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유현주)] ||<-7><:> '''통일 메아리 악단''' || || [[이순실]] || [[유현주(가수)|유현주]] || [[윤설미]] || [[신은하]] || [[정유나(방송인)|정유나]] || 강은정 || [[한수애]] || ||<-2><:>{{{+1 '''유현주*고운여성*'''}}} || ||<-2>[[파일:탈북자 유현주.jpg|width=400]] || || '''이름''' || 유현주 || || '''본관''' || [[강릉 유씨]] || ||<|2> '''출생''' || [[1979년]] [[1월 9일]] ([age(1979-01-09)]세) || || [[함경북도]] [[청진시]]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가족''' || 어머니, 남동생 유현철[br]배우자[* [[1975년]]생으로 4살 연상의 남한 사람이다.], 장남 이현서[* [[2007년]]생으로 아들도 2017년 이만갑 300회 특집에 출연한 바 있다. 당시 출연한 2세대 중 최연장자였다.], 차남 || || '''소속 그룹''' || 통일메아리악단 || || '''신체''' || 153cm || || '''데뷔''' || [[2011년]]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 || || '''SNS'''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dCoTXjNVtyNK3TsR1JwRA|유튜브]]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이탈주민]] 출신 방송인 겸 음악인. 1979년 함경북도 청진 출신으로, 북한에서 선전대원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이 때 배운 악기 덕분에 통일메아리악단의 실질적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 멤버 중에는 [[김아라]], [[윤설미]], [[한수애]] 등이 있다.] == 생애 == 25세였던 2004년 탈북민 단체 입국 시 합류하여 [[신은하]], 최송죽[* 1965년 혜산 출생. 딸이 먼저 탈북하여 이를 알게되어 다시 찾아 데려오기 위해 북한을 떠났다고 할 정도로 골수 충성파(?) 였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발전상과 이를 통해 알게된 실상과 북한의 거짓 선전을 깨닫고 탈북민이 된 케이스. 현재 건설사 인부로 일하고 있으며 자부심 또한 강하다. 투박한 이북 억양이 트레이드 마크.], 박현숙[* 2019년 아들과 여동생 일가도 합류했다.], [[김아라]][* 1991년 함경북도 회령시 출생.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정유나(방송인)|정유나]] 등과 함께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의 고정 출연진으로 활약하고 있다. 특히 유현주의 경우 창립 멤버에 가깝기에 사실상 가장 오래 출연하고 있는 인물[* 포맷이 바뀐 현재도 간간히 출연하고 있다.]. 이후 2009년 무렵에 어머니도 탈북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2019년부터 유튜브 채널 유현주*고운여성* 을 개설했다[* '고운여성'은 초기 이만갑 시절에 컨셉으로 밀던 것이었다.]. 주로 어머니와 같이 활동하고 있다. 편집자는 남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가정일과 예술단 공연 활동으로 인해 중단한 상태다.]. == 여담 == * 같은 이만갑 출연진으로 과거 평양에서 [[여자축구]] 선수로 활동했던 김현송과 동갑으로, 이만갑 출연을 계기로 친해졌고, 심지어 두 부부도 서로 친해졌다고. * 이만갑 출연진 중 허명희와 [[소학교|인민학교]] 동창으로, 북한에서 허명희의 결혼식 때 유현주가 축가를 맡았었다고 한다.[* 부른 노래가 다름 아닌 [[조영남]]의 노래였다고 한다.] 지금도 남한 내 소학교 동창 모임 등을 통해 자주 만나고 있다고 한다. 특히 허명희의 딸인 박송미 양이 2019년 탈북하여 어머니와 10년 만에 재회한 후 백을 선물한 적이 있을 정도. * [[윤설미]]의 폭로(?)에 따르면 이만갑에서의 맏언니 혹은 쎈언니 포지션과는 달리 남편에게는 정말 천사 그 자체라고 한다[* 유현주의 갭모에는 이만갑 방송 당시 함경도민과 평안도민들의 기질을 설명할때 잘나타났다. 억세고 거친 함경도민의 말투 후 나긋하고 낙천적인 평안도민의 말투를 흉내내 많은 웃음을 자아냈다.]. 윤설미에 따르면 그렇게 애교를 부리는 사람인 줄을 몰랐다고(...)[* 탈북민이라 특유의 억센 이북 억양과 사투리가 아직도 남아있는데다 리춘희 마이너 버전이란 별명이 붙을 만큼 억센 이미지가 강한 영향일 것으로 추측된다.] * [[리춘히]] 마이너 버전이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억양이 흡사한데 강의차 한 학교에 갔을때 개인기 형식으로 리춘히 흉내를 낸 적이 있는데 학생들이 똑같다며 놀라워 하더란다[* 당시 상황을 유현주의 증언에 의하면 '쩐다'라고 했다고 한다. 처음엔 그게 무슨 말인지 몰라 의아해 하고 있었는데 의미를 알고 난 후엔 수긍했다고.]. 그런만큼 입담도 좋아서 이만갑에선 개그반장이라고 불릴 정도. * 이후 이만갑에서 개인기로 밀기도 하고, 더빙 영상에 코믹한 버전의 리춘히 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 [[리춘히]] 젊은 버전으로 목소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영화 [[강철비]]에 목소리 출현을 했다. 개성공단에서 환영 장내아나운서 목소리가 유현주의 목소리. 2018년엔 이창동 감독의 작품 [[버닝(한국 영화)|버닝]]에도 대남방송이 들리는 장면에서 목소리 출연했다. * 북한 선전대 출신이라 안보 강연에 많이 섭외되고 있다. 아코디언 연주도 가끔 보여준다고. * 또한 선전대 소속 시절에는 주요 일과가 휴전선에서 대남선전방송을 하는 것이었는데, 탈북 전날까지도 방송을 했었다고 한다. 즉, 겉으로는 북한을 찬양하는 선전을 했지만 속으로는 탈북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었다는 소리... * 2023년 7월 7일, [[석전중학교]]에 방문하여 강연하였다. [[분류:북한이탈주민]][[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1979년 출생]][[분류:청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 여가수]][[분류:강릉 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