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상대를 여러가지 수단으로 꼬시는 것 == [[파일:EVX7dxSUEAAN7FP.jpg]] 誘惑 '''Seduce, Attract''' 보통 이성이나 [[화폐|돈]], [[뇌물]]을 사용한 유혹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누군가를 자기쪽으로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유혹은 생존의 가장 원초적인 행동이기도 하다. 이것이 발전하여 현대에서는 마케팅이나 정치운동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다. 유혹을 전문적으로 다룬다는 [[픽업 아티스트]]라는 직업아닌 직업이 있다 하나 그 실체는 문제가 많다. 해당 항목으로. 역사적, 지역적으로 수많은 용례가 존재한다. 로버트 그린의 명저 <유혹의 기술>에서 유혹에 관련된 이야기, 역사, 노하우 등이 잘 설명되어 있다. 여성을 중심으로 한 유럽쪽 이야기를 다룬 책으로는 잉겔로레 에버펠트 著 <유혹의 역사>가 있다. 국내에서도 번역 출간 중이다. 게임에서도 매혹이라는 이름으로 상태이상을 거는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는데, 주로 [[섹스어필]]이나 매력적인 외형을 지닌 캐릭터, 또는 매력 어필을 적극적으로 하는 캐릭터에게 부여된다. 가끔은 지켜주고 싶다는 심리를 매혹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고, 아예 매혹을 넘어서 조종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효과는 기절과 비슷하게 아무 행동도 못하거나, [[카프카(붕괴: 스타레일)|피아구분이 바뀌어 적을 도와서 아군을 공격하거나]][* 다만 이쪽은 심리 암시로, 최면 비슷한 능력이다.],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넋을]] [[이블린(리그 오브 레전드)|놓은채로]] [[라칸(리그 오브 레전드)|다가가거나]], 단순히 공격력/명중률 감소로 구현하는 경우도 있다. === 유혹에 관해 유명한 사람들 === * [[마타 하리]] - 여성 간첩의 대명사 * 발몽 - 프랑스 소설 <[[위험한 관계#s-1|위험한 관계]]>의 바람둥이 주인공 * [[카사노바]] - 명실상부한 유혹의 대명사 * [[클레오파트라 7세]] - [[카이사르]]와 [[안토니우스]]를 휘어잡은 여성 유혹자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혹(포켓몬스터))] == [[Lobotomy Corporation]]에 등장하는 상태이상 == 행동불능으로 만들면서 동시에 해당 환상체에 접근시키게 하는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큰 새와 역병의사, 빨간 구두등이 쓴다. 공통적으로 접근시 끔살당하거나 해당 환상체의 부속품으로 행동하게 만든다. == [[메이플스토리]]에 등장하는 상태이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이플스토리/시스템/상태이상, 문단=2.4)] == [[김수현(작가)|김수현]]의 소설 == 1982년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가 집필한 소설. == 드라마 == === [[유혹(1987년 드라마)|1987년 MBC 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혹(1987년 드라마))] [[1987년]]에 [[MBC]]에서 바로 위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8부작 [[월화 드라마]]를 방영하였다. === [[유혹(1996년 드라마)|1996년 KBS 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혹(1996년 드라마))] [[1996년]]에 [[KBS]]에서 120부작 [[아침 드라마]]로 또 다시 리메이크되었다. === [[유혹(2014년 드라마)|2014년 SBS 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혹(2014년 드라마))] == 2017년 영화 == 2020년 기준 네이버 영화 평점이 3.37로 안 좋은 평가를 받은 영화. 내용이 여주인공이 좋은 남편을 두고 다른 남자와 불륜을 일으키는 청불 영화다. [[https://movie.naver.com/movie/bi/mi/point.nhn?code=158464|해당 영화]] [[분류:동음이의어]][[분류:제목이 같은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