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정치인, rd1=유영경(정치인))] [[분류:1550년 출생]][[분류:1608년 사망]][[분류:전주 류씨]][[분류:조선의 공신]][[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중종-광해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fff 유영경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중종-광해군))] ---- [include(틀:조선 호성공신)] ---- [include(틀:북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br]{{{+1 유영경}}}[br]柳永慶'''}}} || || '''출생''' ||[[1550년]]([[명종(조선)|명종]] 5)|| || '''사망''' ||[[1608년]]([[광해군]] 즉위) (향년 57 ~ 58세)|| ||<|4> '''재임기간''' ||제82대 영의정|| ||[[1604년]] [[1월 24일]] ~ [[1608년]] [[3월 29일]][br]{{{-2 (음력 [[선조(조선)|선조]] 37년 12월 6일 ~ [[광해군]] 즉위년 2월 14일)}}}|| || '''[[봉호|{{{#fff 봉호}}}]]''' ||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 || '''[[본관|{{{#fff 본관}}}]]''' ||[[전주 류씨]] (낙봉공파)|| || '''[[붕당|{{{#fff 붕당}}}]]''' ||[[소북]]([[탁소북]])|| || '''[[자(이름)|{{{#fff 자}}}]]''' ||선여(善餘)|| || '''[[아호|{{{#fff 호}}}]]''' ||춘호(春湖)|| || '''부모''' ||부친 - 유의(柳儀)[br]모친 - 교하 노씨(交河盧氏) 노첨(盧僉)의 딸|| || '''형제자매''' ||'''3남 2녀 중 차남'''[br]형 - 유영길(柳永吉, {{{-3 1540 ~ ?}}})[br]남동생 - 유영하(柳永賀, {{{-3 1553 ~ ?}}})[br]누이 - 이유상(李由祥)의 처[br]누이 - 유씨|| || '''부인''' ||[[창원 황씨]] 황직개(黃直介, {{{-3 1550 ~ ?}}})[* [[태종(조선)|태종]]의 9남 [[근녕군]]의 외고손녀. [[근녕군]] → 우산군 이종 → [[여주 이씨|이수려]]의 처 이씨 → 황응규의 처 이여질박 → 황직개]|| || '''자녀''' ||'''5남 2녀'''[br]장남 - 유열(柳恱, {{{-3 1571 ~ ?}}})[br]차남 - 유흔(柳忻, {{{-3 1573 ~ ?}}})[br]3남 - 유업(柳 忄+業, {{{-3 1575 ~ 1612}}}) 4남 - 유제(柳悌, {{{-3 1579 ~ ?}}})[br]장녀 - 유여현(柳女賢, {{{-3 1582 ~ ?}}})[br]차녀 - 유여정(柳女正, {{{-3 1585 ~ ?}}})[br]5남 - 유선(柳愃, {{{-3 1586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관]]이며 [[탁소북]]의 영수.[[정종(조선)|정종]]의 4남인 [[선성군]]의 외5대손이다.[* [[선성군]] → 명산부수 이금정 → 유간의 처 이씨 → 유세린 → 유의 → 유영경] == 생애 == 1550년 종9품 [[참봉]]을 지낸 아버지 유의(柳儀)와 어머니 [[노(성씨)|교하 노씨]] 노첨(盧僉)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572년([[선조(조선)|선조]] 5)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터질 때 황해도 순찰사가 되어서 황해도 해주에서 왜적을 물리쳤다. 이때 가족들은 모두 피난시켜서 [[선조(조선)|주상]]에게 욕 좀 먹었다. 또, [[정유재란]]이 터졌을 때 중책을 맡고도 가족부터 안전하게 빼돌리는 등 상당히 보신주의적 행태를 보여 처벌당하기도 했다. 그래도 왜적의 목 6급을 베어서 칭찬을 듣기도 했다. 게다가 줄을 잘 서서 왜란 이후 병조참판을 거쳐 대사헌,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쾌속 승진했으며 자신의 파벌을 형성해내갔다. 처음에는 동인이었으나 남북 분당 당시 [[북인]]으로 옮겼다. 그리고 [[홍여순]]이 대사헌으로 천거되자 [[남이공]]과 [[김신국]]이 반대했다. 유영경은 [[정인홍]]과 같이 홍여순의 대사헌 천거 문제에 대해 토론 배틀을 벌였다. 그러나 정인홍과 유영경은 열띤 논쟁을 펼쳐서 서로 합의를 보지 못했다. 그래서 유영경은 자신을 따르는 [[박홍구]], [[박승종]], 유희분과 같이 [[소북]]을 구성했으며, 정인홍도 마찬가지로 자신을 따르는 [[기자헌]], [[유몽인]], [[이이첨]]과 [[대북]]을 구성했다. 이렇게 해서 북인이 홍여순 대사헌 천거 문제로 다시 대소 분당을 하며, 정인홍 계통의 대북과 유영경 계통의 소북으로 분열되었다. 유영경은 소북의 영수가 되었지만 이후에 세자였던 [[광해군]]과 [[인목왕후]]의 아들인 [[영창대군]] 간의 후계자 문제로 다툼에 시달리자 영창대군 쪽으로 갈아탔다. 이에 광해군을 지지하는 소북 인물들이 반발해서 그 안에서도 불화가 빚어져 탁소북으로 옮겨가 영수가 되었다. 한편 [[선조(조선)|선조]]의 후계자 논의가 가속화되자 자신의 정치적 생명을 걸고 [[영창대군]]의 줄에 서서 그를 밀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해 선조의 곁에서 갖은 [[언플]]을 시도했다. 하지만 처음부터 영창대군을 세자로 세울 생각까진 안 했던(자세한 건 [[영창대군]] 항목 참조) 선조는 [[광해군]]을 왕으로 삼으라는 교지를 내리고 승하했다. 어차피 살아남기 힘들다고 본 그는 일부러 자신의 집에 교지를 감춘 채 시간을 지연시키려고 필사적으로 농간을 부렸다. 그러나 [[인목왕후]]의 지원을 받은 광해군은 수순대로 즉위했고, 이내 기자헌, 유몽인, 이이첨의 대북이 유영경의 죄상을 짚으며 탄핵에 나섰다. 처음에는 광해군이 그를 두둔했지만(아마도 형식적이었겠지만), 차차 처벌 수위를 높여 영의정 자리에서 내쫓고 파직, 삭직을 거쳐 유배한 다음 자결 명령을 내렸다. 심지어 죽은 다음 시신마저 뒤에 도로 끄집어내어져 [[부관참시]]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이후에 소북은 박홍구, 박승종, 유희분을 중심으로 광해군을 지지했으나 유영경이 선조의 후계자로 영창대군을 택하며, 광해군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바람에 영향력이 약해지고 광해군과 대북에게 상당한 눈치를 보게 되었다. 회퇴변척소[* [[정인홍]]이 자신의 스승 [[조식(조선)|조식]]의 문묘등록에 실패하자 빡쳐서 [[광해군]]한테 올린 상소로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의 호의 앞글자를 따서 부른다.] → [[봉산옥사]] → [[계축옥사]]로 대북이 [[서인]]과 [[남인]]계 신하들을 조정에서 몰아낼 때, 소북은 그저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해서 대북의 정치적인 전횡과 이를 막지 못하고 소북의 동조와 무능으로 인해 정계에서 밀려난 서인과 남인은 많은 실망을 하였다. 그래서 서인과 남인은 [[인조반정]]을 일으켜서 이후 [[인조]]가 즉위하는 것으로 성공했고, 그리고 즉시 바로 북인 처벌 문제에 들어갔다. 광해군 시기에 정책에 반대해서 유배를 간 북인 인물은 살렸지만, 북인 정권 시절 권신이었거나 광해군의 총애를 받은 측근 세력들은 냉혹하게 처벌했다. 이때 이이첨, 유희분 목숨을 잃었고, 박승종은 처벌받기 직전에 자결했다. 중북 계열인 유몽인과 기자헌도 인조 정권에 출사를 거부하고 광해군에게 의리를 지키려 했기에 숙청을 당했다. 유몽인은 광해군 복위를 꾀한다는 무고를 받아 아들 유약과 함께 처형당하고 중북 원로 기자헌은 이괄의 난때 이괄과 내통할 우려가 있다며 여러명의 북인쪽 사람들과 함께 처형당하고 이러한 일들이 벌어질 동안에 유영경은 반대로 그의 신원이 복권되었다. [[인조]]와 서인, 남인은 대북에게 탄압받은 인물들은 이유 불문하고 죄다 복권시켜주긴 했다. 유영경의 복권에 대해서는 이유가 제시되었다. '그렇게 괜찮은 신하는 아니라서 관직까지 복권시키는건 좀 후하긴 한데 너무 심하게 화를 입었으니까 불쌍해서 복권시켜 준다'는 내용이었는데, 유영경이 질 나쁜 신료라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대북에게 피해를 입었답시고 복권시켜주는데 사소한 명분을 건 셈이었다. 대북파에 대한 인조와 서인들의 크나큰 반감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것 때문에 유영경같은 간신까지 신원해주는 부조리성을 드러내기도 하는 셈이었다. 다만 관직을 복권시켜주긴 했지만 시호를 내려주지 않은 것을 보면 어찌되었든 서인쪽에서도 유영경을 그렇게 좋지않게 본것으로 보인다.[* 유영경과 같은 당인 탁소북 소속 황섬의 아들 황유첨이 쓴 정무록에서도 광해군이 유영경을 의심할 이유만 해도 6개가 넘고 유영경이 죽을만 하다고 기록하였다.][* 노론의 당론서인 아아록에서도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선조가 세자를 바꿀 뜻이 있자 당시 수상이었던 유영경이 백관을 거느리고 하례를 베푸니 소인의 작태며 정인홍이 유영경이 동궁을 모위(謀危)하려 했다고 공격했는데 그 누가 잘못되었다고 하겠느냐라며 유영경을 소인이라고 디스하였다.] 한편 이이첨, 기자헌, 유희분, 박승종, 유몽인, 기자헌등을 비롯한 북인 영수들의 죽음과 박홍구 임취정 유효립 1629년에 후금과 내통해 반역을 꾀했다가 들통 난 양경홍의 역모사건과 1631년에 발각 된 정한추대사건 같은 북인들의 끊임없는 반역 시도로 인해 북인은 완전히 멸망했으며, 남이공과 김신국이 북인을 이끌다가 [[남인]]에게 흡수가 되어서 조정에서는 자취를 감쳤다. [[인조]] 때 종2품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유항#s-1.3|유항]]은 그의 조카이다. 참고로 손자 유정량(柳廷亮)[* 장남 유열의 아들이다.]의 아내(즉, 유영경의 손자며느리)가 [[선조(조선)|선조]]와 [[인빈 김씨]]의 막내딸 [[정휘옹주]]인데, 유영경의 자살과 부관참시 이후 그의 일가족들도 전부 역적으로 전락하면서 유정량 역시 유배를 가게 되었다. == 대중매체 == * 1999년 [[MBC]] 드라마 <[[허준(드라마)|허준]]>에서는 배우 [[박영지]]가 연기했다. 극 중에서는 '정성필'의 [[모티브]]인 듯한데 [[선조(조선)|선조]]가 승하할 때 어의 [[허준]]을 포섭해서 유언을 조작하려다가 실패한 이후 탄핵되고 유배를 거쳐 사형에 처해진다. * 2003년 [[SBS]] 드라마 <[[왕의 여자]]>에서는 배우 [[정동환]]이 연기했다. * 2012년 개봉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에서는 조선 각지에서 올라온 유생들이 유영경은 사문난적으로 목을 치라고 한다.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광해군일기에서 등장한다. [[인목왕후]]가 아들 [[영창대군]]을 낳았을 때 [[선조(조선)|선조]]의 후계를 두고 광해군파인 대북과 영창대군파인 소북으로 나뉘어 소북의 일원으로 소개시킬 때 나온다. 20년 넘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선조 말기에 이조 판서에 중용되더니 2년만에 영의정에 오른다. 이후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유영경은 영창대군에게 올인할 것을 다짐한다. 그리고 선조가 죽기 직전에 선조가 “…이러한데도 왕위에 있을수록 있겠는가? 세자가 이미 장성했으니 옛 일에 따라 전위해야 할 것이다. 전위가 어렵다면 섭정도 가하다.”라고 답하자 유영경은 영창대군이 너무 어리다며[* 이때 당시 영창대군은 2살이였다.] 거절했다. 그러나 선조가 곧 회복하면서 괜찮아 지는 듯했지만 선조 41년 2월 1일에 약밥을 먹고 갑자기 [[승하]]하면서 유영경은 매우 긴장한다. 결국 광해군의 즉위 이후 대북의 공격으로 목을 매어 자살하여 생을 마감하면서 등장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