[* 예를 들면, [[차원의 틈]]이나 [[매크로 코스모스]]가 발동되어 있으면 "묘지로 보내고," 처리를 할 수 없지만, [[융합(마법 카드)|융합]]은 예외이다.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헷갈리기 쉬운 룰/텍스트|문서 참고]].] 축소되었다. {{{-2 예)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 [[퓨전(유희왕 러시 듀얼)|'''자신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서,'''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 엑시즈 소재로 하는 텍스트가 '''축약되었다.''' 기존의 대상 카드의 아래에 겹친단 표현을 지우고 소재로 한다는 표현만 남겼다. {{{-2 예) 그 카드를 이 카드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 묘지로 보낸 턴엔 발동 불가능한 텍스트가 '''변경되었다.''' 그동안은 텍스트가 효과 끝부분에 붙었으나, 텍스트 변경과 동시에 효과 앞자리로 이동했다. {{{-2 예)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엔 발동할 수 없다 → 이 턴에 묘지로 보내지지 않은}}} * 카드의 주인을 지칭하는 표현이 '''삭제되었다.''' {{{-2 예)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 [[러시 듀얼]]에서처럼 괄호가 자주 사용된다. * [[맹세 효과]]와 체인 불가 텍스트 위치가 효과 뒷자리(기존)에서 '''코스트 뒷자리(개편)로 이동함.''' [[디메리트(유희왕)|디메리트]]와 [[맹세 효과]]는 같은 위치에 쓰여 있고, 표현에 따라서는 글자 하나 차이(발동'''한''' 턴에, 발동'''하는''' 턴에,)가 나기 때문에 혼동하는 듀얼리스트들이 적지 않았는데,[* 디메리트는 효과 처리와 동시에 적용되는 엄연한 '''효과'''고, 맹세 효과는 효과보다는 '''효과'''보다는 발동 조건에 가깝다. 그래서 몇몇 카드들은 맹세 효과를 [[효과 외 텍스트]]에 적어두는 경우도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 위치가 효과 뒤에서 코스트 뒤로 이동했다. 단 체인 불가 텍스트는 '''카드의 발동[* [[초융합]], [[명왕결계파]], [[엑시즈 오버딜레이]], [[복수의 숨겨진 칼날]] 등]'''이 아닌 '''효과의 발동'''[* [[치킨게임(유희왕)|치킨게임]], [[바렐엔드 드래곤]], [[RR(유희왕)|새털라이즈 캐논 팔콘]] 등]만 이번 번경에 대응하고, [[액세스코드 토커|모든 효과에 체인할 수 없을 경우]]는 변경 없이 그대로 간다. {{{-2 예) "~발동할 수 있다.~ ~한다. 이 효과에 대하여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 →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에 대하여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으며,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 "이 효과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한다.'''" 역시 쓰여 있는 위치가 효과 설명 뒷자리에서 발동 조건 뒷자리로 이동했다. * "필드의 앞면 표시의" → "필드'''(앞면 표시)'''" "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의 효과..." 식으로 조사 'の(의)'가 너무 자주 사용되지 않도록 바뀌었다. 특히 패와 덱은 기본적으로 뒷면 표시이기 때문에 효과 범위에서 필드에 세트된 카드를 제외하려면 '및'을 써야 했으나, 괄호를 사용하게 되면서 텍스트 길이가 줄었다. {{{-2 예) "자신의 패 / 덱 / 묘지의 몬스터 및 필드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 중에서, "○○" 몬스터 1장을~" → "자신의 패 / 덱 / 필드'''(앞면 표시)''' / 묘지의 "○○" 몬스터 1장을~"}}} *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 "엑스트라 덱'''(앞면)'''" 위와 마찬가지로 반복되는 표현을 제거하며 축약하였다. 또한 기존 텍스트는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놓여지는 몬스터가 펜듈럼 몬스터임을 일일이 기재함으로 인해 텍스트를 상당히 잡아먹었는데, 이러한 표현 역시 생략되었다. {{{-2 예)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 몬스터 1장을~" →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 몬스터 1장을~"}}} * 특정 조건에서의 코스트 완화 및 대상 증가 텍스트가 이제 '''괄호'''로 기재됨 코스트 관련 텍스트가 효과 처리의 뒤에 적혀 있어 한눈에 보기 어려운 점을 개선했다. {{{-2 예1) "~발동할 수 있다. ~한다. (조건)~할 경우, 이 효과의 대상은 3장이 된다." → "~발동할 수 있다('''(조건)~할 경우, 이 효과의 대상은 3장이 된다'''). ~한다.'}}} {{{-2 예2) "~발동할 수 있다. ~한다. (조건)~할 경우, 패를 버리지 않고 이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다." → "~발동할 수 있다('''(조건)~할 경우, 패를 버리지 않고 발동할 수도 있다'''). ~한다."}}} * 함정 카드로도 취급되는 함정 몬스터의 텍스트 또한 괄호 안에 기재된다. {{{-2 예)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위의 변경점이 모두 반영되는 [[오리카|가상의 카드]]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의 예시: {{{#!folding(변경 전) ||"○○"에 의해 의식 소환. 이 카드명의 ①④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중에서, "○○"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그 후,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한다. 이 카드가 의식 소환되어 있을 경우, 이 효과의 대상은 2장이 된다. ②: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묘지의 카드 및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중에서, 몬스터를 1장 고르고 제외한다. 이 카드가 의식 소환되어 있을 경우, 패를 버리지 않고 이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다. ③: 1턴에 1번,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의 몬스터 및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뒷면 표시로 제외하고, 그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④: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덱에서 "○○" 몬스터 또는 "□□" 카드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⑤: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 상대 필드에서,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⑥: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그 몬스터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엑시즈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folding(변경 후) ||"○○"에 의해 의식 소환 이 카드명의 ①④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가 의식 소환되어 있을 경우, 이 효과의 대상은 2장이 된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그 후,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을 실행한다. ②: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가 의식 소환되어 있을 경우, 패를 버리지 않고 발동할 수도 있다). 상대의 필드(앞면 표시) / 묘지의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③: 자신 / 상대 턴에 1번,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뒷면으로 제외하고, 그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④: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덱에서 "○○" 몬스터나 "□□"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⑤: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자신 /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⑥: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엑시즈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 * 재정 변경 * (마법 카드의) '''카드의 발동''' 복사와 '''효과의 발동''' 복사를 동일하게 처리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아나콘다]] 발매 때부터 혼란을 불러왔던 복사 효과 재정이 정립되었다. 이제 [[마도서(유희왕)|세페르의 마도서]]를 비롯한 마법 카드의 복사 효과도 맹세효과는 복사하지 않게 된다. 다만 함정 카드에는 적용되지 않아서 [[트랜잭션 롤백]]의 필드 효과는 여전히 카드의 발동을 복사하게 된다. * 기타 사항 * 신규 [[리미트 레귤레이션/OCG|리미트 레귤레이션]] 공개는 마지막 주 일요일 오후 9시부터 공개하는것으로 변경되었다. {{{-2 예) "2023년 3월 12일 일요일(3월 일요일 2번째 주) 오후 9시에 공개." → "'''2023년 3월 26일 일요일(3월 일요일 마지막 주)''' 오후 9시에 공개."([[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4월|OCG 리미트 레귤레이션 2023년 4월 기준]])}}} * 신규 종족 [[환상마족]]의 추가.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시리즈 발매 정보|부스터 팩]]의 수록 카드 넘버링 변경.[* 정확히는 12기 직전 11기 팩 [[사이버스톰 액세스]]부터 변경.] || 11기 || 커버 테마 - [[낙인(유희왕)/스토리|오리지널 스토리A]] - [[뉴 클리어 월드/스토리|오리지널 스토리B]] - 신테마 - 애니메이션 테마 - 기존 테마 - 기타 범용 카드 || || 12기 || 커버 테마 - 애니메이션 테마 - [[뉴 클리어 월드/스토리|오리지널 스토리]] - 신테마 - 기존 테마 - [[덱 빌드 팩|덱 빌드 팩 테마]] - 기타 범용 카드 || * [[덱 빌드 팩]]의 수록 카드 넘버링 변경.[* 정확히는 12기 직전 11기 팩 [[와일드 서바이버즈]]부터 변경.] || 11기 || 테마A(1~13번) / 테마B(14~26번) / 테마C(27~39번) / 테마A 재록(40~41번) / 테마B 재록(42~43번) / 테마C 재록(44~45번) || || 12기 || 테마A(1~13번) / 테마A 재록(14~15번) / 테마B(16~28번) / 테마B 재록(29~30번) / 테마C(31~43번) / 테마C 재록(44~45번) || * 일본판 데이터베이스 홈페이지의 카드 텍스트 표기에 줄바꿈이 적용되었다. 변경이 적용된 [[수왕 알파]]의 예시: {{{#!folding(변경 전)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합계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합계보다 높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의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그 후, 패로 되돌아간 수만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수왕 알파"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 {{{#!folding(변경 후)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br]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합계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합계보다 높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br]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자신 필드의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그 후, 패로 되돌아간 수만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수왕 알파"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 * 11기에서 개최되지 않았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세계대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최근의 세계 정세]]'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가 2023년부터 정상 개최되었다. == 분기별 역사 == === 2023년 4월 === * 적용 금제 :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4월]] * 이전 분기에 발매된 상품 : 부스터 팩 [[사이버스톰 액세스]], 덱 빌드 팩 [[와일드 서바이버즈]] * 이 분기에 발매되는 상품 : 부스터 팩 [[듀얼리스트 넥서스]], 듀얼리스트 팩 -[[듀얼리스트 팩/폭염의 듀얼리스트 편|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 11기를 끝내고, 12기를 새롭게 시작하는 분기. 4월 금제 실시와 신규 팩 [[듀얼리스트 넥서스]]의 발매 후 평가는 오랜만에 찾아온 '''황금 밸런스'''. [[퓨어리]]가 선두로 치고 나가고, [[참기(유희왕)|참기]]가 그 뒤를 따르는 형식이다. 여기에 [[낙인(유희왕)|낙인]], [[루닉]], [[R-ACE]], [[초중무사]], [[크샤트리라]], [[티아라멘츠]], [[VS(유희왕)|VS]] 등이 그 밑 티어권을 나눠먹는 춘추전국시대 메타. 물론 [[육화]], [[마술사(유희왕)|마술사]], [[엑소시스터]],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섬도희]] 등의 테마들도 입상할 만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듀얼리스트 넥서스]]를 통해 첫 선을 보인 [[환상마족]] 테마 [[유익환상수 키메라/서포트 카드|키메라]] 또한 꽤나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4월 금제로 2022년의 파워 인플레 카드들을 대거 정리한 것이 효과가 있었다는 증거이다. 추가적으로 한국 환경에서는 [[초중무사]]가 특히 활약하고 있으며, [[라뷰린스]]나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 라뷰린스와 드래곤 링크는 유독 한국 환경에서'''만'''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에서 티어아웃이라고 평가받는 라뷰린스는 2023년 월챔 한국지역예선 홀대회에서 6월 18일 기준 제주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우승했고, 드래곤 링크 역시 장인들을 필두로 꾸준히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땅 속성 굿 스터프]] 또한 활약하고 있다. 중국 환경에서도 땅 속성 굿 스터프와 60낙인 등을 중심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렇게 지역별로 주요한 메타가 다 다른, 유례없는 춘추전국시대로 평가받는다. 한편 5월에 수록된 듀얼리스트 팩 -[[듀얼리스트 팩/폭염의 듀얼리스트 편|폭염의 듀얼리스트 편]]-에 수록된 테마([[샐러맨그레이트]], [[볼캐닉]], [[BK(유희왕)|BK]])은 크게는 화염 속성의 낮은 체급 때문에, 작게는 각자의 이유 때문에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에서 새롭게 데뷔한 [[지박(유희왕)|지박]]은 그 카드 수가 적어 체급이 높지 않은 상태. === 2023년 7월 === * 적용 금제: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7월]] * 이전 분기에 발매된 상품: 부스터 팩 [[듀얼리스트 넥서스]], 듀얼리스트 팩 -[[듀얼리스트 팩/폭염의 듀얼리스트 편|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 * 이 분기에 발매되는 상품: 스트럭처 덱 [[왕자의 고동]], 부스터 팩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스트럭처 덱 R [[염왕의 급습(스트럭처 덱)#스트럭처 덱 R 리메이크|염왕의 급습]] 수많은 티어덱 전부에 치명적인 제재가 있지는 않았던 만큼, 춘추전국시대는 이어졌지만 그 티어덱 중 특별히 강한 4개의 덱이 4강 체제를 이루었다. 제재가 없고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상성이 좋은 [[죄보]]([[디아벨스타]]) 용병 파츠를 얻은 [[R-ACE]], 제재를 받았으나 치명적인 제재는 아니었던 [[퓨어리]], 역시 간접적인 제재만 받은 [[티아라멘츠]]가 죄보 용병을 채용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트랜잭션 롤백]]의 등장으로 인해 일본 환경에서도 [[라뷰린스]]가 치고 올라오기 시작했다. 그 뒤로 제재가 없던 낙인, 여러 형태의 [[초중무사]]를 용병으로 채용한 덱, 땅GS, [[VS(유희왕)|VS]]도 간간히 입상을 이루었다. [[루닉의 샘]] 제한으로 죽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루닉은 오히려 [[코즈믹 싸이크론]]이라는 치명적인 적이 사라진 점과 후술할 티폰 등과 궁합 등으로 완벽히 사라지지 않고 입상 리스트에 작게 나마 이름을 남기고 있었다. 새롭게 출시된 [[에스:피 리틀나이트]], [[로기어스텔라 티 폰]], 디아벨스타를 비롯한 죄보 관련 카드들 모두 강력한 성능과 뛰어난 범용성으로 인해 수많은 덱에 용병으로서 투입되는 중이다. 특히 리틀나이트는 소재 제약이 없는 2링크임에도, 3링크에서조차 비교 대상을 찾기 힘든 수준의 파워로 인해 사용 가능한 덱에선 거의 필수적으로 채용한다. 거기다 디아벨스타는 이제 막 스타트를 끊은 스토리 테마면서 죄보 파츠들과 함께 벌써부터 환경권에 자주 모습을 비추고 있다. 드롤 분기는 확실하게 끝났으며, 톱 메타가 된 R-ACE를 견제하기 위한 뵐포 분기가 돌아왔다. 중국 환경에선 추가적으로 [[호루스(유희왕)|호루스]] 엔진 또한 고평가받고 있으며, 한국 환경 또한 호루스에다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 등이 활약하고 있다. 아예 기존 티어덱을 모조리 도태시키고 환경을 갈아엎었던 11기 후반에 비하면 덜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파워 인플레]]가 완전히 정리됐다고 보기엔 어느정도 애매한 측면이 있다. 현재 환경권에서 활약하는 덱들의 평균적인 파워 수준이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이전 메타에 비하여 굉장히 높아졌으며, 신규 카드들의 성능도 기존의 카드보다 적은 리스크로 높은 리턴을 뽑아낼 수 있게 설계된 경우가 많다.[* 어찌보면 필연적인 결과인데, 인플레를 주도한 0티어 덱들을 제재한다고 해서 이미 발생해버린 인플레가 없던 일이 되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11기는 단순한 카드의 깡파워보단 리스크와 디메리트라는 '''게임의 근본적인 개념 자체'''를 뒤집어, '''이득은 자신이 취하면서 대가는 상대한테 떠넘기는''' 전례가 없던 기형적인 기믹을 통해 인플레를 촉진시킨 경우다. 이미 그런 카드가 11기 테마는 물론이고 기존 덱들에게도 신규 지원으로서 주어진 상황이라, 메타를 이전의 형태로 되돌리는 것은 현 상황에선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9기 및 10기에서 입상을 휩쓸었던 덱과 그 파츠들이 대부분 금제으로 인해 티어에서 탈락했음에도, 해당 분기의 인플레 자체는 사라지지 않고 전체적인 덱 파워가 크게 상승했던 것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은 이 금제와 TCG 금제를 합쳐 진행되었고, 우승의 영예는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가 차지했다. === 2023년 10월 === * 적용 금제: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10월]] * 이전 분기에 발매된 상품: 스트럭처 덱 [[왕자의 고동]], 부스터 팩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스트럭처 덱 R [[염왕의 급습(스트럭처 덱)#스트럭처 덱 R 리메이크|염왕의 급습]] * 이 분기에 발매되는 상품: [[엑스트라 팩#WORLD PREMIERE PACK 2023|월드 프리미어 팩 2023]], 부스터 팩 [[팬텀 나이트메어]], 스페셜 팩 [[터미널 월드(부스터 팩)|터미널 월드]] 수많은 제재 속에서도 오랫동안 티어에 붙어있던 티아라멘츠는 켈벡/아기도/카오스 룰러 금지, 티크샤 제한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팬텀 나이트메어 발매 이후, 마스터 듀얼과 동시에 등장한 [[하염의 구희]]에 의해 화염 속성 덱들의 체급이 급상승하는 가운데 특히 강한 파워를 보여주던 [[R-ACE]]와 [[염왕]]이 2황으로 치고 들어왔다. 일단 탑티어로는 퓨어리까지 포함시키곤 있으나, 초동이 잘린 퓨어리는 이들보다 한 수 밑으로 티어가 떨어졌다. 염왕과 R-ACE 뿐만 아니라 샐러맨그레이트 역시 화염 속성 지원에 힘입어 티어권에 복귀하였으며, 순수 스네이크아이도 티어권에 진입하게 되었다. 또한 염왕에게 상성상 크게 불리하던 라뷰린스와 루닉, 스네이크아이에 불리한 마술사의 티어가 한 단계 떨어졌다. 팬텀 나이트메어의 신규 테마 중에는 [[순성]]이 11기의 상검처럼 안정적인 빌드와 전개력, 쉬운 난이도와 대상 지정 내성을 무기로 세워 티어권에 진입했다. == 총평 == == 12기 티어권 덱 목록 == * 전개 덱 * [[참기토커]] * [[초중무사]] * [[티아라멘츠]] * [[아다마시아]] - [[땅 속성 굿 스터프]] * [[드래곤 링크]] * 미드레인지 덱 * [[낙인비스테드]] * [[크샤트리라]] * [[마술사(유희왕)|패왕술사]] * [[염왕]] * [[센츄리온(유희왕)|센츄리온]] * [[R-ACE|죄보 R-ACE]][* 2023년 7월 분기부터는 죄보 용병파츠를 곁들여 아우로라돈 싱크로 전개를 하거나 범용 링크 전개를 하는 쪽으로도 변화하였다.] * [[스네이크아이]] * [[순성]] * 운영, 함떡 덱 * [[퓨어리]] * [[R-ACE]] * [[티아라멘츠]] * [[낙인비스테드]] * [[라뷰린스]] * [[루닉]] * [[드래그마]] 계열 굿 스터프 * [[샐러맨그레이트]] * 용병 * [[죄보]]([[디아벨스타]]) * [[호루스(유희왕)|호루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듀얼리스트 넥서스, version=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