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일제강점기의 목사]][[분류:장로회 목사]][[분류:강릉 유씨]][[분류:1878년 출생]][[분류:1937년 사망]][[분류:의주군 출신 인물]][[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분류:민족대표 33인]] [include(틀:건국훈장 대통령장)] [include(틀:민족대표 33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유여대}}}[br]劉如大'''}}}}}}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劉如大.jpg|width=100%]]}}} || || {{{#FFFFFF '''호'''}}} ||<#ffffff>낙포(樂圃) || || {{{#FFFFFF '''본관'''}}} ||<#ffffff>[[강릉 유씨]] || ||<|2> {{{#FFFFFF '''출생'''}}} ||<#ffffff>[[1878년]] [[11월 26일]] || ||<#ffffff>[[평안도]] [[의주군|의주부]] 주내면 서호동[br](현 [[평안북도]] [[의주군]] 서호리)[* [[http://db.history.go.kr/id/hd_027r_0180_0020|#]]] || ||<|2> {{{#FFFFFF '''사망'''}}} ||<#ffffff>[[1937년]] [[1월 13일]] (향년 60세) || ||<#ffffff>[[평안북도]] [[의주군]] || || {{{#FFFFFF '''묘소'''}}} ||<#ffffff>[[평안북도]] [[의주군]] 고성묘지 || || {{{#FFFFFF '''직업'''}}} ||<#ffffff>독립운동가, 목사 || || {{{#FFFFFF '''국적'''}}} ||<#ffffff>[[조선]] →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 || {{{#FFFFFF '''종교'''}}} ||<#ffffff>[[개신교]]([[장로회]]) || || {{{#FFFFFF '''상훈'''}}} ||<#ffffff>건국훈장 대통령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장로회 [[목사]].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78년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태어난 유여대는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면서 어른이 되면서 직접 서당을 운영하였다. 서당을 운영하고 있다 1898년에 미국에서 북장로회 선교사 휘트모어를 만나서 세례를 받고, 의주최초의 근대적 학교 일산학교를 설립하였다. 그후의 의신소학교, 양실학원을 세우고 통합. 양실학원으로 통합하였다. 이후 의주동교회에서 담임목사일을 하다 1919년 [[이승훈]]에게서 서울에서 천교도단들의 독립운동을 하자고 제안을하여 [[양전백]],[[김병조]],이명룡과 함께 독립운동의 동참을 약속하였다. 그후의 [[기미독립선언서]]를 발표한다는 소식을 듣고난뒤 의주에서도 우리도 같은날에 독립선언서를 가져보자 하여 준비하였다. 하지만 독립선언서가 의주까지 가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도착시간이 2월 28일 밤까지이지만 도착하지 않자 [[2.8독립선언서]]를 인쇄를 하였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자신의 이름을 쓴[[기미독립선언서]]가 발표되고 [[3.1운동]]이 시작되었지만 가지않고 자신이 있는 의주에서 만세시위를 직접하였다. 이때 만세시위를 할때 드디어 [[기미독립선언서]]도 도착하여 낭독하고 그후에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그후에 일본경찰에 당일날 체포당하고 2년의 옥살이를 하게되었다. 이후에는 목사일을 하여 활동하다가 1937년 향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