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fff '''유영진'''}}}}}} [br]{{{#fff '''劉榮鎭 | Yu Yeong J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 ||<|2> '''출생''' ||[[1970년]] [[6월 21일]] ([age(1970-06-21)]세) || ||[[서울특별시]]||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학력''' ||[[배재고등학교]] {{{-2 (졸업)}}}[br][[서울교육대학교|[[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width=18]] 서울교육대학교]] {{{-2 (국어교육학 / 학사)}}} [br][[춘천교육대학교]] {{{-2 (문학교육 / 석사)}}} || || '''데뷔''' ||제2회 창비어린이 신인평론상|| || '''저서''' ||몸의 상상력과 동화, 동화의 윤리|| [목차] [clearfix] == 개요 ==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했다. 교육문예창작회에서 어린이문학 공부를 시작했으며,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에서 어린이문학과 문학교육에 대해 공부했다. 「몸의 상상력과 동화」로 제2회 창비어린이 신인평론상을 받았다. 월간 『어린이와 문학』 편집위원, [[한국작가회의]] 기관지 『내일을 여는 작가』 편집위원을 지냈다. 쓴 책으로 평론집 『몸의 상상력과 동화』가 있다. 엮은 책으로는 [[이원수(아동문학가)|이원수]] 동화집 『나비 때문에』, 『별』, 청소년 테마 소설 『관계의 온도』, 『내일의 무게』, 『콤플렉스의 밀도』가 있다. == 저서 == === 몸의 상상력과 동화 === [[미셸 푸코]]와 [[부르디외]]의 이론을 가져와 우리 아동문학의 전반적 경향과 문제에 대해 짚어보는 신인 평론가의 평론집. 저자는 현 교육 체제가 아이들의 몸을 적절히 통제하고 감시하여 [[자본주의]]가 필요로 하는 과잉사회화된 인간형을 길러내는 시스템에 동조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동안 진행되었던 '동심천사주의'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서 기존 동화의 순응주의 등 우리가 의심없이 들여다보던 동화 전반의 문제점들과 돌파해야 할 벽들을 몸의 상상력을 통해 비판한다. 표제작인 [몸의 상상력과 동화]는 제2회 창비어린이 신인평론상 수상작이다. 그 밖에 김옥, 임정자, 장주식, 공지희, 황선미, 최나미 등의 작가의 작품에 대한 평론들, 최근 우리 동화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신화적 상상력이 동화와 만나는 방식을 설명한다. 더불어 우리나라 문학교육의 문제와 어린이에게 책이 어떤 의미로 작용하는지 되새겨 볼 수 있는 글들이 실려 있다. === 동화의 윤리 === [[2008년]]부터 [[2015년]] 봄까지 여러 지면에 내보인 글 중 28편을 가려 담은 『동화의 윤리―사라진 아이들을 찾아서』는 저자의 그간의 활동을 살필 수 있는 궤적인 동시에, 아동청소년문학 세계를 꿰어볼 수 있는 아리아드네의 실이다. 매해 쏟아지듯 출간되는 수많은 동화와 청소년소설. 그 속에서 우리는 좋은 작품을 알아보지 못하고 헤맨 건 아닐까. 그 의심과 우려를 씻어주려는 듯, 눈 밝은 저자는 “가슴을 울리”고 “읽을 때마다 새로운 의미를 산출”하는 작품을 소개하며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길을 놓는다. 1부 ‘이해되는 것과 이해되지 않는 것 사이에서’는 아동청소년문학에 관한 평론을 모았다. 아동청소년문학의 전반적인 흐름에서부터 각 작품 속에 투영된 한국사회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총론이다. 박기범, 유은실, 김우경 등의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 아동청소년문학의 여러 양태와 과제, 장르의 경계와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한다. 2부 ‘보여주는 동화와 질문하는 소설 사이에서’는 이현, 송언, 김이윤, 방미진, [[이금이]] 등의 주요 작품을 읽고 쓴 서평을 모았다. 패트릭 네스의 소설과 남호섭의 동시집에 관한 의견도 담았다. 작품 속 인물의 욕망, 갈등 구조, 서사의 전개 방법 등 개별 작품을 꼼꼼하게 읽어나간 그의 글은 문학이 지닌 힘과 매력을 일깨우며 독자들로 하여금 아동청소년문학 ‘새롭게 읽기’를 가능케 한다. [[분류:197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평론가]][[분류:서울교육대학교 출신]][[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