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재석)] || {{{#ffffff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https://namu.wiki/thread/HypnoticScaryPoisedTrick|토론1]] * 프로그램 명을 -(하이픈)으로 서술 후 "무한도전과 런닝맨으로 남자예능상 후보에 오른 자격으로 대상을 받았다. 다만 대상 발표 당시 프로그램명 언급 없이 유재석이라고만 호명되었고 홈페이지에도 유재석이라고만 써 있다."라고 각주를 단다. * 옆에 "추가로 해피투게더3도 포함하여 대상을 수상했다는 내용을 서술한 제도권 언론의 기사^^{{{-1 [1]}}}^^도 있다."를 쓴 각주를 추가한다. * 각 프로그램의 지분 기입을 원한다면 나무위키 근거 신뢰성 순위 상 7순위 이상의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 2번과 3번 외에 "어떤 작품으로 수상하였는지 공식적으로 명시가 안 된 수상"은 작품란에 -(하이픈)을 쓰고 각주로 배경을 서술하되 배경 서술 시 나무위키 근거 신뢰성 순위상 7순위 이상의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 2013년과 2021의 '대상 수상 문단표'는 "수상"으로 기재하고 2013년의 표에는 2번과 3번의 각주를 제시한다. {{{-2 [1]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21/0000283366}}} ---- * [[https://namu.wiki/thread/SlowFearlessDemonicDress|토론2]] * 한국방송대상 대상을 '대상 횟수' 포함하지 않으며 각주에서도 제외한다. * 상단 틀 중에서 '한국방송대상' 중 '대상' 부분에 각주로 "무한도전 작품상임을 명시하고 당시 멤버들의 이름과 PD의 이름을 기재한다."(무한도전 작품상이며 당시 유재석, 정형돈, 박명수, 정준하, 하하, 황광희 그리고 김태호 PD가 무대에 올랐다.로 변경) * 2번 문단 표 중에서 '2015년 중 제42회 한국방송대상 대상 무한도전' 옆에 있는 비고란에 각주로 "무한도전 작품상"임을 명시한다. * 3번 문단 중 "한 프로그램 지분으로 받은 대상은 다음과 같다" 목록에서 2015년[한국방송대상] 삭제한다. * 4번 문단 수상 영상 모음 중 '한국방송대상 대상' 동영상 중에 각주로 "무한도전 작품상"임을 명시한다. * 관련 이야기나 기타 문단에서 "유재석이 출연한 무한도전이 한국방송대상 대상을 수상했다"는 취지의 서술은 허용한다. }}} ||}}}}}}}}} || ||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include(틀:유재석)]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유재석의 기타 수상 및 기록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한국방송대상|[[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width=40]]]] '''[[한국방송대상|{{{#FFFFFF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1 대상}}}}}}''' || || [[정도전(드라마)|정도전]][br](2014년) || {{{+1 →}}} || '''무한도전[br](2015년)'''[* 무한도전 작품상이며 당시 유재석, 정형돈, 박명수, 정준하, 하하, 황광희 그리고 김태호 PD가 무대에 올랐다.] || {{{+1 →}}} || [[SBS]][br](2016년)[* '한국형 전투기 KF-X 핵심기술 이전 거부' 단독보도 및 KF-X 사업 관련 연속보도] || ---- ||<-5> '''{{{+1 [[한국PD대상|{{{#FFFFFF 한국PD대상}}}]]}}}''' || ||<-5> '''{{{#FFFFFF {{{+1 TV진행자상}}}}}}''' || || [[정진영(배우)|정진영]][br](2005년) || {{{+1 →}}} || '''유재석'''[br][[노현정]][br]'''(2006년)''' || {{{+1 →}}} || [[이금희]][br](2007년) || || [[강호동]][br](2008년) || {{{+1 →}}} || '''유재석[br](2009년)''' || {{{+1 →}}} || [[김제동]][br](2010년) || || [[박미선]][br](2020년) || {{{+1 →}}} || '''유재석[br](2021년)''' || {{{+1 →}}} || [[윤택]][br][[이승윤(개그맨)|이승윤]][br](2022년) || ---- ||<-5> {{{+1 [[국제앰네스티|[[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width=40]]]] '''[[국제앰네스티|{{{#000000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 ||<-5> '''{{{#000000 {{{+1 특별상}}}}}}''' || || [[JTBC]][* [[세월호 참사]] 연속보도][br](2014년) || {{{+1 →}}} || '''무한도전 / 김태호[* [[배달의 무도]].][br](2015년)''' || {{{+1 →}}} || [[JTBC 뉴스룸]][* 최순실 태블릿PC 입수 보도][br](2016년) || ---- }}} || [목차] == 개요 == [[유재석]]의 수상 내역을 정리한 문서이다. == 수상 내역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5A1B1, #E20460, #7B68EE, #234794, #4169E1)" {{{#FFFFFF 유재석의 수상 내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5A1B1, #E20460)" {{{#FFFFFF 시상식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0460, #7B68EE)" {{{#FFFFFF 수상 부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B68EE, #234794)" {{{#FFFFFF 작품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4794, #4169E1)" {{{#FFFFFF 비고}}}}}}''' || ||<-4> {{{#000000,#FFFFFF {{{-1 ※ 수상한 순서대로 작성합니다.}}} }}} || ||<-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1990년대 ~ 2000년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FFFFFF 1991년}}}''' || || 제1회 [[KBS]] 대학개그제 || '''장려상'''[* 이 때 더 높은 상을 받을 줄 알았다가 장려상을 받아서 실망해서 주머니에 손 넣고 거만하게 받아서 선배 개그맨들에게 인사하러 갔다가 "상 거만하게 받은 놈 누구야."라면서 찍혔다고 한다.(개그계에 똥군기가 만연한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 몰론 이건 유재석이 잘못 한건 맞기에 본인도 후에 무한도전에서 이걸 보여주자 "거만하기 짝이 없는 행동이고 정당화될 수 없는 행동이다."라고 본인을 셀프 디스한다.] || || 정식 데뷔[* 공식 데뷔는 아니지만 1989년(당시 용문고 2학년 때) [[KBS]] <비바청춘>에 출연해 홍콩 영화 [[영웅본색 2]]에 나오는 [[장국영]]의 공중전화 장면을 개그 콩트로 연기했다.[[https://youtu.be/PRNnUUrEwqg?t=3100|영상 보기]]] || ||<-4> '''{{{#FFFFFF 2000년}}}''' || || [[MBC 연기대상]] || '''MC부문 특별상''' ||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 || [* MBC 방송연예대상이 열리기 전에 연기대상에서 시상하였다.] || ||<-4> '''{{{#FFFFFF 2002년}}}''' || || [[KBS]] || 방송진행상 || [[슈퍼 TV 일요일은 즐거워]] || || ||<-4> '''{{{#FFFFFF 2003년}}}''' || || [[KBS 연예대상]] || '''TV 진행 부문 최우수상''' || [[슈퍼 TV 일요일은 즐거워]],[br][[해피투게더(KBS)/1기|해피투게더 1]] || || || [[MBC 방송연예대상]] || '''쇼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 [[느낌표(MBC)|느낌표!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 || ||<-4> '''{{{#FFFFFF 2004년}}}''' || || [[SBS 연기대상]][* SBS 연예대상은 2006년에 신설되었다.] || '''TV MC 부문 특별상''' || [[진실게임(예능)|진실게임]], [[일요일이 좋다]] || || ||<-4> '''{{{#FFFFFF 2005년}}}''' || || [[KBS 연예대상]] || '''대상''' || [[해피투게더(KBS)/프렌즈|해피투게더 2]] || '''첫 대상''' || ||<-4> '''{{{#FFFFFF 2006년}}}''' || || 제9회 푸른 미디어상 || 언어상 || || || || [[백상예술대상|제42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예능상''' || [[일요일이 좋다]] || || || [[한국PD대상|제18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 '''TV 진행자상''' || [[무한도전]] || || || [[MBC 방송연예대상]] || '''대상''' || [[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 || ||<-4> '''{{{#FFFFFF 2007년}}}''' || || 제8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 남자 코미디언 부문[br]포토제닉상 || || || || 모바일 연예대상 || MC상 || || || || [[MBC 방송연예대상]] || '''대상''' || [[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 무한도전으로는 팀 자격으로[br][[이순재]]와 공동 수상 || || 제10회 푸른 미디어상 || 푸른 방송인상 || || || ||<-4> '''{{{#FFFFFF 2008년}}}''' || || 제89회 전국체육대회 || 에어로빅 동호인[* 동호인부 경기는 시도별 순위 산정에 직접 반영되지 않는다.][br]일반부 6인조 '''2위''' || || || || [[Mnet]] 20's Choice || '''버라이어티 스타 부문''' || || || || [[SBS 연예대상]] || '''대상''' || [[패밀리가 떴다]],[br]기적의 승부사(기승史) || 2번째 3사 연예대상 석권[* 약 22시간 전 [[강호동]]이 [[MBC 방송연예대상]]서 수상하여 첫 번째로 3사 연예대상 석권하였다.] || ||<-4> '''{{{#FFFFFF 2009년}}}''' || || [[한국PD대상|제21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 '''TV 진행자 부문 출연자상''' ||<|2> [[무한도전]] || || ||<|2> [[MBC 방송연예대상]] || '''PD상''' || 무한도전 멤버들 공동 수상 || ||<|2> '''대상''' || [[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 || ||<|2> [[SBS 연예대상]] ||<|2> [[패밀리가 떴다]] || [[이효리]]와 공동 수상 || || 베스트 팀워크상 || [[패밀리가 떴다]] 팀 자격으로 수상 || }}}}}}}}} || ||<-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FFFFFF 2010년}}}''' || || [[MBC]] || 우리말 지킴이 나무상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 || || || 제5회 에이어워즈 || 최고의 블랙칼라 워커 || || || || [[KBS 연예대상]] || 베스트 팀워크상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 || 해피투게더 3 팀 자격으로 수상 || || [[MBC 방송연예대상]] || '''대상''' || [[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 || || [[SBS 연예대상]] || 창사 20주년 10대 스타상 || || [[이홍렬]], [[강호동]], [[이영자]], [[이경규]], [[남희석]], [[이봉원]], [[신동엽]], [[김용만]], [[이효리]]와 공동 수상 || ||<-4> '''{{{#FFFFFF 2011년}}}''' || || [[MBC 방송연예대상]] || '''쇼/버라이어티 부문 남자 최우수상''' || [[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 [* 사실상 대상 수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최우수상을 받게 되어 [[정형돈]]은 무관에 그치고 말았다. 2019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부캐로 신인상을 타기 전까지는 유일한 비(非)대상 수상이었다. 그 당시 MBC는 욕을 많이 먹은 건 덤.] || || [[SBS 연예대상]] || '''대상''' || [[런닝맨]] || || ||<-4> '''{{{#FFFFFF 2012년}}}''' || || [[대중문화예술상|제3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국무총리 표창''' || || || || KoreanUpdates Awards || '''MC OF THE YEAR''' || [[무한도전]], [[런닝맨]] || [[https://youtu.be/PqZY_tiRmHU?t=200|#]] || || [[MBC 방송연예대상]] || '''PD상''' || [[공감토크쇼 놀러와]], [[무한도전]] || [* 기사 및 자막으로만 알려졌던 놀러와의 폐지 소식에 대해 직접 상을 받으며 폐지에 대한 안타까움과 속상함을 토로했다.] || ||<|2> [[SBS 연예대상]] ||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상 ||<|2> [[런닝맨]] || || || '''대상''' || || ||<-4> '''{{{#FFFFFF 2013년}}}''' || || '''[[백상예술대상|제49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대상''' || - || [* 무한도전과 런닝맨으로 남자예능상 후보에 오른 자격으로 대상을 받았다. 다만 대상 발표 당시 프로그램명 언급 없이 유재석이라고만 호명되었고 홈페이지에도 유재석이라고만 써 있다.][* 해피투게더3도 포함하여 대상을 수상했다는 내용을 서술한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21/0000283366|제도권 언론의 기사]]도 있다.][* TV 부문과 영화 부문에서 각각 대상 하나씩을 선정하는데, 배우, 예능인, 감독, PD, 작가, 작품 등을 총망라하여 사람이나 작품이 모두 수상할 수 있다. 2013년 영화 부문 대상은 [[류승룡]]이, TV 부문 대상은 유재석이 받았다.][* 백상예술대상은 원래 TV 부문을 먼저 발표하고 그 뒤에 영화 부문을 발표하는데, 특이하게 이 해는 TV 부문이 나중에 발표되었다. 시상자인 [[강호동]]은 2008년에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상을 받았는데, 예능인이 받은 건 강호동이 최초. 이후 유재석이 이 상을 받음으로써 두 번째 그랜드슬램을 달성.] || || KoreanUpdates Awards || '''MC OF THE YEAR''' || [[무한도전]], [[런닝맨]] || [[https://koreanupdates.com/2013/12/15/2013-koreanupdates-awards-results/|#]] || || [[SBS 연예대상]] ||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상 || [[런닝맨]] || 런닝맨 멤버들 공동 수상 || ||<-4> '''{{{#FFFFFF 2014년}}}''' || || [[KBS 연예대상]] ||<|2> '''대상'''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 [[나는 남자다]] || [* KBS에서 오랜만에 받는 대상이었기 때문에 당시 MBC 무한도전에서는 물의를 일으켜 하차한 노홍철, 길의 자리를 보충하는 수장의 역할을 해냈고, SBS 런닝맨에서는 MC와 플레이어로서(런닝맨은 7명의 MC와 그 외의 게스트들이 이끌지만 이들을 이끄는 메인 MC는 유재석이기 때문) 4년간 활약해왔기 때문에 연예대상 최초 당해년도 트리플 크라운(트레블)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이 유력했으나 가장 마지막에 개최된 SBS 연예대상에서 이경규가 대상을 받으며 무산되었다.] || || [[MBC 방송연예대상]] || [[무한도전]] || 100% 문자투표[* 677,183표 중 총 '''442,485표 (65.3%)''' 획득] || || [[SBS 연예대상]] ||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상 || [[런닝맨]] || || ||<-4> '''{{{#FFFFFF 2015년}}}''' || || [[한국방송대상|제42회 한국방송대상]] || '''대상''' ||<|2> [[무한도전]] || [* 무한도전 작품상으로 수상, 당시 무한도전 멤버들과 김태호 PD와 함께 무대에 올랐다.] || || [[MBC 방송연예대상]] || '''공로상''' || 무한도전 멤버들 공동 수상 || ||<|2> [[SBS 연예대상]] ||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상 ||<|2> [[런닝맨]],[br][[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 || || '''대상''' || [[김병만]]과 공동 수상 || ||<-4> '''{{{#FFFFFF 2016년}}}''' || || InStyle 스타 아이콘 || '''예능인 남자 부문''' || || || || [[KBS 연예대상]] || 베스트 팀워크상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 || 해피투게더 3 팀 자격으로 수상 || || [[MBC 방송연예대상]] || '''대상''' || [[무한도전]] || || ||<-4> '''{{{#FFFFFF 2017년}}}''' || || [[SBS 연예대상]] || 글로벌 스타상 || [[런닝맨]] || 런닝맨 팀 자격으로 수상 || ||<-4> '''{{{#FFFFFF 2018년}}}''' || || [[대중문화예술상|제9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대통령 표창''' || || || || [[SBS 연예대상]] || 베스트 팀워크상 || [[런닝맨]] || 런닝맨 팀 자격으로 수상 || ||<-4> '''{{{#FFFFFF 2019년}}}''' || || [[KBS 연예대상]] || 베스트 팀워크상 ||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4]] || 해피투게더 4 팀 자격으로 수상 || ||<|2> [[SBS 연예대상]] || '''글로벌 프로그램상'''[* 런닝맨 10년에 대한 공로상격 상이다.] ||<|2> [[런닝맨]] || 런닝맨 팀 자격으로 수상 || || '''대상''' || || ||<|2> [[MBC 방송연예대상]] || 남자 신인상 ||<|2> [[놀면 뭐하니?]] || 트로트 가수 [[유재석/유산슬|유산슬]]이라는 예명으로 수상[* '''데뷔 만 28년 만'''에 신인상을 받았다. 예전 93년 KBS 코미디 대상서 신인상 후보에 올랐으나 불발된 적이 있다. 사실 데뷔년도(1991년 데뷔) 다음 해인 92년 코미디 대상에는 후보에도 못 들었다.][* 2011년 최우수상 이후 8년 만에 다시 비(非)대상 수상] || || '''올해의 예능인상''' || [*대상후보 당해 대상 후보들에게만 주어지는 것으로 무관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 || }}}}}}}}} || ||<-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FFFFFF 2020년}}}''' || || 2020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 '''예능인 남자 부문''' || || || || [[제56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예능상''' || [[놀면 뭐하니?]] ||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수상자가 남자 예능상을 다시 탄 최초의 사례] || ||<|2> 2020 올해의 브랜드 대상 || '''예능인 남자 부문''' || || [* 유재석은 예능인 남자 부문만 아니라 [[싹쓰리]], [[유 퀴즈 온 더 블럭]], [[놀면 뭐하니?]]까지 본인 관련 부분에서 4관왕을 차지했다.] || || 핫아이콘 부문 || || [[싹쓰리]]로 수상 || || [[CJ ENM 선정 비저너리/수상자#s-2.1|2020 비저너리]] || TOP 10 || || [* [[김은희(각본가)|김은희]], [[김태호(PD)|김태호]], [[박지은]], [[방탄소년단]], [[봉준호]], [[BLACKPINK]], [[비(연예인)|비]], [[송강호]], [[신원호(PD)|신원호]] 이하 초대 수상자들과 공동 수상][* 2020 MAMA에서 호스트 [[송중기]]에 의해 소개되었다.][* [[https://youtu.be/ani64A4E4Js|2020 MAMA 소개 장면]]] || || 2021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 '''남자 예능인''' || ||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yjs&no=277047&page=1]]][* [[http://fba.kcforum.co.kr/2021/winner.php|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홈페이지]]] || || [[SBS 연예대상]] || '''골든콘텐츠상'''[* 라디오 DJ가 오랫동안 진행했을 때 받는 상인 [[골든 마우스]]를 본따서 만든 상이라고 하며, 10년 이상 진행한 프로그램에게 주는 상이다. 수상 팀에게는 순금과 함께 100만원 상당의 상금이 주어진다. 사실상 공로상 격이다.] || [[런닝맨]] || 런닝맨 멤버들 공동 수상 || ||<|3> [[MBC 방송연예대상]] || 베스트 커플상 ||<|3> [[놀면 뭐하니?]] || with [[이효리/천옥|천옥]][* [[유재석/지미 유|지미유]] 부캐로 수상][* 유재석 수상 커리어 사상 첫 베스트 커플상] || || '''올해의 예능인상''' || [*대상후보] || || '''대상''' || [* 이로써 유재석에게 놀면 뭐하니?는 MBC 방송연예대상서 세 번째로 대상을 수상한 프로그램이 된다. 첫 번째와 두 번째는 각각 [[무한도전]](2006~2007, 2009~2010, 2014, 2016), [[놀러와]](2006~2007, 2009~2010)이었으며 두 프로그램 종영 이후 받는 첫 대상이기도 하다.][* 이로써 유재석은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세 시대에 걸쳐 대상을 수상'''한 인물이 되었다.] || ||<-4> '''{{{#FFFFFF 2021년}}}''' || || [[한국PD대상|제33회 한국PD대상]] || '''TV 진행자상''' || [[놀면 뭐하니?]] || 2009년 마지막 수상 이후 무려 12년 만에 수상 || || 2021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 '''예능인 남자 부문''' || || 2년 연속 수상 || || '''[[제57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대상''' || || [* '''예능인 최초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2회, 남녀 예능인 통들어 최초의 기록'''] || || 2021 올해의 브랜드 대상 || '''예능인 남자 부문''' || || 2년 연속 수상 || || [[한국방송대상|제48회 한국방송대상]] || '''남자 최우수 예능인상 연예오락부문''' || [[놀면 뭐하니?]] || 무한도전 프로그램 대상 이후 유재석 개인으로는 사상 최초로 수상[* 예능인상 부문을 최우수 예능인상으로 격상하여 시상, 남녀 구분으로 시상 시작함. 최우수 예능인상 개편 이후 김숙과 함께 최초의 수상자] || || 제3회 한복사랑 감사장 수여식[* 다른 명칭은 2021 가을 한복사랑 감사장 수여식이다.] || 올해 한복사랑 감사장 || || 놀면 뭐하니? 제작진과 공동 수상[* 그 외에도 브레이브걸스, 다크비, 전주 시내버스 기사 293명, (주)이랜드월드, 올해 한복교복 도입 결정한 19개교, 국립한글박물관 직원 등이 공동 수상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14&aid=0004722229|#1]][[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788464|#2]] || || [[CJ ENM 선정 비저너리/수상자#s-2.2|2021 비저너리]] || TOP 6 || || [* [[방탄소년단]], [[aespa]], [[윤여정]], 최정남, [[황동혁]]과 공동 수상][* 2년 연속 수상][* 2021 비저너리 시상식서 수상소감 남겼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3009038|#]]] || || [[SBS 연예대상]] || '''올해의 예능인상''' || [[런닝맨]] || [*대상후보][* 격리 중이어서 대신 등신대로 나왔으며 지석진과 김종국이 대리수상하였다.] || ||<|3> [[MBC 방송연예대상]] || 베스트 커플상 ||<|3> [[놀면 뭐하니?]] || with [[하하(가수)|하하]], [[이미주]] || || '''올해의 예능인상'''[br] || [*대상후보] || || '''대상''' || || ||<-4> '''{{{#FFFFFF 2022년}}}''' || || 2022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2> '''예능인 남자 부문''' || ||<|2> 3년 연속 수상 || || 2022 올해의 브랜드 대상 || || || 제2회 초록우산 어워드 || 인물 부문 우리들의 우상 || || [[https://naver.me/xjLi0JLI|#1]][[https://www.instagram.com/p/Clnpq5eP6EQ/|#2]] || ||<|2> [[SBS 연예대상]] || 올해의 커플상 ||<|2> [[런닝맨]] || with [[김종국]] || || '''대상''' || || || 제27회 소비자의 날 시상식 || '''예능 부문 방송인상''' || [[놀면 뭐하니?]], [[유 퀴즈 온 더 블럭]] || [[http://www.segyebiz.com/newsView/20221229514488?OutUrl=naver|#]] || || [[MBC 방송연예대상]] || '''올해의 예능인상''' || [[놀면 뭐하니?]] || [*대상후보] || ||<-4> '''{{{#FFFFFF 2023년}}}''' || ||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 공사창립 50주년 기념[br][[한국방송공사|KBS]]를 빛낸 50인상 || || [* [[한국방송공사|KBS]]가 공사창립 50주년을 맞이한 기념으로 시청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한국방송공사|KBS]]를 빛낸 50인’에 선정되었다. [[https://kbs50.kbs.co.kr/|공식 링크]] 3월 2일 오전, [[한국방송공사|KBS]] 공개홀에서 열린 ‘공영방송 5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KBS를 빛낸 50인'에 선정된 인물들이 발표되었다. 이 자리에는 선정된 50인 중에 방송인 [[김동건(방송인)|김동건]], 배우 [[최불암]], 배우 [[유동근]], 방송인 [[김신영]], 드라마 연출가 [[윤석호]] 등이 참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상을 수상하였으며, 수상에 대한 증표로 트로피를 받았다. [[https://youtu.be/Db-VDxD9be8|KBS 뉴스 보도 영상]] 참석하지 않은 연예인들에게도 별도로 트로피가 전달 됐을 것으로 보이며, 선정된 각 연예인들의 포탈 사이트 다음 프로필 수상 목록에도 올라가 있다.] || || 2023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 '''예능인 남자 부문''' || || 4년 연속 수상 [[https://twitter.com/kcforum/status/1653280886379675648?t=7_M3nyLj93j_K41ibNUnPA&s=19|#]] || || [[제2회 청룡시리즈어워즈]] || '''남자 예능인상''' || [[플레이유 레벨업 : 빌런이 사는 세상]] || || || 2023 올해의 브랜드 대상 || '''예능인 남자 부문''' || || 4년 연속 수상 [[https://twitter.com/kcforum/status/1699599228312715542?t=8ya17sfAJ6UBAHmgXvy9kQ&s=19|#]] || ||<|2> 2023 펀덱스 어워드 대상 || '''펀덱스 비드라마 출연자 대상''' || [[놀면 뭐하니?]] ||<|2> [[https://naver.me/xwWGt6g8|#]] || || 화제성 총합 최우수상 || [[놀면 뭐하니?]] 외 7편[* 기사에는 지난 1년 간 출연한 모든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화제성 점수를 집계한 순위이기 때문에 1년 간의 모든 출연작이 포함된다.] || }}}}}}}}} || === 음악 방송 1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5EA3, #0CB1D1)" {{{#FFFFFF '''유재석의 음악 방송 1위 기록'''}}}}}}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방송명''' || '''곡명''' || '''비고''' || || 2020년 7월 30일 || [[엠카운트다운|Mnet 엠 카운트다운]] ||<|3> [[다시 여기 바닷가]][br](3회) || '''음악 방송 첫 1위[br]엠카운트다운 첫 1위[br]코미디언 최초 음악 방송 1위''' || || 2020년 8월 1일 ||<|2> [[쇼! 음악중심|MBC 쇼! 음악중심]] || '''지상파 방송 첫 1위[br]쇼! 음악중심 첫 1위''' || || 2020년 8월 22일 || '''통산 2주 1위'''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5EA3, #0CB1D1)" {{{#FFFFFF '''총 3회 1위'''}}}}}} || }}}}}}}}} || == 역대 대상 수상 == || '''연도''' || '''[[KBS 연예대상|{{{#FFFFFF KBS 연예대상}}}]]''' || '''[[MBC 방송연예대상|{{{#FFFFFF MBC 방송연예대상}}}]]''' || '''[[SBS 연예대상|{{{#FFFFFF SBS 연예대상}}}]]''' || '''[[백상예술대상|{{{#FFFFFF 백상예술대상}}}]]''' || || '''2005년''' || [[해피투게더(KBS)/프렌즈|해피투게더 2]] || - || - || - || || '''2006년''' || - || [[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 - || - || || '''2007년''' || - || [[무한도전]][* [[무한도전]] 팀, [[이순재]] 공동수상.],[br][[공감토크쇼 놀러와]] || - || - || || '''2008년''' || - || - || [[패밀리가 떴다]][br]기적의 승부사(기승史) || - || || '''2009년''' || - ||<|2> [[무한도전]],[br][[공감토크쇼 놀러와]] || [[패밀리가 떴다]][* [[패밀리가 떴다]] 멤버인 [[이효리]]와 공동 수상했다.] || - || || '''2010년''' || - || - || - || || '''2011년''' || - || - ||<|2> [[런닝맨]] || - || || '''2012년''' || - || - || - || || '''2013년''' || - || - || - || 수상[* 무도와 런닝맨으로 남자예능상 후보에 오른 자격으로 대상을 받았다. 다만 대상 발표 당시 프로그램명 언급 없이 유재석이라고만 호명되었고 홈페이지에도 유재석이라고만 써있다.][* 추가로 해피투게더3도 포함하여 대상을 수상했다는 내용을 서술한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21/0000283366|제도권 언론의 기사]]도 있다.][* 백상예술대상 역사상 최초로 TV부문 대상이 엔딩을 장식했다. 7년 뒤인 2020년 동백꽃 필 무렵이 엔딩을 장식하게 된다.] || || '''2014년'''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br][[나는 남자다]] || [[무한도전]] || - || - || || '''2015년''' || - || - || [[런닝맨]],[br][[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김병만]]과 공동 수상] || - || || '''2016년''' || - || [[무한도전]] || - || - || || '''2017년''' || - || - || - || - || || '''2018년''' || - || - || - || - || || '''2019년''' || - || - || [[런닝맨]] || - || || '''2020년''' || - ||<|2> [[놀면 뭐하니?]] || - || - || || '''2021년''' || - || - || 수상[* '''남녀 예능인 통들어 최초의 예능인 2관왕'''] || || '''2022년''' || - || - || [[런닝맨]] || - || ||<-5> '''역대 최다 대상 수상자로 12년 연속 수상 기록, 총 19회 수상. [[트리플 크라운]] 및 [[그랜드 슬램]] 기록.''' || 한 프로그램 지분으로 받은 대상은 다음과 같다. *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2회(2005[*첫대상], 2014) * [[무한도전]]: 6회(2006, 2007[*단체수상], 2009~2010, 2014, 2016) * [[공감토크쇼 놀러와]]: 4회(2006~2007, 2009~2010) * [[패밀리가 떴다]]: 2회(2008~2009) * 기적의 승부사(기승史): 1회(2008) * [[런닝맨]]: 5회(2011~2012, 2015, 2019, 2022) * [[나는 남자다]]: 1회(2014) *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1회(2015) * [[놀면 뭐하니?]]: 2회(2020~2021) KBS를 제외한 MBC와 SBS에서는 최다 대상 수상기록까지 가지고 있다.[* SBS&MBC에선 최고 기록이고, KBS에서는 2022년에 [[신동엽]]이 10년 주기로 역대 3번째 대상 트로피를 거머쥐게 되면서 KBS 최다 대상 수상자는 아쉽게 깨졌다.] * [[MBC 방송연예대상]]: 8회 * [[SBS 연예대상]]: 7회 * [[백상예술대상]]: 2회 == 수상 영상 모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5bd, #012169, #012169, #012169, #012169, #012169, #012169, #0065bd)" {{{#FFFFFF '''유재석의 대상 수상 장면 모음'''}}}}}}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B7FDA,#2449A4,#5B7FDA)" {{{#FFFFFF '''KBS 연예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xkTC6O7AtU, start=7435)]}}}||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mkTAFWP_d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B7FDA,#2449A4)" {{{#FFFFFF '''2005 KBS 연예대상[br]대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49A4,#5B7FDA)" {{{#FFFFFF '''2014 KBS 연예대상[br]대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8BBCC,#334555,#A8BBCC)" {{{#FFFFFF '''MBC 연예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sJfLUi8-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hl3ZeWPhgQ)]}}}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8BBCC,#334555)" {{{#FFFFFF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 모음[br](2006, 2007, 2009, 2010, 2014, 2016)'''}}}}}}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4555,#A8BBCC)" {{{#FFFFFF '''2020 MBC 방송연예대상[br]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r38bm4BMg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8BBCC,#334555)" {{{#FFFFFF '''2021 MBC 방송연예대상[br]대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4555,#A8BBCC)" {{{#FFFFFF '''미[br]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C4FF,#00558F,#70C4FF)" {{{#FFFFFF '''SBS 연예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0xvl3GtRc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XMZcX6wp0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C4FF,#00558F)" {{{#FFFFFF '''2012 SBS 연예대상[br]대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8F,#70C4FF)" {{{#FFFFFF '''2019 SBS 연예대상[br]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GCvhRjk1H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C4FF,#00558F)" {{{#FFFFFF '''2022 SBS 연예대상[br]대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C4FF,#00558F)" {{{#FFFFFF '''미[br]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C000,#C0C000,#C0C000)" {{{#FFFFFF '''백상예술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VONAvmlJ3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53wbRAHdu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C000,#C0C000)" {{{#FFFFFF '''2013 제49회 백상예술대상[br]TV부문 대상'''[* 백상예술대상 역사상 최초의 TV부문 대상 엔딩이다. 2020년 동백꽃 필 무렵이 엔딩을 장식하였으나 봉준호 감독의 불참으로 엔딩은 맡은 것을 생각한다면 진정한 의미에서의 TV부문 대상 엔딩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C000,#C0C000)" {{{#FFFFFF '''2021 제57회 백상예술대상[br]TV부문 대상'''[* 당시 이 때 참석한 배우들의 태도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는데 당시 같이 상을 받은 이준익 감독에게는 기립박수를 하는 등 축하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유재석이 수상할 때는 박수를 그냥 앉아서 치거나 아예 안 치는 등 여러 무례한 태도를 보여 시청자들에게 실망을 주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0654,#140654,#140654)" {{{#FFFFFF '''한국방송대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WNAUw_y4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0654, #140654, #140654)" {{{#FFFFFF '''2015 제42회 한국방송대상[br]대상'''[* 출연한 '무한도전'이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0654, #140654, #140654)" {{{#FFFFFF '''미[br]정'''}}}}}}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7760FF, #9543FF)" {{{#FFFFFF '''유재석의 수상 영상 모음'''}}}}}}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ro7fJMjjy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2zBX0nU-t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FFFFFF '''2012 SBS 연예대상[br]인기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7BFE, #7760FF, #9543FF)" {{{#FFFFFF '''2015 SBS 연예대상[br]인기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KQirvmk1h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fwl4Vewok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FFFFFF '''2019 MBC 방송연예대상[br]남자 신인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7BFE, #7760FF, #9543FF)" {{{#FFFFFF '''2019 MBC 방송연예대상[br]올해의 예능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QJJ9dh-1n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3HNxEIaLO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FFFFFF '''2020 제56회 백상예술대상[br]남자 예능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7BFE, #7760FF, #9543FF)" {{{#FFFFFF '''2020 MBC 방송연예대상[br]올해의 예능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qeWjLwimms)]}}}|| [youtube(sqH2CPZv2xQ)]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FFFFFF '''2020 MBC 방송연예대상[br]커플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7BFE, #7760FF, #9543FF)" {{{#FFFFFF '''2021 MBC 방송연예대상[br]올해의 예능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_dFZmGYBF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h6JmNFMB1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FFFFFF '''2021 MBC 방송연예대상[br]베스트 커플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7BFE, #7760FF, #9543FF)" {{{#FFFFFF '''2022 SBS 연예대상[br]베스트 커플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QDs-2K3zd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B3FE, #3F97FE, #5A7BFE)" {{{#FFFFFF '''2022 MBC 방송연예대상[br]올해의 예능인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A7BFE, #7760FF, #9543FF)" {{{#FFFFFF '''미[br]정'''}}}}}} || }}}}}}}}} || == 관련 이야기 == 오랜 무명 생활처럼 유재석은 원래 상복이 좋지 못했다. 신인 시절에는 1993년 KBS 코미디대상 신인상 후보에 이름을 올린 것이 전부였고, MC로 어느 정도 안착한 후에도 한동안 상과는 인연이 없었다.[* 2000년 MBC 연기대상 MC부문 특별상과 2002년 KBS 사내 시상식에서 진행자상을 받은 것이 전부.] 그러다가 2003년 KBS와 MBC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2004년 SBS 연기대상 TV MC부문 특별상을 수상하면서 상복이 조금씩 트이기 시작했다. 2005년 [[해피투게더(KBS)/프렌즈|해피투게더 프렌즈]]로 KBS 연예대상을 받으면서 첫번째 대상을 수상했고, 이듬해 [[백상예술대상]] 예능상까지 수상하며 명실상부한 정상급 MC로 자리잡았다. 2006년 MBC 방송연예대상을 수상하면서 역대 최초로 두 방송사에서 연예대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다음해에는 [[무한도전]] 팀으로 대상을 받으면서 최초의 단체 대상 기록을 세웠다. 2008년 SBS 연예대상을 수상하며 예능인으로서 두 번째[* 강호동이 하루 전날 열린 MBC 연예대상 시상식에서 먼저 대상을 수상, 예능인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지상파 3사 [[연예대상]]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2010년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으로 방송사 연예대상 타이틀을 7개나 가지게 되면서 10년 선배인 [[이경규]][* 이경규는 81년 데뷔, 유재석은 91년 데뷔.]와 타이 기록을 세웠다. 물론 방송 3사를 마음대로 넘나드는 지금과 타 방송국 이름조차 입에 담을 수 없었던 시대를 단순 비교를 할 수는 없다. 실제로 이경규가 탄 대상 중 6개는 MBC에서만 탔던 것. 당시 예능인들은 주로 특정 방송국에 소속된 개그맨으로, 타 방송국을 오가며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다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었다. [[김국진]] 항목의 [[감자골]] 사태를 참조. 당시에는 다른 방송국으로 이적할 것이라는 소문만으로도 '''방송 3사 코미디언들이 모두 특정 방송사에 찾아가 녹화를 방해하던 시기였다. 게다가 타 방송국에 가서 방송하려 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코미디언 협회에서 제명당하던 시절이었다.''' 2011년, 수상이 확실했던 MBC에서는 뜬금없이 '''대상을 개인이 아닌 프로그램에 주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바꿔서''' [[나는 가수다]]에 대상을 떠먹여주는 바람에 대상 대신 최우수상을 받았다(…).[* 유재석이 탑으로 자리잡은 이후 대상을 못 받으면 못 받았지 최우수상을 받는 경우는 없었다.] 누가 봐도 평소에 무한도전을 밉상으로 생각했던 MBC 사장 김재철이 내릴 법한 지시였지만[* 당시 무너져가던 MBC의 일요일 프라임타임 시청률을 되살린 나가수의 화제성은 놀라웠지만, 재도전 논란 등의 내적 요인으로 서서히 침체기에 빠지고 있었다. 엄연히 베스트 프로그램상 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시상 기준까지 바꾸어 가며 최우수상을 쥐여준 것은 이전에도 이후에도 볼 수 없는 일이었다. 결국 나는 가수다까지 덤으로 까였다. 김재철은 사장으로 임명되자마자 예능 중 광고단가 1위, MBC 프로 중 순이익 3위 안에 드는 무한도전의 제작비를 전격 삭감하였고, 더불어 새로운 방통위 원장의 취임 후 무한도전은 전에 없는 집중적인 검열을 당했다.] 오히려 시상자로 나온 김재철은 수상자 명단을 보고 "예상을 깨고..."라는 [[개드립]]을 치는 바람에 더 까이고 있다.[* 사실 나가수에서 순위 발표할 때 맨날 의외, 예상을 깬다고 하는 걸 나름 패러디한 것 같긴 하지만(…).] 평소에 공식 석상에서 말조심하기로 둘째 가라면 서러울 사람이지만 2011 MBC 연예대상 최우수상을 받고 난 후 소감 마지막에 '''"내년에는 방통위도 웃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고 하여 방통위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그 동안 드러내진 못했지만 얼마나 고민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겠다. 2011년 마지막 연예대상인 SBS 연예대상을 수상함으로써 8개 연예대상 수상으로 '''최다 연예대상 수상'''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또한 대상 수상 소감을 말할 때 올해 초반 런닝맨이 힘들었다는 점을 언급, 제작진과 출연진, 그리고 지금은 하차한 [[송중기]]와 [[박수영(1992)|리지]]에게까지 고맙다고 말했으며 잠정 은퇴 후 칩거 중이었던 [[강호동]]까지 언급, 둘의 우정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시간이 좀 남아서 그의 아내인 [[나경은]]에게 영상편지를 보냈다. 이듬해인 2012년 역시 SBS에서 연예대상을 수상, '''9개 연예대상 수상'''으로 최고 기록을 다시 한 번 경신해버렸다. 연속 기록으로는 2005년부터 8년 연속 대상이다.[* 연예대상은 아니지만 이전까지 대상 최다 연속 타이틀은 조용필의 7년 연속 대상 기록.] 이 쯤 되면 진짜로 적수를 찾아볼 수가 없을 정도. 게다가 이 수상 경력과 그의 행보를 비교해보면 과대평가는 절대 아니라 도리어 과소평가받았다는 느낌이 든다. 수상소감에서 "강호동과 함께할 수 있었던 것에 기뻤다."라며 다시 한 번 강호동과의 친분을 드러냈으며, 이 외에도 "염치없이 대상을 받아버렸다."와 같은 겸손한 멘트까지 빠지지 않았다. 매년 대상을 수상하고 있지만 KBS에서는 2005년 이후로 상복이 없었다. KBS에서 해피투게더 시즌3 하나 하고 있는데 해투가 예전 같은 인기를 얻지 못하고 평타만 치고 있기 때문. 해투에서 2013년 대상 후보에 유재석과 김준호가 올랐다는 얘기를 하면서, 유재석에게 대상 욕심나지 않느냐고 하자 "제가 염치가 있지……." 라고 말해서 웃음을 주기도 했다. 2013년 KBS에서는 김준호, MBC에서는 [[아빠! 어디가?]] 팀, SBS에서는 김병만이 대상을 수상하며 유재석의 '지상파 3사 연예대상 연속 수상 기록'은 드디어 끝이 났다. 그러나 이걸 가지고 '무관'을 운운하며 자극적인 기사를 뽑아내는 [[기레기]]들의 행태가 우스울 수 밖에 없는 것이, '연예대상 무관'이라는 정확한 표현도 아니고 그냥 무관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종합예술상 중 권위로 치면 국내에서 최고인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을 무시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은 개인(예능인, 연기자, 작가, PD)과 프로그램 모두 후보가 될 수 있으며, TV를 통해 방영되는 콘텐츠, 즉 드라마와 예능 부문 모두를 포괄하여 주는 상이고, 당연히 방송사 구분 없이 통합해서 주는 상이다. 따라서 유재석의 TV부문 대상은 굳이 지상파 3사의 대상에 빗대자면 '''KBS, SBS, MBC 3사의 연기대상과 연예대상을 통합해서 뽑은 대상'''이라고 봐도 무방한 것이다.[* 실제로 저 당시 유재석은 '''런닝맨, 무한도전, 해피투게더'''를 동시에 하고 있었다. 비록 런닝맨이 침체기였지만 무도는 토요 예능 1인자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며(스타킹이 바짝 쫓아오긴 했다), 해피투게더의 인기도 건재했다. 게다가 그 침체한 런닝맨도 10% 초반대는 나왔으며, 세 방송사에서 손꼽히는 프로그램 3개를 동시에 진행하는 만큼 당시에도 김병만이나 김준호를 압도하는 위상과 인기를 유지하고 있던 게 유재석이었다. 다만 종합적으로 보면 유재석이 단연 예능 1인자였지만 'SBS 내에서 김병만,' 'MBC 내에서 아빠! 어디가?' 이런 식으로 떼놓고 보면 각 프로그램들의 임팩트가 더 컸기 때문에 방송사 대상을 받긴 좀 애매했던 것.] 실제로 TV부문 대상은 연기자와 예능인 모두가 받을 수 있으니. 역대 예능인 중 개인으로 백상예술대상 TV대상을 수상한 사람은 [[유재석]]과 [[강호동]] 둘 뿐이다.[* 예능인 중에 둘 뿐이라곤 하지만, 개인으로서 TV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한 사람들은 배우들도 몇 명 되지 않는다.] 백상예술대상 무대의 규모를 방송 3사와 비교해 보자.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수상으로 예능인으로서 두 번째[* 최초는 2008년의 강호동]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또 몇 안 되는 TV부문 대상이 백상예술대상의 마지막을 장식한 시상식이다. 통상적으로 백상예술대상은 TV부문을 먼저 시상하고 영화부문을 마지막에 시상했기 때문. [[무한도전 선택 2014]]에서 2003년 이후 한 해도 빼놓지 않고 수상했다는 사실이 언급되었다. 2014년을 기준으로 방송사 대상과 백상예술대상을 합하여 대상만 10년 연속 수상의 대기록을 세웠다. 아예 수상 내역이 너무 길어서 후보자 등록신청서 경력란에 처음 데뷔한 것 외에 간략한 유행어 및 메뚜기 춤 관련만 적고 수상 내역은 별도로 첨부했다. 아예 유재석이 대놓고 경력란이 너무 작아서 수상 경력이 다 안 들어간다고 하며 별도로 첨부된 수상 경력을 배포했다. 정형돈과 정준하의 짜증내면서 부러워하는 것이 백미. 2014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하며 '''10년 연속 대상 수상'''이란 기록을 이어갔다. 이번 상은 상복이 없던 KBS에서 2005년 이후 9년 만에 받는 상이라 더욱 감회가 남다른지 수상 소감을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그리고 이틀 후인 MBC 연예대상도 수상, 시청자 투표로 정해진 대상인데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412292019571116&ext=na|총 67만 7183표 중 44만 2485표]], 약 '''65%'''를 독차지하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 날 수상에서는 [[노홍철|그 녀석]]과 [[길(가수)|그 전 녀석]]을 언급했으며 시상식에서 완전히 외면당한 코미디 프로그램 및 코미디언 후배들을 걱정하면서[* 2014년 MBC의 코미디 프로그램은 [[코미디에 빠지다]]가 종영한 데 이어 뒤를 이은 [[코미디의 길]]마저 몇 달 이어가지 못하고 막을 내린 뒤로는 코미디 프로그램이 정규 편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들에게 다시 기회가 주어지기를 바란다는 말을 남겼고 마지막으로 박명수를 대신해 서래마을 한수민 씨에게 사랑의 메시지를 전했다(...) SBS에서만 받으면 최초로 같은 해의 트리플 크라운 연예대상 수상자가 된다며 주목을 끌었지만, 정작 본인은 이로 인한 부담감이 컸는지 SBS 시상식의 인터뷰에서 횡설수설하며 긴장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SBS 대상이 이경규에게로 돌아가자[* 유재석은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상'을 수상했다.] 주먹을 불끈 쥐며 환호하는 모습이 잡혀 눈길을 끌었다. 이 [[http://baekn.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33717|해맑은 미소]]를 보라... 2014년의 수상으로 2회 이상 연예대상 [[트리플 크라운]]을 기록한 최초의 예능인이 되었다. 그리고 분야는 다르지만, [[조용필]]이 11개로 가지고 있던 최다 대상 수상 기록도 타이를 넘어 최다 기록(MBC 5회, SBS 4회, KBS 2회, 백상 1회 총 12회)으로 경신했다. 특히 [[SBS]]에서의 그의 존재감을 확인시켜주는 부분이 하나 있는데, SBS 연예대상은 2006년 코미디 대상을 시초로 2007년 1회부터 정식으로 시작된 역사가 매우 짧은 시상식이다. 그리고 그 짧은 역사가 대한민국 역대급 예능인인 유재석의 전성기와 겹치며[* SBS에서 패밀리가 떴다와 런닝맨으로 개인으로서는 2007년 이후 쭉 원탑을 유지했다.] 2012년 SBS 연예대상 수상 당시 역대 총 6회 중 4회를 수상하며 역대 SBS 연예대상의 3분의 2를 혼자 쓸어가게 되었던 적이 있다.[* 그 중엔 [[이효리]]와의 공동 대상이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 2회는 [[강호동]].] 2015년엔 KBS에서 [[이휘재]], MBC에선 [[김구라]]가 생애 첫 대상을 타가며 대상을 놓쳤다. SBS [[런닝맨]]이 부진한 한 해를 보냈지만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란 프로그램을 나름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후보로서의 자격은 충분하다는 반응이었다. 결국 대상을 받긴 받았다. 김병만과 공동 수상으로. 대부분 김병만의 단독 수상을 점친 이들이 많았기에 공동 수상에 관한 팬들의 반응은 다른 때보단 다소 미묘한 편이었고, 전체적으로 마냥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http://m.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931#_adtep|관련 기사]] [[SBS 연예대상]] 항목을 참조하면 나오지만, SBS에서 굳이 [[유재석]]이 대상을 받지 못할 것에 대한 눈치를 본 것이라는 비판이 많다. 대상 수상자에 대한 내레이션이 [[김병만]] 것 밖에 없었고, MC들도 처음에는 공동 수상이 없다고 했다가, 마지막에 공동 수상이 나와버렸으니.. 뒤늦게 대상 수상 대본에 [[유재석]]을 추가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본인이 출연한 무한도전 작품이 '''[[2015년]] [[한국방송대상]] 대상 수상을 하였다.''' 이로써 유재석은 백상예술대상, 한국PD대상을 거머쥐었고 출연작인 무한도전이 한국방송대상까지 수상했다. 또한 무한도전 10주년 기념으로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공로상을 받음으로써 PD상과 공로상 역시 거머쥐었다. 사실상 대부분의 상을 수상한 셈. 다만 의외로 한국방송대상 진행자상은 수상하지 못했다. 한국PD대상서 진행자상을 3번(2006, 2009, 2021년) 탈 동안 한 번도 수상하지 못했다. 만일 한국방송대상서 진행자상을 수상한다면 각종 진행자상을 다 받은 사람이 된다.[* 사실 한국방송대상 진행자상을 2013년에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신동엽]]의 수상으로 안타깝게도 진행자상 수상을 실패하게 된 것이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597061|#]]] 2016년 김성주, 김구라, 정준하, 유재석으로 올라와 있었던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3명의 후보를 제치고 대상의 자리에 올랐다. 수상소감으로 '''"홍철이 길이... 시청자 분들이 허락해주신다면 함께 하고 싶습니다."'''', '''"이 나라의 주인은 국민"'''과 '''"소수의 몇 몇 사람들이 꽃길을 걷는 그런 사회가 아니라 내년에는 정말로 대한민국이 꽃길로 바뀌어서 많은 국민들이 꽃길을 걷는 그런 한 해였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말해 깊은 인상을 주었다. 유재석이 방송에서 조금이라도 특정 정치적 사안과 연결될 수 있는 발언은 최대한 자제하고 언급하지 않는 선에서 마무리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유재석 본인이 현재 시국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다. 한편 이 날 공적인 자리에서는 드물게도 시국에 관련한 발언을 한 탓인지, 박사모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2017년 [[MBC 연예대상]]을 [[전현무]]가, [[SBS 연예대상]]을 [[미운 우리 새끼]]에 출연 중인 어머님들이 받게 되면서 역사에 남을 12년 연속 대상 수상이라는 대기록도 끝을 고했다. 대신 연예대상 시상식에서 18년 연속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다.[* [[KBS]]는 파업 중이라 2017년 [[KBS 연예대상]]이 열리지 않았다.][* 2003년 [[MBC 연예대상]], [[KBS 연예대상]] 최우수상부터 지금까지 18년 연속 수상을 기록하고 있다.] 2018년에는 런닝맨 팀의 일원으로 받은 베스트 팀워크상을 제외하면 수상이 없었다. KBS와 SBS에는 대상 후보에 올랐으나 각각 [[이영자]], [[이승기]]가 수상했고 MBC는 무한도전 종영의 영향인지 후보에 없었다. 아울러 MBC 방송연예대상에는 참석하지 않는 낯선 풍경도 보였다. 2019년에는 KBS 연예대상 후보에 오르지 못했고, SBS 연예대상에서 4년 만에(3사 전체를 포함하면 3년 만에) 대상을 수상하며 통산 15번째 대상 트로피를 차지했다. 또한 이 날 수상 소감에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연예계 후배 [[설리(1994)|설리]]와 [[구하라]]를 언급하며 명복을 빌어줬다. 2020년에는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MBC에서 4년 만에 대상을 받았다. 통산 16번째 대상 트로피이며, [[이경규]]를 넘어 MBC 연예대상 단독 최다 수상자가 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세 시대에 걸쳐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본인의 커리어 사상 최초로 [[지미유]]라는 부캐로 베스트 커플상을 받기도 했다. 수상 소감에서 2014년과 마찬가지로 코미디 프로그램이 없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시하며 후배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고 [[박지선]]을 추모하는 말을 남겼다. 대한민국에서 예능인으로서 받을 수 있는 대부분의 상은 다 수상했지만, 받지 못한 상이 있다. 바로 '''신인상'''과 '''우수상'''. 무명이었던 기간이 길어 생애 한 번 뿐인 신인상을 수상하지 못하였는데, 유재석이 연예대상에서 유독 신인상을 주로 시상하는 여러 이유 중 하나도 본인이 받지 못했던 신인상에 대한 애착 때문이기도 하다. [[http://news.joins.com/article/16816909|기사 참조. 신인들이 가장 닮고 싶은 예능인으로 유재석을 꼽는 점도 물론 포함된다.]][* 방송국 입장에서는 [[연예대상]] 시상식에서 가장 먼저 시상하는 상인 만큼 베테랑인 유재석에게 시상을 맡기는 것이 편한 것도 있다. 신인상의 경우 주로 연예대상 시상식 경험이 별로 없는 연예인과 유재석이 같이 나와 긴장을 풀고 농담을 던지는 식으로 식의 분위기를 띄운다.] 그런데 부캐 ''''유산슬'로 2019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무려 데뷔 29년 만의 신인상으로 본인도 어이없다는 듯이 헛웃음을 지으며 수상소감을 말했다. 그것도 2019년 12월 29일 0시 47분경 [[SBS 연예대상]]서 대상을 수상하고 같은 날 오후 9시 37분 경 MBC 방송연예대상서 신인상을 수상함으로써 불과 '''20시간 50분 만에 대상과 신인상을 모두 수상한''' 유일한 예능인이 되었다.[* 이제 우수상만 받으면 신인상-우수상-최우수상-대상 라인인 본상을 다 받게 되지만, 최우수상 기록이 있으면 우수상은 받지 못한다. 유산슬로 신인상 받은 것처럼 놀면 뭐하니/부캐로 받으면 될 거 같지만..] 역대 연예대상 최다 수상 2, 3위인 [[이경규]], [[강호동]]도 유재석에게 대상을 시상한 적이 있다. 이경규는 2009 MBC 방송연예대상, 강호동은 제49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 시상자로 나섰다. 2021년에 받은 첫 번째 상은 [[한국PD대상]]의 '''출연자상 TV진행자 부문'''을 2009년에 <무한도전>으로 수상 후 무려 '''12년 만에''' [[놀면 뭐하니?]]로 다시 한번 더 거머쥐는 쾌거를 달성했다. 수상소감으로는 "신인들이 설 수 있는 무대, 코미디가 설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주십사 부탁드린다"며 선배로서의 위엄을 보여줬으며, 또 백상예술대상에서도 역시 2013년 수상 이후 8년 만에 대상을 다시 한 번 수상하면서 통산 17번째 대상 트로피이자 '''예능인 최초 [[백상예술대상]] 대상 2회 수상'''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 날 수상소감에서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해 MC나 진행자 보다 개그맨이라 강조하는 모습과, 우리 문화와 전통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강조하는 발언을 하여 주목을 이끌었다.[* 특히 후자는 2020년부터 국내 방송계의 주요 이슈인 중국의 문화공정에 대한 일침으로 해석되면서 더욱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다] 다만 수상 소감을 다소 짧게 마무리짓는 바람에 아쉬워하는 목소리들이 나왔는데, 비하인드 수상소감에서 밝히기를 받을거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기에 많이 놀라서 그랬다고 한다.[* 실제로 호명 장면을 보면 마스크로 좀 가려져있긴 하지만 유재석이 많이 어리둥절해하는 표정인 게 보인다. 김태호PD 역시 놀면 뭐하니?가 예능 작품상을 받자 유재석이 무관으로 그칠까 노심초사했다고 인스타에서 밝힌 걸 보면 빈말이 아니라 정말로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던 듯 하다. 백상예술대상이 끝난 후 심사위원들의 투표 결과가 공개되었는데 유재석은 7표 중 6표를 얻어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2006년 남자 예능인상, 2013년 대상, 2020년 남자 예능인상을 수상했기 때문에, 2020년 수상소감 당시 7년 주기설을 언급하며 7년 후에 뵙자는 농담을 했었는데, 2년 연속 수상이 많이 당황스러웠다며 본인은 계획대로 되는 게 없다는 너스레를 떨었다. 그리고 이후 인터뷰에서 밝히기를 상상도 못했다고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7&aid=0000270079|한다.]] 2015년에 무한도전이 대상을 수상했던 [[한국방송대상]]에서는 유재석 개인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연예오락 부문에서 [[놀면 뭐하니?]]로 '''TV 연예오락 부문 남자 최우수 예능인상'''을 받는 기염을 토했다.[* 기존의 예능인상을 최우수 예능인상으로 격상 및 개편하여 시행된 시상식으로 개편 이후 최초의 연예오락 부문 수상자는 유재석과 김숙이다.] 이로써 유재석은 한국방송대상 진행자상을 제외하고 받을 만한 상은 거의 대부분 휩쓴 셈. 수상소감으로는 "늘상 시상식에 와서 상을 받으면 제작진, 동료 여러분께 감사하다는 말을 드리지만 진심으로 감사하다"라며 "한 주 예능프로그램을 위해 많은 분의 고생, 노고 덕분에 이 자리에 섰다. 다함께 모여서 즐거운 얘기들과 기쁨을 나누진 못하지만 언젠가 상황이 나아진다면 동료들과 함께 나누고 싶다"라고 전했다. 또한 '''"앞으로도 더 열심히, 새로운 컨텐츠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즐거운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이런 하루하루를 만들어준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다"라고 덧붙였다. 2021년에는 SBS 연예대상을 닷새 앞두고 코로나19에 확진됨에 따라 [[SBS 연예대상]]을 불참하게 되었다. '패밀리가 떴다-런닝맨'으로 매년 SBS 연예대상에 참석해왔지만 불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장에서는 입간판으로 대체했다. 런닝맨으로 대상 후보에 올라 '지석진&김종국'과 함께 올해의 예능인상을 받았다. 이후 상태가 호전됐지만, [[KBS 연예대상]]은 불참하고, [[MBC 방송연예대상]]은 참석한다고 한다.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베스트 커플상, 올해의 예능인상, '''대상'''까지 수상하며 2년 연속 3관왕을 달성함과 동시에 본인의 최다 수상 기록을 갈아치웠다. 2022년에는 [[SBS 연예대상]]에서 올해의 커플상과 '''대상'''을 수상하였다. SBS에서는 지난 2019년 이후 3년 만에, 또한 SBS에서만 7번째로 대상을 거머쥐는 영광을 누렸다. 전체로 합산하면 통산 19관왕이다. 또한 패떴 때부터 환상의 호흡을 보여주고 있는 [[김종국]]과 베스트 커플상을 받았다. [[MBC 방송연예대상]]에선 지난 2020-2021년 2년 연속 대상을 받았고, [[나 혼자 산다]]의 [[전현무]]의 수상이 유력했기 때문에, 올해의 예능인상에 그쳤다. [[분류:유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