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비례대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br]{{{+1 유정주}}}[br]兪訂炷 | Yoo Jeong-j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1유정주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75년]] [[12월 13일]] ([age(1975-12-13)]세) || ||[[서울특별시]] || || '''거주지'''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 ||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장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유정주_서명.svg|width=100]]}}} || || '''링크''' ||[[https://facebook.com/sunmoon90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yoojungju_90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m.youtube.com/channel/UCaUt10sRQXcd74x812sdau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junshine905|[[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동덕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상명대학교]] {{{-2 (영상영화학 / [[학사]])}}}[br][[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 (영상영화예술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647435|디즈니 애니메이션 텍스트 속에 재현된 남성환타지 연구]](2002).]}}}[br][[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 (영화영상학 / [[박사]] [[수료]])}}} || || '''종교''' ||[[가톨릭|천주교]] {{{-2 ([[세례명]]: [[루치아]])}}} → [[불교]] {{{-2 ([[법명]]: 여여진)}}}[* [[http://m.btn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60447|출처]]][* 일부 언론사에서는 가톨릭 당선인으로 분류했으나, 불교 쪽에서 더 많이 언급되고 있는 듯.]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비례대표]]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1대 국회의원|21]]''' || || '''소속 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br][[문화체육관광위원회]] || || '''경력'''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아카데미 겸임교수[br]한국애니메이션산업협회 회장[br][[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br]주식회사 꽃다지 대표이사[br][[제21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10번 / [[더불어시민당]])}}}[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문화예술 햇살가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애니메이터]]. 현직 [[21대 국회의원]] 및 [[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회 위원장. 정책위원회 선임부의장이다. ‘[[머털도사]]’의 제작자 유성웅 감독의 딸로 애니메이션 제작사 ‘꽃다지’를 대표이사로서 활동한 현업 종사자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는 [[2001년]] [[기파이터 태랑]]의 스토리 작가로 참여한 경력이 있고 [[2012년]] [[EBS]]에서 방영된 ‘[[머털도사(2012)|신 머털도사]]’가 있다.[*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훑어보기: 1번부터 10번까지 참고.] == 생애 == [[1975년]] [[12월 13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동덕여자고등학교 (졸업) 상명대학교 (영상영화학 / 학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영상영화예술학 / 석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영상학 / 박사 수료) 첫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 '홍길동전' 제작스텝 유성웅 감독의 딸. 아버지를 따라 애니메이션 업계로 진로를 정했다. 한국애니메이션 산업협회 부회장을 거쳐 회장을 역임했다. == 21대 국회 == === 국회 복장 이벤트 제안 === [[파일:94A84582-4C8A-4861-84E8-CFDBA1DF66C4.jpg|width=500]] ---- 2020년 8월 3일, [[http://cbs.kr/4RzLzQ|홍수 재난으로 국민들 사망과 실종 소식이 끊이지 않던 시기]]에[* 다만 시기 문제의 적절성은 차치하고서라도, 어차피 이 타이밍이 아니었어도 복장 자체가 맘에 안드는 사람들은 어떤 꼬투리라도 잡아서 비판했을 것이긴 하다. 당장 과거 유시민 백바지 사건도 그랬고. 더 나아가면 사실 복장도 문제가 아니라 그냥 [[안티|그 사람 자체가 싫기에]] 복장도 문제시 삼은 측면 역시 상당할 것이다. 유정주 의원은 사실 당시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인지도를 가진 의원이었지만, 류호정 의원은 다른 쪽으로 인지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정주 의원은 "2040 청년다방"[* 국회의원 연구단체.] 창립행사 자리에서, 함께 대표 의원이 된 [[류호정]] [[정의당]] 의원[* 참석자들 중 나이가 가장 많은 자신과 가장 나이가 적은 류호정 의원이 상징적으로 대표 의원을 맡았다.]에게 오늘 입은 복장으로 내일 국회 본회의에 출석하는 이벤트를 제안한다.[* 참고로 국회 복장에 대해 품위 유지 구절은 있으나, 구체적인 규정은 없다. 즉, 청바지까진 과할 지 몰라도 요즘 유행하는 비즈니스룩 정도는 충분히 용인할 만한 시대란 소리. 그 청바지조차도 심지어 여름엔 반바지도 IT 업계 등에선 일상적으로 입고 다닌다.] 당시 유정주 의원은 찢어진 [[청바지]] 복장을, [[류호정]] 의원은 빨간색 도트무늬 피크닉 [[원피스]]를 입고 있었다. 그러나 8월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유정주 의원 본인은 약속된 복장을 입지 않았고, [[류호정]] 의원만 빨간색 도트무늬 피크닉 원피스를 입고 나타났다. 덕분에 이는 일명 '[[류호정]] 원피스 등원 논란'으로 상당한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유정주 의원이 제안한 국회복장 이벤트에 대하여 당원 게시판에서도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H34BK0V|많은 이재민이 발생한 상황에서 열린 국회라는 점을 고려했어야 한다]]는 등 [[갑론을박]]이 이어지자[* 사실 이는 좌우의 문제라고 보긴 애매한게 당장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도 류호정 의원과 생각이 다른 부분은 있지만 복장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류호정 의원을 응원한다고 했고, 국민의힘 조해진 의원도 판도라에서 도대체 사람들이 왜 욕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옹호를 하기도 했다. 일종의 권위주의/탈권위주의 논란으로 본 셈.][* 해당 문서에선 시기 문제를 과하게 부각시키는 면이 있는데, 사실 홍수 를 문제삼았다면 그럼 다른 땐 해도 된다는건지, 아니면 코로나19가 창궐한 2020년에는 아무 이벤트도 벌이지 말아야 한다는 건지 기준이 모호하다. 애초에 감정적, 즉흥적이기 쉬운 넷 여론 특성상 안티들의 논리도 좀 빈약하다.], 유정주 의원은 과거 유시민 전 의원 백바지 시절보다도 못해졌다며 수십년이 흐른 후 또 비슷한 사건이 반복되면 사람들은 지금 이 논란을 [[http://naver.me/GYp1EfMw|쉰내]]나는 사건으로 평가할지도 모른다는 일종의 조롱성 멘트를 남겼다. 유정주 의원의 제안이 발단이 된 ‘[[류호정]] 의원 원피스 등원 논란’에 대한 기타 내용은 [[류호정/논란/21대 국회의원 시절#s-5|해당 문서]]도 참조. 2022년 9월 30일 제25회 부천국제만화축제 개막식에 참석했다. [[http://m.star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429|#]] === [[아청법]] 개정안 발의 === 2020년 11월 19일 유정주 외 16인은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발의했다. 통과는 아직 미지수지만 현행 게임, 영상물에 더해 사진집, 화보집, 간행물을 추가하여 아청법의 대상이 되게 된다. 일단 본인은 웹툰이나 웹소설은 아청법 개정안의 대상이 아니라고 하였으며 실존인물에 대해 법을 개정한다고 말한 상황이다. === [[애니메이션]]을 문화예술에 포함하는 법안 발의 === 유정주 의원이 발의한 문화예술진흥법개정안은 기존의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출판, 만화’ 등 문화예술의 종류에 ‘애니메이션’을 추가해 애니메이션도 문화예술의 한 종류로서 법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담았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44/0000704016|기사]] 이전까지 문화예술진흥법에는 문화예술의 정의에 애니메이션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유정주 의원이 대표하는 애니메이션산업 종사자들이 예술 활동 증명을 해당 분야가 아닌 ‘영화’ 또는 ‘연예’ 등 다른 분야로 명시하여 증명받는 상황이었다. === 게임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 발의 === 한동안 게임업계가 자율규제를 해왔으나 2021년 들어 [[메이플스토리 추가옵션 확률 조작 사건]] 등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이 무작위적이지 않고 그 확률이 고지조차 되지 않는 등의 사건이 벌어졌다. 2021년 1월 8일, 유정주 의원 등 10인[* 유정주, [[강준현]], [[고영인]], [[김윤덕(1966)|김윤덕]], [[맹성규]], [[서삼석]], [[설훈]], [[신영대]], [[이동주(1972)|이동주]], [[이탄희]].]은 확률형 아이템에 관한 표시의무를 담은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Y2J0Q1P1O2A4B1W7Z3T1W0L7K0M5F0|게임산업법 개정안(의안번호 제2107270호)]]을 발의하였다. 그 외에 게임계에 큰 관심을 두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상헌(정치인)|이상헌]] 의원이 낸 여러 관련 법안에 공동발의하였다. [[https://n.news.naver.com/sports/esports/article/439/0000021590|#]] === 통합전산망 확대법 발의 === 2022년 6월 21일 영화시장의 정확한 산업적 통계 확보를 위해 통합전산망을 극장 통계뿐만 아니라 온라인 통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영화 및 비디오물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문체부 산하 영화진흥위원회는 극장의 입장권 판매를 공식적으로 통계화하여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을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 극장을 방문해 영화를 소비하던 방식이 코로나 이후 IPTV, OTT 등 온라인 플랫폼으로 빠르게 다변화해 현행 방식으로는 현실적 통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었다. 유정주 의원은 “현재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으로는 온라인플랫폼에서 영화상영에 대한 현황 파악이 어려워 영화산업의 통계적 왜곡현상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온라인플랫폼 영화상영 통계가 필요하다”고 개정안 발의 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유 의원은 “개정안이 통과되면 영화에 대한 시장의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며, 또한 관객들의 소비패턴을 파악하여 새로운 영화 기획 및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3280|#]] === 저작권법 개정안 발의 === 2022년 8월 31일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감독·작가 등 영상물 저작자가 방송사·극장·OTT 등 영상물을 최종적으로 제공하는 자(영상저작물최종제공자)에게 수익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유정주 의원의 대표발의안은 제안이유에 대해 "유럽 등과 달리 우리나라는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과 같이 세계적인 흥행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특약이 없을 시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없다"며 "영상제작사 등에 비해 저작자의 협상력이나 정보가 부족함을 고려하였을 때 우리나라 역시 영상저작물 저작자가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해당 법안에는 영상물 저작자가 콘텐츠공급자(CP) 등과 계약을 체결하고 다시 이 CP가 OTT 등과 영상물 판매 계약을 맺은 경우에도 저작자가 OTT에 별도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748375?sid=100|#]] == 논란 == === 무능한 국민 말실수 논란 === [[2022년]] [[5월 11일]] [[김현숙(1966)|김현숙]]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무능한 국민'이라는 말실수를 하는 바람에 논란이 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155111|#]] [[https://youtube.com/shorts/PckkRQ_DeZQ?feature=share|해당 발언 영상]] 자신의 말실수가 논란이 되자 "준비 안 된 무능은 국민에게 고통이다"로 정정했으나, 곧이어 "언어는 무의식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발언하여 주변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후보자가 과거 칼럼에서 가족 해체의 위기를 언급하면서 '아픈 가족'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을 비판하려는 의도였으나 본의 아니게 자신의 실언이 무의적으로 본심을 드러낸 것이라는 뉘앙스로 해석되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상황이다.] === 국회 의원회관에서 자전거 활보 논란 === [[파일:유정주 자전거.jpg]]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9층 복도에서 유정주 의원 보좌관들이 유정주의 생일을 기념해 선물한 자전거를 타고 활보하는 모습을 다른 의원실 보좌진들에게 목격되면서 논란이 되고있다. 이 모습을 본 다른 의원실 보좌관들 사이에서는 ‘비상식적인 행동’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한 민주당 의원의 보좌관은 “근무 중에 복도에서 자전거를 타는 여성을 보고 깜짝 놀랐다. 당시 다른 보좌관들도 많았는데 다들 이해가지 않는다는 반응이었다”고 했다. 다른 의원실 보좌관은 “국회에 자전거 주차장도 있고, 주변에 탈 곳도 많은데 굳이 복도에서 탄 이유를 모르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유정주 의원 측은 16일 조선닷컴에 “유정주가 탄 자전거는 보좌관들이 선물한 게 맞다”며 “유정주 의원이 자전거를 탄 지 오래됐다며, 잠깐 타본 것”이라고 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41029?sid=10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더불어민주당 유정주 무능한 국민 발언 논란, version=17)] === 문체위 국정감사 [[허구연]]에 대한 태도 논란 === [youtube(TammLofVVtQ)] 10월 24일 [[KBO]] [[허구연]] 총재가 문화체육위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하지만 유 의원은 허구연 취임전의 사건에 대해 꼬투리 잡기식의 비난을 했고 허구연이 전문 단어와 해명을 하려고하자 허 총재의 말을 끊고[* 허구연은 짜증내거나 불쾌한 내색 없이 설명을 하려고 했다.] 의혹만 제기하는 등 심하게 몰아붙여 같은 당의 [[이상헌]] 위원장이 제지할 정도였다.[* 반면 이상헌 위원장은 유정주 의원의 공격적인 태도를 저지한 것과 함께 허구연 총재의 말을 끝까지 경청해주며 심지어 발언 시간을 1분 더 주는 등 국정감사 내내 배려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또한 FA 뒷돈 문제와 관련하여 [[검찰]]도 아니고 단순히 한 스포츠 리그의 총재인 허구연에게 수사권이 있지 않냐고 묻는 등 본인의 무지를 자랑하며, 수많은 야구 커뮤니티로부터 [[욕설]]이 거하게 들어간 비판을 받게 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 커뮤니티에서조차 유정주 의원의 태도는 옳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 [[한동훈]]을 향한 욕설 동참 === 2023년 11월 같은 당의 [[송영길]]과 [[민형배]]가 한동훈을 향해 공개적으로 욕설을 사용하여 논란이 되는 가운데, 유정주 역시 한동훈을 겨냥해 "정치를 후지게 만드는 '''너'''[* 참고로 유정주는 한동훈보다 2살이 어리다.], '''구토난다''' 라고 모욕하여 논란이 되었다.[[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3/11/14/QNQPALP3ORAIZDUDHKNS3OBWQI/|#]], [[https://www.fnnews.com/news/202311151136066373?utm_source=naver&utm_medium=naver_newsstand&utm_campaign=fnnews&pg=nv_newsstand|#]] [[추미애|강성 지지층에 듣기 좋은 소리를 하다가 상대 당을 살려주는]] 이러한 민주당 의원들의 언행에 경향신문마저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11141808001/amp|당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깊은 우려를 표했다. 비판을 많이 받자 꼬리를 내리고 “저도 자중할 테니 입에 담긴 힘든 혐오적인 어휘로 정치인들을 부르지 말기로 약속하자”고 했다.[[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3/11/15/2LJBL6PKHZABDEJGTOQLI734LY/|#]]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2020 || 정계 입문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 - 현재 || 합당[*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합당.] ||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9,307,112 (33.35%)''' || '''당선 (10번)''' || '''초선'''[* 시민 사회.][* 2020년 5월 13일 더불어민주당 흡수 합당.]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정주1.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1대 총선}}}]] ([[비례대표|{{{#000000,#e5e5e5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10번}}}]]) ||}}}}}}}}} || == 둘러보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1975년 출생]][[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동덕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상명대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초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