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구(광주)의 법정동)] ||<-2> '''[[서구(광주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유촌동}}}'''[br]柳村洞 | Yuchon-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서구 유촌동,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914011600 || || '''관할 행정동''' || 유덕동 || || '''면적''' || 1.58㎢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북쪽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쌍촌동]], 서쪽으로는 덕흥동, 남쪽으로는 [[치평동]], 북쪽으로는 [[동천동(광주)|동천동]]에 접해 있다. == 지명의 유래 == 동 이름은 마을 주위로 버드나무가 많았다는 것에서 지어졌다. == 특징 == 도농복합지역으로 동의 모습이 극명하게 갈린다. [[광주천]]을 기준으로 서쪽 지역은 그야 말로 농촌, 동쪽 지역은 도시이다. 기가 막히게 대비되는 모습이 나타나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광주공항]]으로 인해 지정된 비행안전구역과 일정 부분 관련이 있는 걸로 추측된다. 그래도 지금은 규제가 많이 완화되어 고층건물을 규제하는 내용은 딱히 없다.[* 아직도 비행기가 지나다니는 항로이긴 해서 높이 제한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무작정 높은 건물을 세우긴 힘들지만 20층짜리 아파트 정도는 저촉없이 지을 수 있다. ] 가장 큰 문제는 이 일대가 대부분 개인 소유의 토지로 이루어져있어 땅값 폭등이나 알박기 등등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매우 큰 지장을 초래될 수 있고[* 실제로 2005년 광주시에서 [[서광주역]] 뒤편 [[세하동]]과 [[매월동]], [[벽진동]] 일대에 대규모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세하지구' 사업을 추진했으나, 개발도면이 유출되어 그 일대 땅값이 5배 가까이 폭등하고 알박기를 목적으로 들어온 사람들이 생겨났다. 결국 광주시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개발되지 못한채 논밭으로 남아있다.], 그리고 바로 앞에 하수와 분뇨를 처리하는 광주환경공단이 자리 잡고 있어 여기서 발생하는 악취로 꾸준한 민원이 발생할 것이 분명하다. 또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차량기지가 이 곳에 생길 예정이라 거기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소음으로 인한 민원 역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현재까지도 이 일대를 대대적으로 개발한다는 광주시의 계획은 없다가 2022년 지선 이후 'Y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군공항 이전과 연계한다는 것을 보면 그동안 공항 때문에 개발을 못한 건 확실한 것 같다.[[https://m.youtube.com/watch?v=3Z5QC72LS9g|#]] 만약 개발 된다면 2026년 개통될 [[상무지구 - 첨단산단 도로]]와 [[빛고을대로]] 사이가 개발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곳에는 [[광주 2호선]] 차량기지 외에도 종점인 [[유덕역]]이 자리잡을 예정이라 역세권 택지지구라는 이점도 있으니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서쪽 동네는 옛 마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편이고 대부분 이 곳에서 수십년 이상 거주해온 노년층이 주로 거주한다. 특이하게 이쪽을 유덕동이라 부르는데, 이 유덕동은 [[행정동]]이다. 그리고 사실 유덕동은 유촌동(법정동)을 관할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특이한 부분. 아무래도 유덕동 주민센터가 이쪽 동네에 있어서 일어난 일로 추측이 될 뿐 그 이유는 모른다. 그리고 아래 서술할 동쪽 동네를 유촌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행정동]]과 [[법정동]]이 각 동네의 이름이 되어 불리는 미스터리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지금은 개발을 끝내 도시 냄새를 풍기는 동쪽 동네(버들마을)[* 이쪽 사람들은 '버들마을'이라고 많이 부른다. 이 곳에 주공아파트 2개 단지도 이름이 상무버들마을주공이다. 그래서 버들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 유촌동이라는 이름 자체도 버드나무가 많다는 것에서 유래했음을 생각하면 어색할 것 없이 딱맞는 이름이다.]도 사실 개발 전까지는 농촌의 모습이였다. [[상무지구]]가 한창 개발된 이후 그 주변인 이 곳까지 그 연장선으로 같이 개발되었다. 1999년 당시의 이 지역 항공사진을 보면 아파트 건물이 올라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개발 직전인 1996년도 항공사진만 봐도 이 일대는 교외 지역 농촌 모습 그 자체였다. 서쪽 동네 역시 상무지구가 근접해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앞으로 10년 뒤에는 또 어떤 모습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현재 동의 중심지는 버들마을 쪽이다. == 교통 == === 도로 === 유촌동 정중앙을 남북으로는 [[빛고을대로]]가, 남쪽 동서로는 [[무진대로]]가 지나간다. 도로 교통에 있어서 최상의 위치임은 틀림없다. 다만 그만큼 많은 교통량을 지닌 것도 사실. 유촌동에 있는 계수교차로는 [[http://www.gwangju.go.kr/BD_0000000027/boardView.do?seq=296251&menuId=gwangju0303010000&boardId=BD_0000000027|광주광역시 보도자료]]에 따르면 하루 25만5057대에 달하는 차량이 다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계수교차로가 교통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니 교통량 자체는 많다. 물론 동 내부로는 그렇게 차량이 많지는 않다. 문제는 유촌동을 감싼 주위의 도로들([[빛고을대로]], [[무진대로]], [[유림로(광주)|유림로]])이 주요 및 보조 간선도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일 뿐. === 철도 및 도시철도 === 현재는 [[철도]]나 [[도시철도]]가 없다. 앞으로도 일반 철도가 경유할 일은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현재 공사 중이고, 현재 계획 상으로는 유촌동 서쪽 지역에 차량사업소와 [[유덕역]]이 세워질 예정이다. 따라서 빠르면 2~3년 내에 도시철도가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유촌동 서쪽 지역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가능성도 높다. === 버스 === ==== [[고속버스|고속]] / [[시외버스]] ==== 동 내부에 터미널이나 정류장은 없다. 하지만 [[호남고속도로]] 및 [[무안광주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버스들이 줄기차게 유촌동을 지나간다. 유덕동에 [[빛고을대로]]의 시작점과 [[무진대로]]가 있기 때문. 아주 가까운 곳에 [[광주종합버스터미널]](유스퀘어)가 있다.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 * 급행버스 * [[광주 버스 순환01]] * [[광주 버스 좌석02]] * [[광주 버스 첨단09]] * 간선버스 * [[광주 버스 매월16]] * [[광주 버스 첨단22]] * [[광주 버스 지원25]] * [[광주 버스 일곡38]] * [[광주 버스 문흥39]] * [[광주 버스 금호46]] * 지선버스 * [[광주 버스 상무62]] * [[광주 버스 상무63]] * [[광주 버스 유덕65]] * [[광주 버스 송암68]] * [[광주 버스 임곡89]] * [[광주 버스 1187]] ==== [[전라남도 시내버스|전라남도 시내버스/농어촌버스]] ==== * [[화순교통]] 전 노선 : 유촌동 인근 덕흥동에 화순교통 차고지가 있다. 그러다 보니 모든 노선이 유촌동을 경유하게 된 것. == 상권 == 큰 상권은 없다. 오히려 주위의 [[유스퀘어]], [[상무지구]] 등 대형 상권이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편. 두 곳 모두 유촌동에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향력이 크다. 그래도 상권을 꼽자면 버들마을 자체 상권이 잘 형성되어 있다. 흔히 이 '버들마을'이라 부르는 동네는 아파트 3개 단지와 원룸촌 3곳 정도가 모여있는 곳이다 보니 작은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가볍게 장 보기 좋은 SSM 2곳이 있으며, 버들마을 중앙을 가로지르는 상무버들로 주위로 각종 요식업, 관공서, 병원, 학원들이 모여 있다. == 교육 == === 관내 학교 목록 === * 중학교 * [[유덕중학교]] * 초등학교 * 광주극락초등학교 * 유덕초등학교 === 교육 환경 === 서쪽 동네와 동쪽 동네나 크게 차이가 없다. 사실 서쪽 동네도 교육은 모두 동쪽 동네에 의존한다. 학교 역시 상술한 학교들에 진학하는데, 학교가 모두 버들마을에 모여있기 때문.[* 그 중 광주극락초등학교는 무려 1931년부터 현재 위치 그대로였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 환경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며 학원 역시 똑같다. 유촌동이라는 동네 자체가 버들마을이 중심이 되는 동네이긴 하다. == 환경 == 생활 환경은 동네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동 정중앙을 [[광주천]]이 가르고 있기에 크게 나쁘지 않다. 서쪽 동네는 약간의 [[난개발]]의 모습이 보일락 말락 한다. 마을 내부는 어차피 지을 수 있는 건물의 크기나 용도가 정해져 있으니 문제가 없으나, 문제는 마을 바깥에 공장이다. 마을 주위 농경지에 점점 땅따먹기 식으로 공장이나 창고가 하나 둘씩 들어서면서 상당히 난잡해졌다. 중대형의 큰 제조업 공장은 아니라 큰 공기 오염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지만, 폐기물이라던지 공장 자체에서 필연적으로 나올 수 밖에 없는 오염은 무시할 수 없는 법. 추후 재개발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동쪽 동네는 '버들마을'로 불리며 [[상무지구]]가 개발될때 같이 개발된 계획도시라 잘 정돈되어있다. 버들마을의 동쪽으로는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이 있다. 24시간 돌아가던 시절은 진작에 끝나고 지금은 자정쯤 되면 공장도 가동을 멈추지만, 그래도 공장 바로 옆 단지로서는 신경이 다소 쓰일 수 있다. 다만 소음 문제는 거의 없다시피 한 편. 애초에 완성차 공장은 무거운 자재나 중장비 같은 소음 유발 요소가 적다. 오히려 공장에 계속 드나드는 대형트럭들의 소음이 훨씬 심하다. [[기아 오토랜드]] 광주공장과 길 하나를 두고 마주보고 있다보니 이 곳에 근무하는 기아 직원들 입장에선 적당히 상권도 형성되어 있고, 교통도 편리하고, 출퇴근 여건도 탁월하다 보니 버들마을을 선택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광주천 건너 [[동천동(광주)|동천동]]에도 기아 직원들이 상당히 많이 거주하고 있다.] 결론은 버들마을은 여러 가지 조건으로 인해 생활 환경이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직장, 상권, 교육 모든게 중심이 되는 동네이기 때문에 좋을 수밖에 없다. == 주요 시설 == === 공공기관 === * 광주유촌동우체국 * [[행정복지센터|유덕동주민센터]] * 유덕치안센터 * [[광주지방경찰청]] 기동대 * [[전남지방우정청]] === 상업 및 문화 === * 서광주농협 버들지점, 유덕지점 * 코코식자재마트 버들점 * [[쉐보레]] 광주서구바로서비스 === 주거 === || '''건설사''' || '''아파트명''' || '''입주시기''' || '''규모''' || '''난방방식/연료''' || || [[라인건설]]/[[남양건설]] || [[상무버들마을1단지 주공아파트]] || 2000.4. || 12개동 총 937세대(16-20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금호건설]]/삼능건설/[[라인건설]] || [[상무버들마을2단지 주공아파트]] || 1999.7. || 12개동 총 1,298세대(18-20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호반건설]] || 상무버들마을 호반리젠시빌 || 2001.2. || 6개동 총 425세대(16-19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관할 행정동 == === 유덕동 === ||<-2> '''[[서구(광주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유덕동}}}'''[br]柳德洞 | Yudeok-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서구 유덕동,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600026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유촌동, 덕흥동, 쌍촌동,[br] 치평동, 내방동}}} || || '''하위 행정구역''' || 16통 93반 || || '''면적''' || 5.49㎢ || || '''인구''' || 10,684명[* 2023년 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946.0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송갑석]] ,,(재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명진 ,,(초선),, || ||<-2> '''서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진보당(2020년)/행정구역)] || [[김태진(1971)|김태진]]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광록(정치인)|오광록]]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성화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유덕로 24 (유촌동 497-1) || || [[https://www.seogu.gwangju.kr/menu.es?mid=c70601000000|유덕동 행정복지센터]] || 유촌동을 유덕동(행정동)이 관할한다. [clearfix] == 기타 == [[해태그룹]] [[창업자]] [[박병규(기업인)|박병규]]의 출생지다. [[분류:서구(광주)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