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2> '''{{{#000,#fff {{{+1 유행성이하선염바이러스}}}[br]Mumps vi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병명''' ||'''[[유행성 이하선염]], [[수막염]]''' || ||<-2> '''분류''' || || {{{#000 '''미분류'''}}} ||[[바이러스]]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네가르나바이러스문(Negarnaviricota) || || [[생물 분류 단계#아문|{{{#000 '''아문'''}}}]] ||하플로바이러스아문(Haploviricotin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몬지바이러스강(Moniviricotin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모노네가바이러스목(Mononegavir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파라믹소바이러스과(Paramyxoviridae) || || [[생물 분류 단계#아과|{{{#000 '''아과'''}}}]] ||파라믹소바이러스아과(Paramyxovir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루불라바이러스속(Rubulavirus)[* ‘유행성이하선염속’이라고도 한다.]||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유행성이하선염바이러스 || ||<-2> '''특징''' || || '''분포 지역''' ||전 세계 || || '''숙주''' ||사람 || || '''백신''' ||'''약독생백신, MMR 백신'''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행성이하선염바이러스는 [[백신]]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바이러스다. 게놈 분석을 해보니 15,0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였고, 1개의 다단백질로 9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할 수 있다. 호흡기를 통한 [[비말 감염]]과 사람 간 긴밀한 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는 감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이다. == 명칭의 유래 == [[볼거리]](mumps)는 목이 부어올랐을 때 찌푸린 표정을 묘사한 ‘찌푸린 얼굴(grimacing)’이라는 뜻의 고어이다. == 역사 == 유행성이하선염은 [[아동기]]에 발생하는 통과의례 질환이고 1960년대에 백신이 개발되면서 선진국에서는 발생률이 급감했다. 그러나 이 뒤에는 많은 반대가 있었다. MMR 백신 (Measles, Mumps and Rubella,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혼합 백신) 접종 반대 운동이 있었던 것이다. 이 백신이 [[자폐증]] 유발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 결과 때문에 [[백신 반대 운동]]이 일어났지만, 나중에는 잘못된 주장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백신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와 [[세계보건기구]]에서 안전성을 확인한 [[의약품]]으로, [[면역 결핍]] 아동을 제외한 모든 아동에게 권장하고 있다. == 증상 == 성인에게 유행성 이하선염이 발생하면 치명적이다. 성인 남성에게는 [[고환]] 통증이, 성인 여성에게는 간혹 [[난소암]]이 유발된다. 그러나 감염자 대부분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관련 질병 == 유행성이하선염과 기타 바이러스성 소아 질환은 많은 기관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질병인 [[라이 증후군]](Reye’s syndrome)[* 간의 지방변성과 뇌의 급성 부종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며, 갑자기 일어나는 심하고 지속적인 구토, 간 효소치 증가, 고암모니아혈증, 의식 저하, [[경련]] 등 증상이 나타나다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악화한다.]과 연관성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라이증후군과 바이러스 감염 아동의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 복용 사이 연관성을 주장하지만,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은 아동에게서도 라이증후군은 발생할 수 있다. 라이증후군이라는 명칭은 [[1960년대]] 동료 연구진과 함께 이 증후군을 발견한 더글라스 라이(R. Douglas Reye) 박사의 이름을 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