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UN]][[분류:조약, 협약, 협정]][[분류:지구 온난화]] [include(틀:지구 온난화)] ||<-2> {{{#ffffff '''{{{+2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br]國際聯合 氣候變化 協約 當事國 總會 [br]United N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onference of Parties ('''CO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nfccc.int/2011_logo.png|width=100%]]}}} || || {{{#ffffff '''설립일'''}}} ||[[1992년]] [[6월 14일]][* 첫 개최일은 3년 뒤인 1995년] || || {{{#ffffff '''웹사이트'''}}} ||[[http://unfccc.int/| {{{#015aaa 홈페이지}}}]] || [목차][clearfix] == 개요 == [[국제연합]] (UN, United Nations) 기후변화협약 (FCCC,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당사국 총회 (COP, Conference of Parties) [[교토 의정서]] 총회 (CMP,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Kyoto Protocol) [[파리 협정]] 총회 (CMA,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aris Agreement) 국제연합이 공식적으로 매년 개최하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논의하는 협약의, 소속된 국가들의 모임이란 뜻이다.[* 2021년 11월 총회 기준, [[국제연합]] 가입 국가는 193개국인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미승인국]] 중 일부의 참석으로 197개국으로 더 많다.] == 역사 == === [[유엔환경계획|리우 회의]] 체제 === || 개최연도 || 명칭 || 개최 장소 || 비고 || || 1995 || COP 1 || 독일 [[베를린]] || || || 1996 || COP 2 || 스위스 [[제네바]] || || || 1997 || COP 3 || 일본 [[교토]] || '''[[교토의정서]]''' || || 1998 || COP 4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 || || 1999 || COP 5 || 독일 [[본(독일)|본]] || || || 2000 || COP 6 Part 1 || 네덜란드 [[헤이그]] || || || 2001 || COP 6 Part 2 || 독일 [[본(독일)|본]] || || || 2001 || COP 7 || 모로코 [[마라케시]] || || || 2002 || COP 8 || 인도 [[델리 연방 수도구역|뉴델리]] || || || 2003 || COP 9 || 이탈리아 [[밀란]] || || || 2004 || COP 10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 || * 1992년,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의 '리우 회의'에서 '유엔 기후변화협약'이 생겨났다. * COP1 (1995) - 첫 '당사국 총회'가 열렸다. * COP3 (1997) - '''[[교토의정서]]'''. 실제 발효는 2005년에 되었다. === [[교토 의정서]] 체제 === || 개최연도 || 명칭 || 개최 장소 || 비고 || || 2005 || COP 11/CMP 1 || 캐나다 [[몬트리올]] || || || 2006 || COP 12/CMP 2 || 케냐 [[나이로비]] || || || 2007 || COP 13/CMP 3 || 인도네시아 [[발리]] || || || 2008 || COP 14/CMP 4 || 폴란드 [[포즈난]] || || || 2009 || COP 15/CMP 5 || 덴마크 [[코펜하겐]][* [[대한민국]]에서 [[유엔환경계획]]의 '툰자 회의'를 유치했으며, 해당 회의 내용을 당사국총회 회의에도 반영했다.] || || || 2010 || COP 16/CMP 6 || 멕시코 [[칸쿤]] || || || 2011 || COP 17/CMP 7 || 남아공 [[더반]] || || || 2012 || COP 18/CMP 8 || 카타르 [[도하]] || || || 2013 || COP 19/CMP 9 || 폴란드 [[바르샤바]] || || || 2014 || COP 20/CMP 10 || 페루 [[리마]] || || || 2015 ||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1]]/CMP 11 ||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파리협정]]''' || * COP13 (2007) - '''발리 행동계획'''. Post-2012 협상 시작. * COP15 (2009) - Post-2012 협상 결렬. * 대한민국의 세계청소년어린이환경대회 유치. * 미국의 첫 참여. 중국-인도 등 신흥국-개도국 모두 2010년 1월까지 감축계획 보고서 제출하기로. * 페터스베르크 회담: Post-2012 협상 결렬의 충격에, 앞으론 COP 개최 이전에 주요국 장관급들이 사전 조율 회담을 먼저 열기로 한다. 2010년부터 매년 독일 본 근교 [[라인강]]변의 페터스베르크산에서 회담이 열려서 회담 이름을 산 이름으로 정했다.[* 여담으로 해당 산에서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굴종적 조약을 맺기도 했다. [[콘라트 아데나워]] 문서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Petersberg_Climate_Dialogue|Petersberg Climate Dialogue (영문위키)]] * COP16 (2010) - '''칸쿤 합의'''. 개도국에 자본([[GCF]])과 기술([[CTCN]])을 이전할 기관들을 만들기로 한다. 둘 다 대한민국이 유치한다. * COP17 (2011) - '''더반 플랫폼''', [[교토 의정서]] 공약기간 연장, Post-2020 협상 개시 * [[COP21]] (2015, [[:파일:COP21logo.jpg|포스터]]) - '''[[파리협정]]'''. 이를 Post-2020, 新기후체제 등으로도 부른다. === [[파리 협정]] 체제 === || 개최연도 || 명칭 || 개최 장소 || 비고 || || 2016 || COP 22/CMP 12/CMA 1 || 모로코 [[마라케시]] || || || 2017 || COP 23/CMP 13/CMA 1-2 || 독일 [[본(독일)|본]] || || || 2018 || COP 24/CMP 14/CMA 1-3 || 폴란드 [[카토비체]] || || || 2019 || COP 25/CMP 15/CMA 2 || 스페인 [[마드리드]] || || || 2021[* 원래 2020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범유행전염병]]화로 인해 1년 연기됨.] || COP 26/CMP 16/CMA 3 || 영국 [[글래스고]][* 서유럽의 차례인데, 영국과 이탈리아가 경쟁하였고, 본행사는 영국이, 사전행사들은 이탈리아가 가지는 것으로 합의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911169600085|#]]] || || || 2022 || COP 27/CMP 17/CMA 4 || 이집트 [[샤름엘셰이크]][* 아프리카의 차례인데, [[콩고민주공화국]]이 단독 신청해 수도 킨샤샤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후 이집트로 변경되었다. [[https://overseas.mofa.go.kr/eg-ko/brd/m_11516/view.do?seq=1344137|#1]] [[https://sdg.iisd.org/events/2021-un-climate-change-conference-unfccc-cop-27/|#2]]] || || || 2023 || COP 28/CMP 18/CMA 5 || UAE [[두바이]][* 아시아태평양의 차례인데, 한국이 2021년 10월 18일 UAE에 유치권을 양보하였다.] || || || 2024 || COP 29/CMP 19/CMA 6 || (동유럽)[* 체코와 불가리아가 신청] || || || 2025 || COP 30/CMP 20/CMA 7 || (아메리카)[* 브라질이 아마존에서 개최하자고 주장.] || || || 2026 || COP 31/CMP 21/CMA 8 || (서유럽)[* 스위스와 호주가 신청. 호주는 분명 차례가 아닌데 태평양도서국들과 공동개최하겠다고 주장.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1190586Y|#]]] || || || 2027 || COP 32/CMP 22/CMA 9 || (아프리카) || || || 2028 || COP 33/CMP 23/CMA 10 || (아시아태평양)[* 대한민국 전남 여수, 부산, 고양 등이 추진중.] || || || 2029 || COP 34/CMP 24/CMA 11 || (동유럽)[* 아메리카, 서유럽,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동유럽 등 5개 대륙이 5년 주기로 순회해서 개최하는 것이 원칙.] || || * '''COP22 (2016)''' * 파리협정 첫 회의로서 이행규범 수립 등 실무협의. ([[:파일:COP22logo.jpg|포스터]]) * '''COP26 (2021)'''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9279001|#]] * 2022년까지 모든 국가 [[NDC|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의무 제출 * 2025년까지 선진국이 개도국에 지원 2배로 (5,000억 달러 규모) *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이상 감축. 108개국 선언 * 2030년부터 산림-토지 이용 및 황폐화 금지. 개도국은 2040년 이후 금지. 137개국 선언 * 2040년까지 무공해 자동차로 100% 전환. 22개국 선언 * 2040년까지 [[석탄]] 사용 단계적 감축[* 애초에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 단계적 '''퇴출'''이 목표였으나 인도, 중국 등 다양한 나라들의 반발이 빗발쳐서 감축으로 문구를 조정했다.] * 지구 온도 1.5℃ 상승으로 제한 * '''COP27 (2022)''' [[https://cop27.eg/|#]] * 7월 19일, COP의 준비격인 페터스베르크 기후회담([[https://en.wikipedia.org/wiki/Petersberg_Climate_Dialogue|영문위키]])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기후위기에 함께 대응하거나, 다 같이 집단자살하거나"라고 발언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 회담에서 [[G7]] 국가들이 개도국 연 1천억달러 지원 합의를 밝혔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788834|#]] * 11월 7일, 개최사에서도 [[유엔 사무총장]]의 "지옥행 고속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것과 같다. 연대협정 또는 집단파멸 뿐"이라고 강한 어조의 발언이 또 화제가 되었다. 이와 반대로 10대 온실가스 배출국 중 9개국 정상이 불참했다. 대한민국도 [[윤석열]] 대통령이 불참하고 [[나경원]]이 특사로 참여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8003651079|#]] * 11월 8일, 선진국들이 12조원이 넘는 개도국 '지원'을 약속했다. 개도국들은 (1) 선진국들이 '피해보상'이란 표현은 반대한 점 (2) 환경투자 명목으로 러시아를 대체할 가스생산국들에만 집중투자해 구애경쟁하는 점 (3) 전쟁엔 수백조를 쓰면서 환경엔 10조 남짓을 쓰는 점 등을 비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8072651009|#]] * 11월 20일, '''"손실 및 피해 금융자금"을 만들기로 최종 합의했다'''. 하지만 그 자금의 규모도 미정이고, 화석연료 단계별 중단 시기, 저배출 기술 허용여부에 대한 논의, 1.5도 저지선에 대한 의지 등 대부분의 사안을 차년도 회의로 미뤘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2022-%EC%9C%A0%EC%97%94-%EA%B8%B0%ED%9B%84%EB%B3%80%ED%99%94%ED%98%91%EC%95%BD%EB%8B%B9%EC%82%AC%EA%B5%AD%EC%B4%9D%ED%9A%8Ccop27%EC%97%90%EC%84%9C-%ED%95%A9%EC%9D%98%EB%90%9C-%EC%82%AC%ED%95%AD/|#]] * '''COP28 (2023)''' * 1월 12일, 기후변화협약 의장에 개최국 UAE의 국영석유회사 사장이 임명되어 논란이 생겼다.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30112_0002157370|#]] * 1월 16일,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이 지속가능성 주간 개막식 기조연설을 했다. [[https://www.president.go.kr/president/speeches/qlVYnswt|#]] * 3월 24일,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기술메커니즘([[CTCN]]) 이사회를 주최하기로 했다.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303232045193460274|#]] * 7월 페터스베르크 기후회담 예정. * 11월 30일 ~ 12월 12일, 두바이에서 개최예정. == 관련 기관 == *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 * [[세계기상기구]](WMO) - 미세먼지 문제 등 == 여담 == * 2023년 COP28에서는 [[피카츄]]로 분장한 활동가들이 '손실과 피해' 기금 설립을 위해 시위를 해서 화제가 됐다. [[https://www.news1.kr/photos/details/?6361716|#]]