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덴마크 관련 문서)] [목차] [[파일:attachment/유틀란트 반도/덴마크ㄹㅇ.jpg]] 유틀란트 * [[독일어]]: Jütland [{{{}}}[[국제음성기호|ˈjyːtlant]]] * [[덴마크어]]: Jylland [{{{}}}[[국제음성기호|ˈjylanˀ]]] * [[영어]]: Jutland [{{{}}}[[국제음성기호|ˈdʒʌtlən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Tranum_Aktieplantage_02.jpg]] ▲ 유틀란트 반도 서해안의 전형적인 [[히스]]가 자라는 풍경 [[파일:external/f2302b1df174f5ffdbce3d21fd5e0ee49d7a2b9a7d0a44e8a1ffec57ec83e9c3.jpg]] == 개요 == [[북유럽]]에 위치한 [[반도]]. 유틀란트 반도는 독일어이므로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한 덴마크어 명칭인 이윌란 반도라고 쓰기도 한다.[* 발음이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인지라 표기가 다른데 [jy\]로 ㅣ에서 단모음 ㅟ로 이어지는 발음이다. 굳이 표기하자면 [[ㆌ]]로 표기될 발음.][* 독일어로 Jütland는 유틀란트가 아니라, 위틀란트라고 읽는다] 남쪽의 약 3분의 1은 [[독일]], 북쪽의 3분의 2는 [[덴마크]]가 차지하고 있다.[* 이 3분의 2가 덴마크의 본토가 되는 곳인데, [[코펜하겐]]은 이곳이 아니라 그 옆에 있는 셸란 섬에 있다.][* 1차대전 이전에는 독일이 5분의 2, 덴마크가 5분의 3 정도였으나,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덴마크에게 돌아갔다.] 최대 도시는 [[오르후스]]. 다만 남쪽 경계가 애매해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함부르크]]를 유틀란트 반도의 최대 도시로 본다[[https://en.wikipedia.org/wiki/Jutland|#]]. 반도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아랫부분에 [[킬 운하]]가 유틀란트를 가로지르고 있기 때문에 좁은 수로이긴 하지만 어쨌든 유럽 대륙과 육지로 붙은 부분 없이 전부 물에 둘러싸여 있다. 유틀란트 섬이라고 잘보면 볼 수는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유틀란트 반도이다. [[김포섬|김포]], [[펠로폰네소스 반도]] 등과 비슷한 예로 섬이지만 섬으로 안본다. 이위틀란트라는 지명은 과거에 이곳에 살았던 [[게르만족]]의 일파인 주트족(영어: Jutes)에서 따왔다. 주트족이 [[앵글로색슨족]]과 함께 [[브리튼]] 섬으로 이주한 이후 윌란 반도에는 [[노르드인]]인 [[데인]]족이 이주하여 현재 [[덴마크]]에 이른다. == [[녹화사업]] == [[대한민국]]의 중장년층 이상 세대들에게 [[엔리코 달가스]]와 토마스 그룬트비 목사의 황무지 개간 일화로도 잘 알려진 곳이다. 유틀란트 반도 서부는 모래가 많아 농사짓기 좋지 않은 황무지였고, 이 때문에 이 당시의 덴마크는 식량생산을 슐레스비히-휼슈타인에 의존하는 비중이 컸는데 [[덴마크]]가 [[프로이센]]과 전쟁에서 져서 곡창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지역을 빼앗기자, 이 두사람은 피폐해진 조국을 발전시키고자 황무지 개간 운동을 벌였다. 정작 덴마크 내에서는 그룬트비만 유명하고, 달가스는 아예 모른다고 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정확히 말하면 달가스 본인보다는, 그가 황무지 개간을 위해 설립한 히스 협회(hedeselskabet)가 더 유명하다.] 오히려 본국 덴마크보다 한국과 일본에서 더 유명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우치무라 칸조]][* [[일본인]] 목사(1861-1930).]의 영향이 컸다. 우치무라는 [[1911년]] '덴마크 이야기'(デンマルク国の話)란 강연에서 처음으로 위 일화를 언급했으며 이것이 글로 펴내졌는데, 이후 잊혀졌다가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재발견되어 일본도 이런 식으로 재건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이용되었다. 한국에서는 [[류달영]] 박사(1911~2004)가 1951년에 쓴 '새 역사를 위하여'란 수필집을 통해 처음 소개되었다. 류달영은 [[일제강점기]] 시대부터 농촌운동을 해온 사람으로 [[심훈]]의 [[상록수]]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인물인데, 마침 우치무라의 글을 본 후 [[한국 전쟁]] 이후 황폐한 한국 농촌을 재건하자는 의미로 이들을 소개했다.[* 이 분은 그 유명한 [[함석헌]]과 [[일제강점기]]에 성서조선 사건으로 서대문형무소에서 함께 옥고를 치렀다.] 한편 [[새마을운동]] 계획자로 알려진 류태영 박사는 이 이야기를 읽고 진짜로 덴마크 유학을 가기도 했다. 그리고 귀국 후 [[1970년대]]와 [[1990년대]]에 20년이나 걸치는 새마을운동을 벌인다. == [[유틀란트 해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틀란트 해전)] [[분류:반도]][[분류:독일의 지리]][[분류:덴마크의 지리]][[분류:독일-덴마크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